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월인천강지곡 기325~기339(15곡)
  • 월인천강지곡 기325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325


其 三百二十五
無盡意 주001)
무진의(無盡意):
무진의가. 무진의+∅(주격 조사).
묻샤 주002)
묻샤:
물으시되. 묻-+--(객체높임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오’의 이형태)(종속적 연결어미).
※ 중세국어의 선어말어미 ‘-샤-’에 대해서는 ‘-샤-’를 ‘-시-+-아’로 분석하려는 입장과 모음 어미 앞에 나타나는 선어말어미 ‘-시-’의 이형태로 보는 입장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오’계 어미들의 ‘아’형 이형태들을 설정하고 ‘-시-’와 이들이 결합하여 축약된 것이 ‘-샤-’라고 본다. 이 때 ‘아’형 이형태들은 항상 선어말어미 ‘-시-’ 뒤에서만 나타난다. 이와는 달리 후자의 경우에는 후행 요소의 첫 분절음이 자음인지 모음인지를 교체의 조건으로 하여 ‘-샤-’ 뒤에 통합된 어미가 합음되거나 탈락된다고 본다. 역주자는 전자의 입장을 따른다.
※ 〈월인석보〉와 〈법화경언해〉의 동일 원문의 번역인 다음 예문들에서 선어말어미 ‘-시-’와 ‘-샤-’가 상보적(相補的)이 아니고 변별적(辨別的)이라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1) a. 드러 니샨 十號 正報 기시고 〈월인 13:67ㄴ〉
b. 드러 니신 十號 正報 기시고(所擧十號난 明正報시고) 〈법화 3:69ㄱ〉
(2) a. 니르나신 大事 다시며〈월인 19:93ㄴ〉
b. 니르나샨 큰 이 다시며(盡出興大事시며) 〈법화 7:153ㄴ〉
(3) a. 이 부톄 道場에 처 안샤 敎化 나토시논 자최 니시며 衆生 濟度홀 이 니샤 聖人 니러나신  알에 샤 니시니라 〈월인 3:49ㄱ〉
b. 이 부톄 처 道場에 안샤 敎化ㅅ 자최 닐어 나토샤 衆生 濟度샬 이 펴샤 聖人 니러나샨 들 알에 샤 펴시니라(此 敍佛이 初坐道場샤 唱顯化跡샤 宣度生事샤 使知聖人出興之意也시니라) 〈법화 3:16ㄱ〉.
엇던 주003)
엇던:
어떤.
因緣으로 주004)
인연(因緣)으로:
인연(因緣)으로. 인연+-으로(도구격 조사).
觀世音 일훔을 주005)
일훔을:
이름을. 일훔+-을(대격 조사).
이리 주006)
이리:
이렇게.
니가 주007)
니가:
이르십니까. 말씀하십니까. -+--(현재시제 선어말어미)+-니-(객관적 믿음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공손 선어말어미)+-가(의문형 종결어미).
世尊 주008)
세존(世尊)이:
세존(世尊)이. 부처가.
對答샤 주009)
대답(對答)샤:
대답(對答)하시되. 대답-+-시-+-아.
아

