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2. 현선수보살장(賢善首菩薩章)
  • 4. 경전의 이름과 유통을 당부하심
  • 4-2) 이 『경』의 이름과 공덕 등에 대한 말씀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이 『경』의 이름과 공덕 등에 대한 말씀 11


【경】 善男子아 是經은 名爲 頓敎大乘이니 頓機衆生이 從此開悟며 亦攝漸修 一切群品니

善男子아 이 經은 일후미 頓敎 주001)
돈교(頓敎):
법문(法門)을 듣는 즉시 단박에, 또는 빠르게 불과(佛果=부처의 경지)를 깨닫게 해 주는 교법(敎法).
大乘이니 頓機 주002)
돈기(頓機):
수행의 단계를 순서대로 거치지 않고도 단박에(=바로) 깨달을 수 있는 근기(根機=성능/능력). 돈교(頓敎)를 듣고 그 즉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근기.
衆生이 이 브터 여러 알며  漸漸 닷 一切ㅅ 한 類 자니

“선남자여, 이 경은 이름이 돈교대승(頓敎大乘)이니, 돈기(頓機)의 중생이 이(=원각경)에 의거해 열어 알며[=개오(開悟)하며], 또 점차로 닦는 일체의 많은 무리들을 잡으니(=포섭하니) …”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3의2:78ㄴ

宗은 是頓敎ㅣ오 事 具漸門니 旣頓漸을 俱收 則遲速이 皆益니 入與不入에 揔可留心이니 故로 正宗中에 分上中下시니라

원각경언해 하3의2:79ㄱ

二 喩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3의2:78ㄴ

宗 이 頓敎 주003)
돈교(頓敎):
문자나 언어에 의하지 않고, 수행의 차례를 거치지 않고 처음부터 대승의 진리를 말한 것.
ㅣ오 事 漸門이 니 마 頓과 漸과 다 자 더듸니와 니왜 주004)
더듸니와 니왜:
더딘 사람과 빠른 사람이. ‘더듸니’는 ‘더듸-[遲]+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로, ‘니왜’는 ‘-[速]+ㄴ(관형사형)#이(의존명사)+와(공동격)+이(주격조사). 중세국어에서의 체언 나열은 체언 뒤에 공동격조사 ‘와/과’로 마지막 체언까지 연결한 다음에 다시 문장 성분에 맞는 격조사를 연결하였다. 즉 “N1과/와 N2과/와+(조사)”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당시 곡용의 질서였다. ¶一切 믜 相이 업서 입시울와 혀와 엄과 니왜 다 됴며 고히 길오〈석상19:7ㄴ〉.
다 益니 드롬과 드디 몯호매 다 어루  둘디니 그럴 正宗 주005)
정종(正宗):
경전(經典)의 조직 중 하나. 정종분(正宗分)은 석가세존의 설법을 서술한 경의 본체.
中에 上中下애 호시

