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법화경을 수지·독송하는 이익과 비방하는 죄보에 대한 석존의 설법
  • 법화경을 수지·독송하는 이익과 비방하는 죄보에 대한 석존의 설법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화경을 수지·독송하는 이익과 비방하는 죄보에 대한 석존의 설법 2


[법화경을 수지·독송하는 이익과 비방하는 죄보에 대한 석존의 설법 2]
普賢아 다가 이 法華經을 受持 讀誦야 正憶念야 닷가 주001)
닷가:
닦아. -[修]+-아.
니겨 주002)
니겨:
익히어. 니기-[習]+-어.
주003)
:
쓸. 쓰-[書寫]+-ㅭ.
사미 주004)
사미:
사람이. 사[者]+-이.
이시면 주005)
이시면:
있으면. 이시-[有]+-면.
반기 주006)
반기:
반드시[當].
알라 주007)
알라:
알라. 알-[知]+-라.
이 사

월인석보 19:116ㄱ

 釋迦牟尼佛을 보아 부텻 주008)
부텻:
부처의. 부텨[佛]+-ㅅ.
이블 주009)
이블:
입을. 입[口]+-을.
從야 주010)
종(從)야:
-으로부터.
이 經典 드루미 주011)
드루미:
들음과. 들-(‘듣-’의 이형태)[聞]+-움+-이(비교격 조사).
며 주012)
며:
같으며. -[如]+-며.
이 사 釋迦牟尼佛을 供養논디며 주013)
디며:
것이며. (의존명사)+ㅣ-(계사)+-며.
이 사 부톄 주014)
부톄:
부처가. 부텨[佛]+-ㅣ.
讚歎야 됴타 논 주015)
논:
-+--+-오-+-ㄴ.
디며 이 사 釋迦牟尼佛소로 주016)
소로:
손으로. 손[手]+-로.
머리 주017)
머리:
머리[頭].
니논 주018)
니논:
만지는. 니-[摩]+--+- 오-+-ㄴ.
디며 이 사 釋迦牟尼佛오로 주019)
오로:
옷으로. 옷[衣]+-로.
두푼 주020)
두푼:
덮은. 둪-[覆]+-우-+-ㄴ.

월인석보 19:116ㄴ

디라 주021)
디라:
것이다. (의존명사)+ㅣ-+-라.
【이 正히 憶念논 福 도 주022)
도:
도와. -[助]+-아.
펴샤 주023)
펴샤:
펴시어. 펴-[宣]+-시-+-아.
普賢알 주024)
알:
앞에 있는. 앒[前]+-(처소격 조사)+-ㅅ.
마 주025)
마:
말을. 말[說]+-.
일우시니라 주026)
일우시니라:
이루신 것이다. 일우-[成]+-시-+-니-+-라.
釋迦 보며 이블 從야 듣 주027)
듣:
들음들은. 듣-[聞]+--+-옴+-ㅎ[等]+-.
能히 正憶念면 이 經에 나가 부텨보 주028)
보:
보아. 보-[見]+--+-아.
名相애 걸이디 주029)
걸이디:
걸리지. 걸이-[滯]+-디.
아니며 이 法에 나가 妙애 나가 親히 듣매 다디 주030)
다디:
다르지. 다-[異]+-디.
아니호 니시고 부텨 供養 能히 佛事호 니시고 부톄 讚歎샤 부텻 매 기피 마존 주031)
마존:
맞은. 맞-[契]+-오-+-ㄴ.
주032)
:
것을. (의존명사)+-ㄹ(대격 조사).
니시고 머리 니샤 주033)
니샤:
만지심은. 니-[摩]+-시-+-암+-.
果 得 時

