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1.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
  • 4. 참회기도 방법
  • 4-4) 보살이 도량에서 안거하는 법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4) 보살이 도량에서 안거하는 법 3


【경】 不假徒衆야

徒衆을 주001)
도중(徒衆)을:
도중(徒衆)에. 수행자의 무리에. ¶徒衆은 무리라〈월석10:75ㄱ〉.
븓디 주002)
븓디:
붙지. 휩쓸리지. 어간 ‘븥-’에 어미 ‘-디’가 통합된 것이지만 ‘훈민정음 예의’에 제시된 ‘종성부용초성’ 규정에 따라 ‘븥디’로 표기하지 않고, ‘븥디→븓디’처럼 표기한 것은 ‘해례:종성해’의 ‘8종성가족용’ 규정에 따른 결과이다. ‘븥다’(오늘날에는 원순모음화를 겪은 ‘붙다’)는 오늘날에는 자동사이지만 당대에는 타동사로 인식하고 있었던 듯하다.
아니야

도중(徒衆)에 붙지 아니하고

【종밀주석】 不必六和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구틔여 여슷 和

원각경언해 하3의2:31ㄴ

주003)
여슷 화합(和合):
6가지 화합(和合). 육화합(六和合). 육화경(六和境)이라고도 함. 수행자들이 행위나 견해 등에서 서로 화합하며 공경하는 것을 6가지로 나눈 것. ① 신(身)화합: 어떤 행동을 할 때나 신업(身業)을 지을 때 공경을 다하며 함께 화합하는 것. ② 구(口)화합: 염송(念誦)을 비롯하여 구업(口業)을 지을 때 함께 화합하는 것. ③ 의(意)화합: 신심(信心)을 비롯하여 의업(意業)을 지을 때 함께 화합하는 것. ④ 계(戒)화합: 계법(戒法)을 함께 지니는 것. ⑤ 견(見)화합: 교법에 대한 견해를 함께 하는 것. ⑥ 이(利)화합: 의복, 음식 등을 나누고 쓰는 데에 화합하는 것. 6가지 내용은 경전에 따라 그 순서나 내용이 다르게 서술되기도 한다.
아니호미라【여슷 和合은 身과 口와 意와 戒와 見과 利왜니 身和   住호미오 口和 諍 업수미오 意和 어긔욤 업수미오 戒和 가지로 닷고미오 見和 가지로 아로미오 利和 가지로 골오 주004)
골오:
고루. 고르게. 고-[均]+오(부사 파생접미사). 자음 어미 앞에서는 ‘다-’로, 모음 어미 앞에서는 ‘골ㅇ-’로 실현돼 오늘날과는 활용형이 달랐다. ‘’불규칙용언. ¶나 바면 네 이 고디 몯리〈월석4:51ㄴ〉. 衆生 골오 어여 너기더니〈석상11:18ㄱ〉.
호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구태여(=일부러) 여섯 가지 화합(和合)을 하지 않는 것이다.【6가지 화합(和合)이란 몸[身]과 입[口]과 뜻[意]과 계율[戒]과 견해[見]와 이익[利]이니, 신화(身和)는 한 곳에 머무는 것이고, 구화(口和)는 다툼[諍]이 없는 것이고, 의화(意和)는 어김이 없는 것이고, 계화(戒和)는 한가지로 닦는 것이고, 견화(見和)는 한가지로 아는 것이고, 이화(利和)는 한가지로 고르게 하는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도중(徒衆)을:도중(徒衆)에. 수행자의 무리에. ¶徒衆은 무리라〈월석10:75ㄱ〉.
주002)
븓디:붙지. 휩쓸리지. 어간 ‘븥-’에 어미 ‘-디’가 통합된 것이지만 ‘훈민정음 예의’에 제시된 ‘종성부용초성’ 규정에 따라 ‘븥디’로 표기하지 않고, ‘븥디→븓디’처럼 표기한 것은 ‘해례:종성해’의 ‘8종성가족용’ 규정에 따른 결과이다. ‘븥다’(오늘날에는 원순모음화를 겪은 ‘붙다’)는 오늘날에는 자동사이지만 당대에는 타동사로 인식하고 있었던 듯하다.
주003)
여슷 화합(和合):6가지 화합(和合). 육화합(六和合). 육화경(六和境)이라고도 함. 수행자들이 행위나 견해 등에서 서로 화합하며 공경하는 것을 6가지로 나눈 것. ① 신(身)화합: 어떤 행동을 할 때나 신업(身業)을 지을 때 공경을 다하며 함께 화합하는 것. ② 구(口)화합: 염송(念誦)을 비롯하여 구업(口業)을 지을 때 함께 화합하는 것. ③ 의(意)화합: 신심(信心)을 비롯하여 의업(意業)을 지을 때 함께 화합하는 것. ④ 계(戒)화합: 계법(戒法)을 함께 지니는 것. ⑤ 견(見)화합: 교법에 대한 견해를 함께 하는 것. ⑥ 이(利)화합: 의복, 음식 등을 나누고 쓰는 데에 화합하는 것. 6가지 내용은 경전에 따라 그 순서나 내용이 다르게 서술되기도 한다.
주004)
골오:고루. 고르게. 고-[均]+오(부사 파생접미사). 자음 어미 앞에서는 ‘다-’로, 모음 어미 앞에서는 ‘골ㅇ-’로 실현돼 오늘날과는 활용형이 달랐다. ‘’불규칙용언. ¶나 바면 네 이 고디 몯리〈월석4:51ㄴ〉. 衆生 골오 어여 너기더니〈석상11:18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