원각경언해 하3의2:79ㄱ

니라【漸門이 조 二執 주006)
이집(二執):
인집(人執=아집)과 법집(法執). ‘아집’은 오온이 합하여 성립된 몸에 참된 자아가 있다는 집착. ‘법집’은 객관적 현상을 실재한 것으로 착각하고 고집하는 것 또는 교법에 얽매이고 집착하여 참된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 것.
二空 주007)
이공(二空):
아공(我空)과 법공(法空). 전자는 중생은 오온이 합한 것이므로 실체가 없다고 하는 것. 후자는 만유가 모두 인연이 모여 생기는 가짜 존재이므로 실체가 없다고 하는 것.
五道 주008)
오도(五道):
중생이 업인(業因)에 따라 왕래하는 지옥·아귀·축생·인도(人道)·천도(天道).
五性 주009)
오성(五性):
① 보살정성(菩薩定性): 본래부터 부처가 될 종자를 갖춘 이. ② 연각정성(緣覺定性): 벽지불이 될 종자를 갖춘 이. ③ 성문정성(聲聞定性): 아라한이 될 종자를 갖춘 이. ④ 삼승부정성(三乘不定性): 2가지 종자나 3가지 종자를 갖춘 이. ⑤ 무성유정(無性有情): 성문·연각·보살의 종자는 없고, 다만 인승(人乘)이나 천승(天乘)이 될 종자만을 갖춘 이.
四位 주010)
사위(四位):
① 오계(五戒), ② 팔계(八戒), ③ 십계(十戒), ④ 구족계(具足戒). ‘구족계’에서 비구는 250계, 비구니는 348계.
三觀 주011)
삼관(三觀):
진리를 관찰하는 3가지 방법. 사마타·삼마발제·선나. 천태종에서는 공관(空觀)·가관(假觀)·중관(中觀)으로 나눈다. ① 공관(空觀): 제법개공(諸法皆空)의 이치를 증득하기 위해서 닦는 관법. ② 가관(假觀): 만유의 모든 법이 공하여 실재한 것이 없다고 믿고 닦는 관법. ③ 중관(中觀): 모든 것을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관찰하여 거기서 평등의 가치와 진리를 발견하는 것. 현상세계인 가(假)가 그대로 공(空)이고, 공이 곧 그대로 현상 세계라고 직관하는 것. 공관(空觀)과 가관(假觀)을 구별하지 않고, 이 둘을 포함하면서도 집착하지 않는 최고의 진리.
四相 주012)
사상(四相):
금강경에서 설하는 중생의 4가지 그릇된 관념. ① 아상(我相), ② 인상(人相), ③ 중생상(衆生相), ④ 수자상(壽者相).
四病 주013)
사병(四病):
① 작병(作病), ② 임병(任病), ③ 지병(止病), ④ 멸병(滅病).
과 三期와 三七와 禮懺과 安居 주014)
안거(安居):
출가한 승려가 일정한 기간 동안 외출하지 않고 한곳에 머무르면서 수행하는 제도.
히라 더듸며 로미 다 益호 닐오 마 아닌 文性 여희여 法을 디니고 아디 몯닌 文을 여희디 아니야 義 디뇨미 이 바다 디니논 相이라 上中下 호 上은 觀行 通히 기샤 니고 中은 三觀諸輪 各別히 기샤미오 下 道場加行 주015)
도량가행(道場加行):
도량(道場)에서 가행(加行)하는 일. ‘가행’은 목적을 이루려고 더욱 힘을 써서 마음과 계행을 닦는 일.
이라】
둘흔 가비샤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종(宗)은 이것이 돈교(頓敎)이고, 사(事)는 점문(漸門)이 갖추어졌으니, 이미 돈(頓)과 점(漸)을 다 잡았으므로 더딘 이와 빠른 이가 다 이로우니, 들어옴과 들어오지 못함에 다 가히 마음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정종분(正宗分) 중에서 상·중·하로 나누신 것이다.【점문(漸門=점진적 수행방법)이 갖추어졌다 함은 이집(二執)과 이공(二空)과 오도(五道)와 오성(五性)과 사위(四位)와 삼관(三觀)과 사상(四相)과 사병(四病)과 삼기(三期=장기·중기·단기)와 삼칠(三七=21일)과 예참(禮懺=예배와 참회)과 안거(安居) 등이다. 더디며 빠름이 다 이롭다 함은 이르되, 이미 깨달은 이는 문성(文性)을 떠나 법을 지니고, 깨닫지 못하는 이는 문(文)을 떠나지 못하여 의(義)를 지니는 것, 이것이 받아 지니는 모습이다. 상·중·하로 나눈다 함은 상(上)은 관행(觀行=마음을 관조하는 수행법)을 통달하여 밝히심을 이르고, 중(中)은 삼관제륜(三觀諸輪=삼관으로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각기 특별히 밝히신 것이고, 하(下)는 도량가행(道場加行)이다.】 둘째는 비유하신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돈교(頓敎):법문(法門)을 듣는 즉시 단박에, 또는 빠르게 불과(佛果=부처의 경지)를 깨닫게 해 주는 교법(敎法).
