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1.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
  • 4. 참회기도 방법
  • 4-4) 보살이 도량에서 안거하는 법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4-4) 보살이 도량에서 안거하는 법 13


【경】

원각경언해 하3의2:34ㄱ

以大圓覺으로 爲我伽藍야

大圓覺 주001)
대원각(大圓覺):
‘원각’은 “원만한 대각(大覺), 부처님의 원만한 깨달음”을 뜻하므로, ‘대원각’은 ‘원각’을 더욱 강조해 표현한 말이다.
로 우리 伽藍 주002)
가람(伽藍):
범어 ‘상가 아라마(saṃgha-ārāma)’, 즉 ‘승가람마(僧伽藍摩)’의 간략한 음역. 스님들이 한곳에 모여서 수행하고 생활하는 곳. 흔히 말하는 ‘절’이나 사찰(寺刹), 사원(寺院)을 가리키며, 동의어로 불사(佛寺)·승단(僧團)·승원(僧院)·중원(衆園) 등이 쓰인다.
을 사마

대원각(大圓覺)으로 우리의(=나의) 가람(伽藍)을 삼아

【종밀주석】 此云衆園이니 園이 是衆居處故ㅣ라 圓覺은 則萬德所依니 以八識海ㅣ 澄야 流注ㅣ 寂滅야 體徧法界故로 得名大니 於四智中엔 則圓鏡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예셔 닐오매 衆의 園이니 園이 이 衆의 사 힌 젼라 圓覺은 萬德의 븓 고디니 八識 주003)
팔식(八識):
감각이나 지각의 능력을 지닌 생명체인 유정(有情)이 지니고 있는 8가지 심의식(心意識).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阿賴耶識) 등.
바리 주004)
바리:
바다가. 바[海]+이(주격조사). 이 책에는 ‘바’형도 나타난다. 15세기 문헌에서 ‘바’과 함께 빈번하게 사용된 쌍형어는 ‘바다ㅎ’이다. ¶① 바므른〈원각, 서39ㄱ〉. ② 바 보〈원각, 서79ㄱ〉. 닐굽 山  香水 바다히니〈월석1:23ㄱ〉.
가 흘러 브미 寂滅야 體ㅣ 法界 주005)
법계(法界):
모든 존재의 총칭. 존재의 종류, 영역, 본성 등 다양한 뜻을 지닌 말로, 크게 둘로 나누면 ① 세계 또는 우주 전체, ② 진리 자체인 진여(眞如). 이 둘을 종합하면 인과(因果)의 법칙에 지배되고 있는 범위.
예  大ㅅ 일후믈 得

원각경언해 하3의2:34ㄴ

니 四智 주006)
사지(四智):
부처님의 4가지 지혜. ① 대원경지(大圓鏡智): 인간 의식의 심연에 있는 제8식이 무명(無明)을 모두 제거할 때 나타나는 지혜로, 한 점 티끌도 없는 거울에 삼라만상이 그대로 비추어 모자람이 없는 것과 같이 원만하고 분명한 지혜, ② 평등성지(平等性智): 〈하3-2:35ㄱ〉 참조. ③ 묘관찰지(妙觀察智): 의식이 변하여 이루어지는 지혜로, 모든 법을 묘하게 관찰하여 정통하게 설법하여 중생의 의심을 끊는 데 사용하는 지혜, ④ 성소작지(成所作智): 눈·귀·코·혀·피부 등의 5관으로 느끼는, 전5식(前五識)이 변하여 생성되는 지혜로, 5관으로 행하는 일을 올바로 이루도록 하는 지혜. 4지에 대해서는 신라 원효(元曉)의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에 상세히 해설되어 있다.
中엔 圓鏡 주007)
원경(圓鏡):
‘대원경지(大圓鏡智)’를 줄인 말. 만덕(萬德)을 원만하게 갖추어 모든 법을 깨달아 안 것을 말한다. 불과(佛果)에 이르렀을 때 얻게 되는 지혜.
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가람을〉 여기(=당나라)에서 이르기는 중(衆=승가)의 원(園)이니, 원(園=동산)은 중(衆=스님들)이 사는 땅이기 때문이다. 원각(圓覺)은 만덕(萬德=많은 선행이나 덕행)이 의존할 수 있게 하는 곳이니, 팔식(八識)의 바다가 맑아서 흘러 붓는 것이 적멸(寂滅)하여 체(體=사물의 본질)가 법계(法界)에 가득하므로 ‘대(大)’라는 이름을 얻으니, 사지(四智) 중에는 원경(圓鏡=대원경지)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대원각(大圓覺):‘원각’은 “원만한 대각(大覺), 부처님의 원만한 깨달음”을 뜻하므로, ‘대원각’은 ‘원각’을 더욱 강조해 표현한 말이다.
주002)
가람(伽藍):범어 ‘상가 아라마(saṃgha-ārāma)’, 즉 ‘승가람마(僧伽藍摩)’의 간략한 음역. 스님들이 한곳에 모여서 수행하고 생활하는 곳. 흔히 말하는 ‘절’이나 사찰(寺刹), 사원(寺院)을 가리키며, 동의어로 불사(佛寺)·승단(僧團)·승원(僧院)·중원(衆園) 등이 쓰인다.
주003)
팔식(八識):감각이나 지각의 능력을 지닌 생명체인 유정(有情)이 지니고 있는 8가지 심의식(心意識).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阿賴耶識) 등.
주004)
바리:바다가. 바[海]+이(주격조사). 이 책에는 ‘바’형도 나타난다. 15세기 문헌에서 ‘바’과 함께 빈번하게 사용된 쌍형어는 ‘바다ㅎ’이다. ¶① 바므른〈원각, 서39ㄱ〉. ② 바 보〈원각, 서79ㄱ〉. 닐굽 山  香水 바다히니〈월석1:23ㄱ〉.
주005)
법계(法界):모든 존재의 총칭. 존재의 종류, 영역, 본성 등 다양한 뜻을 지닌 말로, 크게 둘로 나누면 ① 세계 또는 우주 전체, ② 진리 자체인 진여(眞如). 이 둘을 종합하면 인과(因果)의 법칙에 지배되고 있는 범위.
주006)
사지(四智):부처님의 4가지 지혜. ① 대원경지(大圓鏡智): 인간 의식의 심연에 있는 제8식이 무명(無明)을 모두 제거할 때 나타나는 지혜로, 한 점 티끌도 없는 거울에 삼라만상이 그대로 비추어 모자람이 없는 것과 같이 원만하고 분명한 지혜, ② 평등성지(平等性智): 〈하3-2:35ㄱ〉 참조. ③ 묘관찰지(妙觀察智): 의식이 변하여 이루어지는 지혜로, 모든 법을 묘하게 관찰하여 정통하게 설법하여 중생의 의심을 끊는 데 사용하는 지혜, ④ 성소작지(成所作智): 눈·귀·코·혀·피부 등의 5관으로 느끼는, 전5식(前五識)이 변하여 생성되는 지혜로, 5관으로 행하는 일을 올바로 이루도록 하는 지혜. 4지에 대해서는 신라 원효(元曉)의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에 상세히 해설되어 있다.
주007)
원경(圓鏡):‘대원경지(大圓鏡智)’를 줄인 말. 만덕(萬德)을 원만하게 갖추어 모든 법을 깨달아 안 것을 말한다. 불과(佛果)에 이르렀을 때 얻게 되는 지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