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1.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
  • 4. 참회기도 방법
  • 4-4) 보살이 도량에서 안거하는 법 5
메뉴닫기 메뉴열기

4-4) 보살이 도량에서 안거하는 법 5


【경】 我比丘

우리 주001)
우리:
우리. 한문 ‘我比丘’에서 ‘我’에 대한 번역. 화자가 둘 또는 그 이상일 때 쓰이는 일반적 의미의 제1인칭 대명사 ‘나’의 복수. 안거하는 날에 부처님 앞에 고하는 주체는 개인이므로 ‘우리’는 ‘나’ㅡ오늘날에는 ‘저’ㅡ가 쓰여야 할 자리이다.
比丘 주002)
비구(比丘):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남자 승려. 비구가 받는 구족계는 250계.

우리 비구(比丘) 주003)
비구(比丘):
범어 비크슈(bhikṣu)의 음역.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은 남자 승려.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3의2:32ㄱ

梵語也ㅣ니 此ㅣ 含三義故로 存梵不譯니 一은 怖魔ㅣ오 二 乞士ㅣ오 三은 淨戒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梵語ㅣ니 이 세 들 머구머실 주004)
머구머실:
머금고 있으므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머굼-[包含]+어(어미)+시-(‘이시-’의 이형태)+ㄹ(어미). 15세기 문헌에는 결과의 지속을 나타내는 ‘-아/어#잇-’형과 축약형 ‘-앳/엣-’형, 그리고 이것이 문법화한 ‘-앗/엇-’형이 공존했다. ¶四生이 다 靈 識을 머구머 이실 닐오 生靈이라〈원각, 서10ㄴ〉. 모매 五彩 고 소리 五音을 머구멧니〈금삼 4:50ㄱ〉. 믌 비치 뭀 뮈 거슬 머구멋니〈두초 14:29ㄱ〉.
梵을 두어 翻譯 아니니 나 魔ㅣ 저호미오 둘흔 비 士ㅣ오 세흔 조 戒라【魔ㅣ 저호 처 出家 제 魔宮이 러 뮈요미오 비 士 우흐

원각경언해 하3의2:32ㄴ

로 善知識을 조차 法을 비러 神을 닷고 아래로 檀越을 조차 衣食을 비러 모 도올시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비구는〉 범어(梵語)이니 이것은 세 가지 뜻을 머금고 있으므로 범(梵=범어음)을 〈그대로〉 두고 번역(翻譯) 주005)
번역(翻譯):
어떤 언어로 된 글을 다른 언어의 글로 옮김. 당나라 현장이 경전을 한역(漢譯)할 때 세운, 음역(音譯)만 하고 뜻을 헤아리거나 번역하지 않는 오종불번(五種不翻)의 원칙이 있었다. ① 비밀한 뜻이 있는 경우(다라니 등), ② 한 말에 많은 뜻을 가진 경우(박가범 등), ③ 인도에는 있으나 동양에 사물이 없는 경우(염부수 등), ④ 옛날부터 써온 말(아뇩다라삼먁삼보리 등), ⑤ 뜻이 가벼워질 우려가 있는 경우(반야 등).
을 하지 않았다. 하나는 마(魔=악마)가 두려워함이고, 둘은 비는 사람[걸사(乞士)]이고, 셋은 깨끗한 계(戒)이다.【마(魔)가 두려워한다 함은 처음 출가할 때에 마궁(魔宮)이 떨어 움직인 것이고, ‘비는 사(士)’[乞士]는 위로는 선지식(善知識) 주006)
선지식(善知識):
올바른 도리와 이치를 가르쳐 주는 사람. 본래 불교에서 비롯된 말이지만 출가한 스님에게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도 널리 쓰인다.
을 좇아 법(法)을 빌어 정신을 닦고, 아래로는 단월(檀越=시주) 주007)
단월(檀越):
범어 다나파티(dānapati)의 음역. 시주(施主). 보시(布施)를 행하는 사람. 자신의 재물을 바쳐 법회를 열거나 승려나 사찰에 물건(物件)을 공양하는 사람.
을 좇아 옷과 밥을 빌어 몸을 돕는다는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우리:우리. 한문 ‘我比丘’에서 ‘我’에 대한 번역. 화자가 둘 또는 그 이상일 때 쓰이는 일반적 의미의 제1인칭 대명사 ‘나’의 복수. 안거하는 날에 부처님 앞에 고하는 주체는 개인이므로 ‘우리’는 ‘나’ㅡ오늘날에는 ‘저’ㅡ가 쓰여야 할 자리이다.
주002)
비구(比丘):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를 받은 남자 승려. 비구가 받는 구족계는 250계.
주003)
비구(比丘):범어 비크슈(bhikṣu)의 음역.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은 남자 승려.
주004)
머구머실:머금고 있으므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머굼-[包含]+어(어미)+시-(‘이시-’의 이형태)+ㄹ(어미). 15세기 문헌에는 결과의 지속을 나타내는 ‘-아/어#잇-’형과 축약형 ‘-앳/엣-’형, 그리고 이것이 문법화한 ‘-앗/엇-’형이 공존했다. ¶四生이 다 靈 識을 머구머 이실 닐오 生靈이라〈원각, 서10ㄴ〉. 모매 五彩 고 소리 五音을 머구멧니〈금삼 4:50ㄱ〉. 믌 비치 뭀 뮈 거슬 머구멋니〈두초 14:29ㄱ〉.
주005)
번역(翻譯):어떤 언어로 된 글을 다른 언어의 글로 옮김. 당나라 현장이 경전을 한역(漢譯)할 때 세운, 음역(音譯)만 하고 뜻을 헤아리거나 번역하지 않는 오종불번(五種不翻)의 원칙이 있었다. ① 비밀한 뜻이 있는 경우(다라니 등), ② 한 말에 많은 뜻을 가진 경우(박가범 등), ③ 인도에는 있으나 동양에 사물이 없는 경우(염부수 등), ④ 옛날부터 써온 말(아뇩다라삼먁삼보리 등), ⑤ 뜻이 가벼워질 우려가 있는 경우(반야 등).
주006)
선지식(善知識):올바른 도리와 이치를 가르쳐 주는 사람. 본래 불교에서 비롯된 말이지만 출가한 스님에게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도 널리 쓰인다.
주007)
단월(檀越):범어 다나파티(dānapati)의 음역. 시주(施主). 보시(布施)를 행하는 사람. 자신의 재물을 바쳐 법회를 열거나 승려나 사찰에 물건(物件)을 공양하는 사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