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1.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
  • 4. 참회기도 방법
  • 4-3) 정해진 기간 동안의 수행 15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정해진 기간 동안의 수행 15


【경】 一向攝念호리라

一向야 주001)
일향(一向)야:
언제나 한결같이 하여.
念을 자보리라

일향(一向)하여(=언제나 한결같이 하여) 생각을 잡아야 하리라.

【종밀주석】 亦名會緣入實이니 謂初以塵心麤重으로 令

원각경언해 하3의2:28ㄴ

託勝相야 爲緣니 相旣皆虛 誠宜入實이니라 攝念者 論애 云호 若修止者 住於靜處야 端坐正意야 乃至心若馳散이어든 卽當攝來야 住於正念이니 正念者 當知唯心이라 無外境界라 니라 然이나 論與經이 皆先以禮懺等으로 除惑業之濁고 次以正念으로 攝馳散之動시니 空而又寂야 方能現佛之像시리라

원각경언해 하3의2:29ㄴ

二 明遇夏安居ㅣ니 文이 三이니 一은 標異聲聞이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3의2:29ㄱ

 일후미 緣을 뫼화 實에 드로미니 닐오 처 塵心 주002)
진심(塵心):
속계의 명리(名利)를 탐하는 마음. 번뇌를 일으키는 마음.
이 麤며 므거우로 勝 相 브터 緣을 삼게 니 相이 마 다 虛 眞實로 實에 드로미 맛니라 念을 자보 論에 닐오 다가 주003)
지(止):
적정(寂靜)의 뜻. 사념 망상이 일어나는 것을 막고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는 것. 사마타(奢摩他). 우리의 마음 가운데 일어나는 망념(妄念)을 쉬고, 마음을 한 곳에 머무는 것.
닷린 주004)
닷린:
닦을 사람은. 다는 사람은. 수행할 사람은. -[修]+#이(의존명사)+ㄴ(보조사).
靜處에 住야 正히 안자 들 正히 야 미 다가 여 주005)
여:
달려. -[馳]+이(피동접미사)+어(어미). 이때 ‘이-’는 분철하며, 제2음절 초성 ‘ㅇ’는 유성후두마찰음 [ɦ]로 자음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 요 곧 채 더으며〈금삼3:22ㄱ〉.
흗거든 곧 반기 자바 와 正念 주006)
정념(正念):
팔정도(八正道)의 하나. 바른 상념. 항상 생각하여 잊지 않는 것.
에 住홀디니 正念은 반기 알라 오직 미라 밧 境界 업스니라 호매 니르니라 그러나 論과 經괘 다 몬져 禮와 懺과로 惑業 주007)
혹업(惑業):
번뇌에 기인한 행위. 탐·진·치 등의 번뇌가 혹(惑)인데, 이 미혹함에 의해 선악의 행위를 짓는 것.
ㅅ 흐리요

원각경언해 하3의2:29ㄴ

 덜오 버거 正念으로 여 흐튼 뮈유믈 자시니 空고  寂야 비르서 能히 부텻 像 나토시리라 둘흔 夏安居 맛나 기시니 文이 세히니 나 聲聞에 달오 주008)
달오:
다름을. 명사형 ‘달옴’은 ‘다-+옴’ 통합형. 용언 어간 ‘다-’는 자음 어미 앞에서는 ‘다-’, 모음 어미 앞에서는 ‘달ㅇ-’로 실현됨. ‘’불규칙 용언. ¶異잉 다씨라〈훈언1ㄱ〉. 中國귁에 달아〈훈언 1ㄴ〉.
標샤미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또 이름이 ‘연(緣)을 모아서 실(實=진실)에 들어감’[會緣入實]이니, 이르되 처음 진심(塵心)이 거칠며 무거우므로 뛰어난 상(相=모습)에 의지하여 연(緣)을 삼게 하니 상(相)이 이미 모두 허(虛=텅빔)하므로 진실로 실(實=진실)에 들어감이 마땅한 것이다. 염(念)을 잡음은, 논(論)에 이르되 만약에 지(止=선정)를 닦는 사람은 정처(靜處=고요한 곳)에 머물러 바로 앉아 뜻을 바르게 하여 마음이 만약에 달려 흩어지거든 곧 반드시 잡아와 정념(正念)에 머무르게 해야 할 것이니, 정념(正念)은 반드시 알라 오직 마음이라, 밖의 경계(境界)가 없는 것이라고 함에 이를 것이다. 그러나 논(論)과 경(經)이 모두 먼저 예(禮=예배)와 참(懺=참회) 등으로 혹업(惑業)의 흐림을 덜고, 다음으로 정념(正念)으로 달려 흩어진 움직임을 잡으시니, 공(空)하고 또 적(寂=고요)하여야 비로소 능히 부처의 상(像=형상)을 나타내시리라. 둘은 하안거(夏安居) 만남을 밝힌 것이니 문(文)이 셋인데, 하나는 성문(聲聞)과 다름을 표시하신 것이고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일향(一向)야:언제나 한결같이 하여.
주002)
진심(塵心):속계의 명리(名利)를 탐하는 마음. 번뇌를 일으키는 마음.
주003)
지(止):적정(寂靜)의 뜻. 사념 망상이 일어나는 것을 막고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는 것. 사마타(奢摩他). 우리의 마음 가운데 일어나는 망념(妄念)을 쉬고, 마음을 한 곳에 머무는 것.
주004)
닷린:닦을 사람은. 다는 사람은. 수행할 사람은. -[修]+#이(의존명사)+ㄴ(보조사).
주005)
여:달려. -[馳]+이(피동접미사)+어(어미). 이때 ‘이-’는 분철하며, 제2음절 초성 ‘ㅇ’는 유성후두마찰음 [ɦ]로 자음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 요 곧 채 더으며〈금삼3:22ㄱ〉.
주006)
정념(正念):팔정도(八正道)의 하나. 바른 상념. 항상 생각하여 잊지 않는 것.
주007)
혹업(惑業):번뇌에 기인한 행위. 탐·진·치 등의 번뇌가 혹(惑)인데, 이 미혹함에 의해 선악의 행위를 짓는 것.
주008)
달오:다름을. 명사형 ‘달옴’은 ‘다-+옴’ 통합형. 용언 어간 ‘다-’는 자음 어미 앞에서는 ‘다-’, 모음 어미 앞에서는 ‘달ㅇ-’로 실현됨. ‘’불규칙 용언. ¶異잉 다씨라〈훈언1ㄱ〉. 中國귁에 달아〈훈언 1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