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1.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2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2


【경】 大悲世尊이 爲我等輩샤 廣說淨覺種種方便샤 令末世衆生으로 有大增益게 시니

大悲 주001)
대비(大悲):
중생의 고통을 구제하려는 대자비심(大慈悲心)의. 자비심이 넓고 커서 끝이 없는. 중생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의.
世尊 주002)
세존(世尊):
세존. 석가세존. ‘세존’은 석가세존(釋迦世尊)의 준말로 ‘석가모니’의 높임말. 석존(釋尊)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석가모니를 부르는 10가지 호칭 중 하나.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분이라는 뜻이다.
이 우리 무 주003)
무:
무리를. 물[衆]+(목적격조사). 모음조화에 따르면 ‘무를’로 적는 것이 맞다. 15, 16세기 문헌에서 ‘물’은 ‘무리’[衆]를, ‘믈’은 ‘물’[水]을 뜻하는 말로 구별 사용되었다. ‘衆’의 뜻을 나타내는 것에 ‘므리’형도 공존한다. ¶特은  므리예 로 다씨라〈석상6:7ㄱ〉. 이것의 원순모음화형 ‘무리’가〈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에 나타난다. ¶쥐 무리예 욕 배 되디 몯 거시라〈동신, 열1:4ㄴ〉.
爲샤 淨覺 주004)
정각(淨覺):
청정한 원각(圓覺). ‘淨覺앳’은 “깨끗한 깨달음으로 들어가는” 정도로 풀이한다.
앳 種種 方便 주005)
방편(方便):
중생을 불법(佛法)으로 이끌어 교화시키는 수단과 방법을 총칭하는 말. 궁극적으로는 진실(眞實)한 법으로 이끌기 위해서 임시적으로 쓰는 방법.
너비 주006)
너비:
널리. 넓게. 넙-[廣]+이(부사 파생접미사). 〈여사서언해〉(1736)에 ‘널펴’(서4)가 나타난 것을 볼 때 18세기에는 이미 ‘넙-〉넓-’으로 재구조화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니샤 末世 주007)
말세(末世):
말법(末法)의 시대. 불법이 유포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정법(正法)·상법(像法)·말법(末法) 등 셋으로 나눈 것 중 1시기. 사람의 마음이 어지럽고 여러 죄악이 성행하는 시대.
衆生으로 큰 增益 주008)
증익(增益):
더하여 늘게 함. 이익이 증가함.
이 잇게 시니

대비하신 세존(世尊)이 우리 무리를 위하시어 정각(淨覺)으로 들어가는 갖가지 방편(方便)을 널리 말씀하시어 말세 중생(末世衆生)으로 하여금 큰 증익(增益)이 있게 하시니

【종밀주석】 解之면 可知也ㅣ라 二 請

원각경언해 하3의2:4ㄱ

後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사기면 어루 알리라 둘흔 後 請샤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해석하면 가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둘은 뒤〈의 내용〉를 청하심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대비(大悲):중생의 고통을 구제하려는 대자비심(大慈悲心)의. 자비심이 넓고 커서 끝이 없는. 중생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의.
주002)
세존(世尊):세존. 석가세존. ‘세존’은 석가세존(釋迦世尊)의 준말로 ‘석가모니’의 높임말. 석존(釋尊)으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석가모니를 부르는 10가지 호칭 중 하나.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분이라는 뜻이다.
주003)
무:무리를. 물[衆]+(목적격조사). 모음조화에 따르면 ‘무를’로 적는 것이 맞다. 15, 16세기 문헌에서 ‘물’은 ‘무리’[衆]를, ‘믈’은 ‘물’[水]을 뜻하는 말로 구별 사용되었다. ‘衆’의 뜻을 나타내는 것에 ‘므리’형도 공존한다. ¶特은  므리예 로 다씨라〈석상6:7ㄱ〉. 이것의 원순모음화형 ‘무리’가〈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에 나타난다. ¶쥐 무리예 욕 배 되디 몯 거시라〈동신, 열1:4ㄴ〉.
주004)
정각(淨覺):청정한 원각(圓覺). ‘淨覺앳’은 “깨끗한 깨달음으로 들어가는” 정도로 풀이한다.
주005)
방편(方便):중생을 불법(佛法)으로 이끌어 교화시키는 수단과 방법을 총칭하는 말. 궁극적으로는 진실(眞實)한 법으로 이끌기 위해서 임시적으로 쓰는 방법.
주006)
너비:널리. 넓게. 넙-[廣]+이(부사 파생접미사). 〈여사서언해〉(1736)에 ‘널펴’(서4)가 나타난 것을 볼 때 18세기에는 이미 ‘넙-〉넓-’으로 재구조화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주007)
말세(末世):말법(末法)의 시대. 불법이 유포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정법(正法)·상법(像法)·말법(末法) 등 셋으로 나눈 것 중 1시기. 사람의 마음이 어지럽고 여러 죄악이 성행하는 시대.
주008)
증익(增益):더하여 늘게 함. 이익이 증가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