월인석보 19:1ㄴ

주010)
아란:
어떤.
受苦ㅣ라도 주011)
수고(受苦)ㅣ라도:
수고(受苦)라도. 수고+-ㅣ라도(보조사).
觀世音 일라 주012)
일라:
일컬어. 일-(‘일-’의 이형태)+-아(보조적 연결어미).
주013)
다:
다. 모두.
버서나니라 주014)
버서나니라:
벗어난다. 벗-+-어(보조적 연결어미)#나-+--+-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삼백이십오 주015)
기325:
월인천강지곡 325번째 노래. 이 〈월인석보〉 제19에는 월인천강지곡 325부터 340까지 16곡이 수록되어 있는데, 325~339 노래는 원문 맨 앞에, 340 노래는 원문 98ㄱ쪽에 따로 기록되어 있다. 물론 그 사이에 〈석보상절〉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 체제이다.
무진의가 물으시되 어떤 인연으로 관세음보살 이름을 이렇게 말씀하십니까?
세존이 대답하시되 어떤 수고라도 관세음 일컬어 다 벗어난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무진의(無盡意):무진의가. 무진의+∅(주격 조사).
주002)
묻샤:물으시되. 묻-+--(객체높임 선어말어미)+-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아(‘-오’의 이형태)(종속적 연결어미).
※ 중세국어의 선어말어미 ‘-샤-’에 대해서는 ‘-샤-’를 ‘-시-+-아’로 분석하려는 입장과 모음 어미 앞에 나타나는 선어말어미 ‘-시-’의 이형태로 보는 입장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오’계 어미들의 ‘아’형 이형태들을 설정하고 ‘-시-’와 이들이 결합하여 축약된 것이 ‘-샤-’라고 본다. 이 때 ‘아’형 이형태들은 항상 선어말어미 ‘-시-’ 뒤에서만 나타난다. 이와는 달리 후자의 경우에는 후행 요소의 첫 분절음이 자음인지 모음인지를 교체의 조건으로 하여 ‘-샤-’ 뒤에 통합된 어미가 합음되거나 탈락된다고 본다. 역주자는 전자의 입장을 따른다.
※ 〈월인석보〉와 〈법화경언해〉의 동일 원문의 번역인 다음 예문들에서 선어말어미 ‘-시-’와 ‘-샤-’가 상보적(相補的)이 아니고 변별적(辨別的)이라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1) a. 드러 니샨 十號 正報 기시고 〈월인 13:67ㄴ〉
b. 드러 니신 十號 正報 기시고(所擧十號난 明正報시고) 〈법화 3:69ㄱ〉
(2) a. 니르나신 大事 다시며〈월인 19:93ㄴ〉
b. 니르나샨 큰 이 다시며(盡出興大事시며) 〈법화 7:153ㄴ〉
(3) a. 이 부톄 道場에 처 안샤 敎化 나토시논 자최 니시며 衆生 濟度홀 이 니샤 聖人 니러나신  알에 샤 니시니라 〈월인 3:49ㄱ〉
b. 이 부톄 처 道場에 안샤 敎化ㅅ 자최 닐어 나토샤 衆生 濟度샬 이 펴샤 聖人 니러나샨 들 알에 샤 펴시니라(此 敍佛이 初坐道場샤 唱顯化跡샤 宣度生事샤 使知聖人出興之意也시니라) 〈법화 3:16ㄱ〉.
주003)
엇던:어떤.
주004)
인연(因緣)으로:인연(因緣)으로. 인연+-으로(도구격 조사).
주005)
일훔을:이름을. 일훔+-을(대격 조사).
주006)
이리:이렇게.
주007)
니가:이르십니까. 말씀하십니까. -+--(현재시제 선어말어미)+-니-(객관적 믿음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공손 선어말어미)+-가(의문형 종결어미).
주008)
세존(世尊)이:세존(世尊)이. 부처가.
주009)
대답(對答)샤:대답(對答)하시되. 대답-+-시-+-아.
주010)
아란:어떤.
주011)
수고(受苦)ㅣ라도:수고(受苦)라도. 수고+-ㅣ라도(보조사).
주012)
일라:일컬어. 일-(‘일-’의 이형태)+-아(보조적 연결어미).
주013)
다:다. 모두.
주014)
버서나니라:벗어난다. 벗-+-어(보조적 연결어미)#나-+--+-니-+-라.
주015)
기325:월인천강지곡 325번째 노래. 이 〈월인석보〉 제19에는 월인천강지곡 325부터 340까지 16곡이 수록되어 있는데, 325~339 노래는 원문 맨 앞에, 340 노래는 원문 98ㄱ쪽에 따로 기록되어 있다. 물론 그 사이에 〈석보상절〉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 체제이다.
책목차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