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약왕보살 등이 법화경을 수지하는 중생을 호지하는 다라니를 말함
  • 약왕보살 등이 법화경을 수지하는 중생을 호지하는 다라니를 말함 8
메뉴닫기 메뉴열기

약왕보살 등이 법화경을 수지하는 중생을 호지하는 다라니를 말함 8


[약왕보살 등이 법화경을 수지하는 중생을 호지하는 다라니를 말함 8]
그 羅刹女히  일후믄 藍婆ㅣ오 둘 일후믄 毗藍婆ㅣ오 세 일후믄 曲齒 주001)
곡치(曲齒)오:
곡치(曲齒)이고. 곡치+∅(계사)+-오.
네 일후믄 華齒다 일후믄 黑齒여 일후믄 多髮이오 닐굽 일후믄 無厭足이오 여듧 일후믄 持瓔珞이오 아홉 일후믄

월인석보 19:65ㄱ

열 일후믄 奪一切 衆生 精氣러니 이 열 羅刹女ㅣ 鬼子母와 제 아와 주002)
아와:
아들과. 아들[子]+-와(접속 조사).
眷屬과로  주003)
:
함께[俱].
부텨 주004)
부텨:
부처께. 부텨[佛]+-[所].
나가 주005)
나가:
나아가. 나가-[詣]+∅(보조적 연걸어미 ‘-아’). ‘나가-’는 ‘+-아#가-’로 분석된다.
주006)
:
한. 같은[同].
소리로 부텨 주007)
:
사뢰되. -[白…言]+-오.
世尊하 우리도  法華經 讀誦 受持니 주008)
수지(受持)니:
수지(受持)하는 이를. 수지-+--+-ㄴ#이[者]+-.
擁護야 그 衰患

월인석보 19:65ㄴ

더러 주009)
더러:
덜어. 덜-[除]+-어.
다가 法師뎌  엿 주010)
엿:
엿보아. 엿-[伺]+-아.
求리 주011)
구(求)리:
구(求)할 이가. 구-+-ㄹ#이[者]+∅(주격 조사).
이셔도 便을 주012)
편(便)을:
편안(便安)을.
得디 몯게 주013)
몯게:
못하게. 몯-[不]+-게.
호리다 고 즉재 부텻 알 呪를 닐오 【사 害 鬼 羅刹女 鬼子母애셔 주014)
귀자모(鬼子母)애셔:
귀자모(鬼子母)보다. 귀자모+-애셔[於].
甚니 주015)
심(甚)니:
심한 것이. 심-+-ㄴ#이(의존명사)+∅(주격 조사).
업스니 盟誓야 護持면 녀나 주016)
녀나:
다른 남은[餘].
神 어루 주017)
어루:
가히[可].
알리로다
주018)
알리로다:
알 것이도다. 알-[知]+-리-+-로-+-다.
伊提履띠리[一] 伊提泯띠민[二] 伊提履띠리[三] 阿提履띠리[四] 伊

월인석보 19:66ㄱ

提履띠리[五] 泥履니리[六] 泥履니리[七] 泥履니리[八] 니리泥履[九] 泥履니리[十] 樓醯히[呼奚十一] 樓醯히[十二] 樓醯히[十三] 樓醯히[十四] 多醯더히[十五] 多醯더히[十六] 多醯더히[十七] 兜醯히[十八] 㝹醯느ᇢ히[十九]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약왕보살 등이 법화경을 수지하는 중생을 호지하는 다라니를 말함 8]
그때에 나찰녀(羅刹女)들이 첫째 이름은 남파(藍婆)이고 둘째 이름은 비람파(毗藍婆)이고 셋째 이름은 곡치(曲齒)이고 넷째 이름은 화치(華齒)이고 다섯째 이름은 흑치(黑齒)이고 여섯째 이름은 다발(多髮)이고 일곱째 이름은 무염족(無厭足)이고 여덟째 이름은 지영락(持瓔珞)이고 아홉째 이름은 고제(皐帝)이고 열째 이름은 탈일체중생정기(奪一切衆生精氣)이더니 이 열 나찰녀가 귀자모(鬼子母)와 자기 아들과 권속과 함께 부처께 나아가 한 소리로 부처께 사뢰되, “세존이시여! 우리도 또 법화경 독송 수지(受持)하는 이를 옹호하여 쇠환(衰患)을 덜어 만일 법사의 짧은 데를 엿보아 구하는 이가 있어도 편안을 득하지 못하게 할 것입니다.” 하고 즉시 부처의 앞에 주를 이르되【사람 해하는 귀가 나찰녀 귀자모보다 심한 것이 없으니 맹서하여 호지하면 다른 남은 신을 가히 알 것이도다.】 〈※ 이하 주술〉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곡치(曲齒)오:곡치(曲齒)이고. 곡치+∅(계사)+-오.
주002)
아와:아들과. 아들[子]+-와(접속 조사).
주003)
:함께[俱].
주004)
부텨:부처께. 부텨[佛]+-[所].
주005)
나가:나아가. 나가-[詣]+∅(보조적 연걸어미 ‘-아’). ‘나가-’는 ‘+-아#가-’로 분석된다.
주006)
:한. 같은[同].
주007)
:사뢰되. -[白…言]+-오.
주008)
수지(受持)니:수지(受持)하는 이를. 수지-+--+-ㄴ#이[者]+-.
주009)
더러:덜어. 덜-[除]+-어.
주010)
엿:엿보아. 엿-[伺]+-아.
주011)
구(求)리:구(求)할 이가. 구-+-ㄹ#이[者]+∅(주격 조사).
주012)
편(便)을:편안(便安)을.
주013)
몯게:못하게. 몯-[不]+-게.
주014)
귀자모(鬼子母)애셔:귀자모(鬼子母)보다. 귀자모+-애셔[於].
주015)
심(甚)니:심한 것이. 심-+-ㄴ#이(의존명사)+∅(주격 조사).
주016)
녀나:다른 남은[餘].
주017)
어루:가히[可].
주018)
알리로다:알 것이도다. 알-[知]+-리-+-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