월인석보 19:117ㄱ

이쇼 주034)
이쇼:
있음을. 이시-[有]+-옴+-.
니시고 오로 두프샤 주035)
두프샤:
덮으심은. 둪-[覆]+-으시-+-암+-.
柔忍行 일우믈 주036)
일우믈:
이룸을. 일우-[成]+∅(-우-)+-ㅁ+-을.
니시니 주037)
니시니:
이르시니. 니-[言]+-시-+-니.
다 憶念이 正 마초 주038)
마초:
맞추어. 마초-[冥]+∅(부사 형성 접미사 ‘-오’).
證호미 이 니라 주039)
니라:
같다. -[若]+-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법화경을 수지·독송하는 이익과 비방하는 죄보에 대한 석존의 설법 2]
보현아! 만일 이 법화경을 수지 독송하여 정억념(正憶念)하여 닦아 익혀 쓸 사람이 있으면 반드시 알라. 이 사람은 석가모니불을 보아 부처의 입으로부터 이 경전 들음과 같으며 이 사람은 석가모니불을 공양하는 것이며 이 사람은 부처가 찬탄하여 좋다 좋다 하는 것이며 이 사람은 석가모니불이 손으로 머리 만지는 것이며 이 사람은 석가모니불이 옷으로 덮은 것이다.【이것은 정(正)히 억념(憶念)하는 복을 도와 펴시어 보현(普賢)의 앞에 있는 말을 이루신 것이다. 석가 보며 입으로부터 들음들은 능히 정억념(正憶念)하면 이 경에 나아가 부처를 보아 명상(名相)에 걸리지 아니하며 이 법에 나아가 묘(妙)에 나아가 친히 들음과 다르지 아니함을 이르시고 부처 공양함은 능히 불사(佛事)함을 이르시고 부처가 찬탄하심은 부처의 마음에 깊이 맞은 것을 이르시고 머리 만지심은 과(果) 득(得)할 시절 있음을 이르시고 옷으로 덮으심은 유인행(柔忍行) 이룸을 이르시니 다 억념이 정하므로 맞추어 증명함이 이것과 같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닷가:닦아. -[修]+-아.
주002)
니겨:익히어. 니기-[習]+-어.
주003)
:쓸. 쓰-[書寫]+-ㅭ.
주004)
사미:사람이. 사[者]+-이.
주005)
이시면:있으면. 이시-[有]+-면.
주006)
반기:반드시[當].
주007)
알라:알라. 알-[知]+-라.
주008)
부텻:부처의. 부텨[佛]+-ㅅ.
주009)
이블:입을. 입[口]+-을.
주010)
종(從)야:-으로부터.
주011)
드루미:들음과. 들-(‘듣-’의 이형태)[聞]+-움+-이(비교격 조사).
주012)
며:같으며. -[如]+-며.
주013)
디며:것이며. (의존명사)+ㅣ-(계사)+-며.
주014)
부톄:부처가. 부텨[佛]+-ㅣ.
주015)
논:-+--+-오-+-ㄴ.
주016)
소로:손으로. 손[手]+-로.
주017)
머리:머리[頭].
주018)
니논:만지는. 니-[摩]+--+- 오-+-ㄴ.
주019)
오로:옷으로. 옷[衣]+-로.
주020)
두푼:덮은. 둪-[覆]+-우-+-ㄴ.
주021)
디라:것이다. (의존명사)+ㅣ-+-라.
주022)
도:도와. -[助]+-아.
주023)
펴샤:펴시어. 펴-[宣]+-시-+-아.
주024)
알:앞에 있는. 앒[前]+-(처소격 조사)+-ㅅ.
주025)
마:말을. 말[說]+-.
주026)
일우시니라:이루신 것이다. 일우-[成]+-시-+-니-+-라.
주027)
듣:들음들은. 듣-[聞]+--+-옴+-ㅎ[等]+-.
주028)
보:보아. 보-[見]+--+-아.
주029)
걸이디:걸리지. 걸이-[滯]+-디.
주030)
다디:다르지. 다-[異]+-디.
주031)
마존:맞은. 맞-[契]+-오-+-ㄴ.
주032)
:것을. (의존명사)+-ㄹ(대격 조사).
주033)
니샤:만지심은. 니-[摩]+-시-+-암+-.
주034)
이쇼:있음을. 이시-[有]+-옴+-.
주035)
두프샤:덮으심은. 둪-[覆]+-으시-+-암+-.
주036)
일우믈:이룸을. 일우-[成]+∅(-우-)+-ㅁ+-을.
주037)
니시니:이르시니. 니-[言]+-시-+-니.
주038)
마초:맞추어. 마초-[冥]+∅(부사 형성 접미사 ‘-오’).
주039)
니라:같다. -[若]+-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