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②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8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8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8]
〔〕다·가 衆〔生〕〔이〕 觀世音菩薩 恭 敬〔〕〔야〕 〔절〕〔〕〔면〕 〔福〕 虛히 주001)
허(虛)히:
헛되이[唐].
리디 〔아〕〔니〕〔〕〔리〕〔니〕 〔이〕〔럴〕 衆生이 다 觀世音菩薩ㅅ 일후믈 受持야 리라 無盡意

월인석보 19:30ㄱ

여 다가 사미 六十二億 恒河沙 菩薩ㅅ 일후믈 受持고 죽록 주002)
죽록:
죽도록. 죽-[盡形]+-록(종속적 연결어미).
飮食 衣服 臥具 醫藥로 供養면 주003)
네:
네. 너의. 너[汝]+-ㅣ(속격 조사).
데 주004)
데:
뜻에. [意]+-에[於].
엇더뇨 주005)
엇더뇨:
어떠하냐. 엇더-[云何]+-뇨(의문형 종결어미).
이 善男子 善女人 功德이 하녀 주006)
하녀:
많으냐. 하-[多]+-녀(의문형 종결어미).
아니 하녀 無盡意 샤

월인석보 19:30ㄴ

甚히 하다 주007)
하다:
많습니다. 하-[多]+-(공손 선어말어미)-+-다.
世尊부톄 니샤  아모 사미나 주008)
사미나:
사람이나. 사[人]+-이나(선택 보조사).
觀世音菩薩ㅅ 일후믈 受持호 나 주009)
나:
때나. [時]+-ㅣ나(선택 보조사).
절야 주010)
절야:
절하여. 절-[禮拜]+-야.
供養면 이 두 사 福이 正히 야 주011)
야:
같아. -[等]+-야.
달오미 주012)
달오미:
다름이. 달-(‘다-’의 이형태)[異]+-옴+-이.
업서 주013)
업서:
없어. 없-[無]+-어.
百千萬億 劫에 다디 주014)
다디:
다하지. 다-[窮盡]+-디.
아니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8]
만일 중생이 관세음보살을 공경하여 절하면 복을 헛되이 버리지 아니할 것이니 이러므로 중생이 다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수지(受持)하여야 할 것이다. 무진의여! 만일 사람이 육십이억 항하사 보살의 이름을 수지하고 또 죽도록 음식, 의복, 와구, 의약으로 공양하면 너의 뜻에 어떠하냐? 이 선남자 선녀인의 공덕이 많으냐 많지 아니하냐? 무진의가 사뢰시되 “심히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가 이르시되 “또 아무 사람이나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수지하되 한 때나 절하여 공양하면 이 두 사람의 복이 정히 같아 다름이 없어 백천만억 겁에 다하지 아니할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허(虛)히:헛되이[唐].
주002)
죽록:죽도록. 죽-[盡形]+-록(종속적 연결어미).
주003)
네:네. 너의. 너[汝]+-ㅣ(속격 조사).
주004)
데:뜻에. [意]+-에[於].
주005)
엇더뇨:어떠하냐. 엇더-[云何]+-뇨(의문형 종결어미).
주006)
하녀:많으냐. 하-[多]+-녀(의문형 종결어미).
주007)
하다:많습니다. 하-[多]+-(공손 선어말어미)-+-다.
주008)
사미나:사람이나. 사[人]+-이나(선택 보조사).
주009)
나:때나. [時]+-ㅣ나(선택 보조사).
주010)
절야:절하여. 절-[禮拜]+-야.
주011)
야:같아. -[等]+-야.
주012)
달오미:다름이. 달-(‘다-’의 이형태)[異]+-옴+-이.
주013)
업서:없어. 없-[無]+-어.
주014)
다디:다하지. 다-[窮盡]+-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