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4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4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4]
부톄妙莊嚴王 本事品

월인석보 19:93ㄱ


주001)
니:
이르실. 니-[說]+-시-+-ㅭ(관형사형 어미).
주002)
제:
적에. 때에. 제[時]+∅(처소격 조사).
八萬 四千 人이 遠塵離垢 주003)
원진이구(遠塵離垢):
진(塵)을 멀리하고 때를 떠남.
야 【垢 라 주004)
라:
때이다. [垢]+∅(계사)+-라.
諸法 中에 法眼淨을 得니라 【塵 邪見이오 垢 邪染이니 밧그로 주005)
밧그로:
밖으로. [外]+-으로.
見塵에 멀오 안로 주006)
안로:
안으로. 안ㅎ[內]+-로.
垢染을 여희면 주007)
여희면:
떠나면. 여희-[離]+-면.
法眼이 두려 주008)
두려:
둥글게. 두-[圓]+-이.
가 주009)
가:
밝아. -[明]+-아.
허믈 주010)
허믈:
허물. 잘못[瑕].
리미 주011)
리미:
가림이. 리-[翳]+-움+-이.
그츠리니 주012)
그츠리니:
그칠 것이니. 긏-[絶]+-으리-+-니.
이 正力으로 德行 도 주013)
도:
도와. -[助]+-아.
일우샤미라 주014)
일우샤미라:
이루심이다. 일우-[成]+-시-+-암+이-(계사)+-라.
잇 주015)
잇:
이것까지. 여기까지. 이+-ㅅ#. ‘-ㅅ’이 문법화되어 보조사가 된다.
妙莊嚴王本事品 고 주016)
고:
마치고. (‘-’의 이형태)+-고.
아래 普賢菩薩勸發品이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4]
부처가 이 묘장엄왕 본사품(本事品) 이르실 적에 팔만사천인이 원진리구(遠塵離垢)하여【구(垢)는 때이다.】 제법 중에 법안정(法眼淨)을 득한 것이다.【진(塵)은 사견(邪見)이고 구(垢)는 사염(邪染)이니 밖으로 견진(見塵)에 멀고 안으로 구염(垢染)을 떠나면 법안(法眼)이 둥글게 밝아 허물 가림이 그칠 것이니 이 정력으로 덕행 도와 이루심이다. 〇여기까지 묘장엄왕본사품 마치고 아래는 보현보살권발품(普賢菩薩勸發品)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이르실. 니-[說]+-시-+-ㅭ(관형사형 어미).
주002)
제:적에. 때에. 제[時]+∅(처소격 조사).
주003)
원진이구(遠塵離垢):진(塵)을 멀리하고 때를 떠남.
주004)
라:때이다. [垢]+∅(계사)+-라.
주005)
밧그로:밖으로. [外]+-으로.
주006)
안로:안으로. 안ㅎ[內]+-로.
주007)
여희면:떠나면. 여희-[離]+-면.
주008)
두려:둥글게. 두-[圓]+-이.
주009)
가:밝아. -[明]+-아.
주010)
허믈:허물. 잘못[瑕].
주011)
리미:가림이. 리-[翳]+-움+-이.
주012)
그츠리니:그칠 것이니. 긏-[絶]+-으리-+-니.
주013)
도:도와. -[助]+-아.
주014)
일우샤미라:이루심이다. 일우-[成]+-시-+-암+이-(계사)+-라.
주015)
잇:이것까지. 여기까지. 이+-ㅅ#. ‘-ㅅ’이 문법화되어 보조사가 된다.
주016)
고:마치고. (‘-’의 이형태)+-고.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