주002)
돈기(頓機):수행의 단계를 순서대로 거치지 않고도 단박에(=바로) 깨달을 수 있는 근기(根機=성능/능력). 돈교(頓敎)를 듣고 그 즉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근기.
주003)
돈교(頓敎):문자나 언어에 의하지 않고, 수행의 차례를 거치지 않고 처음부터 대승의 진리를 말한 것.
주004)
더듸니와 니왜:더딘 사람과 빠른 사람이. ‘더듸니’는 ‘더듸-[遲]+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로, ‘니왜’는 ‘-[速]+ㄴ(관형사형)#이(의존명사)+와(공동격)+이(주격조사). 중세국어에서의 체언 나열은 체언 뒤에 공동격조사 ‘와/과’로 마지막 체언까지 연결한 다음에 다시 문장 성분에 맞는 격조사를 연결하였다. 즉 “N1과/와 N2과/와+(조사)”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당시 곡용의 질서였다. ¶一切 믜 相이 업서 입시울와 혀와 엄과 니왜 다 됴며 고히 길오〈석상19:7ㄴ〉.
주005)
정종(正宗):경전(經典)의 조직 중 하나. 정종분(正宗分)은 석가세존의 설법을 서술한 경의 본체.
주006)
이집(二執):인집(人執=아집)과 법집(法執). ‘아집’은 오온이 합하여 성립된 몸에 참된 자아가 있다는 집착. ‘법집’은 객관적 현상을 실재한 것으로 착각하고 고집하는 것 또는 교법에 얽매이고 집착하여 참된 깨달음을 얻지 못하는 것.
주007)
이공(二空):아공(我空)과 법공(法空). 전자는 중생은 오온이 합한 것이므로 실체가 없다고 하는 것. 후자는 만유가 모두 인연이 모여 생기는 가짜 존재이므로 실체가 없다고 하는 것.
주008)
오도(五道):중생이 업인(業因)에 따라 왕래하는 지옥·아귀·축생·인도(人道)·천도(天道).
주009)
오성(五性):① 보살정성(菩薩定性): 본래부터 부처가 될 종자를 갖춘 이. ② 연각정성(緣覺定性): 벽지불이 될 종자를 갖춘 이. ③ 성문정성(聲聞定性): 아라한이 될 종자를 갖춘 이. ④ 삼승부정성(三乘不定性): 2가지 종자나 3가지 종자를 갖춘 이. ⑤ 무성유정(無性有情): 성문·연각·보살의 종자는 없고, 다만 인승(人乘)이나 천승(天乘)이 될 종자만을 갖춘 이.
주010)
사위(四位):① 오계(五戒), ② 팔계(八戒), ③ 십계(十戒), ④ 구족계(具足戒). ‘구족계’에서 비구는 250계, 비구니는 348계.
주011)
삼관(三觀):진리를 관찰하는 3가지 방법. 사마타·삼마발제·선나. 천태종에서는 공관(空觀)·가관(假觀)·중관(中觀)으로 나눈다. ① 공관(空觀): 제법개공(諸法皆空)의 이치를 증득하기 위해서 닦는 관법. ② 가관(假觀): 만유의 모든 법이 공하여 실재한 것이 없다고 믿고 닦는 관법. ③ 중관(中觀): 모든 것을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관찰하여 거기서 평등의 가치와 진리를 발견하는 것. 현상세계인 가(假)가 그대로 공(空)이고, 공이 곧 그대로 현상 세계라고 직관하는 것. 공관(空觀)과 가관(假觀)을 구별하지 않고, 이 둘을 포함하면서도 집착하지 않는 최고의 진리.
주012)
사상(四相):금강경에서 설하는 중생의 4가지 그릇된 관념. ① 아상(我相), ② 인상(人相), ③ 중생상(衆生相), ④ 수자상(壽者相).
주013)
사병(四病):① 작병(作病), ② 임병(任病), ③ 지병(止病), ④ 멸병(滅病).
주014)
안거(安居):출가한 승려가 일정한 기간 동안 외출하지 않고 한곳에 머무르면서 수행하는 제도.
주015)
도량가행(道場加行):도량(道場)에서 가행(加行)하는 일. ‘가행’은 목적을 이루려고 더욱 힘을 써서 마음과 계행을 닦는 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