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2. 현선수보살장(賢善首菩薩章)
  • 4. 경전의 이름과 유통을 당부하심
  • 4-1) 이 『경』을 설하신 분과 옹호하는 자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이 『경』을 설하신 분과 옹호하는 자 1


【경】 善男子아 是經은 百千萬億 恒河沙諸佛所說이시며

善男子아 이 經은 百千 萬億 恒河沙 諸佛ㅅ 니시논 고디시며

“선남자여, 이 경(經=원각경)은 백·천·만·억·항하사(恒河沙=갠지스강의 모래) 〈수효 같은〉 부처님들께서 설하시는 바이시며 …”

【종밀주석】 說此經佛이 旣是眞身이시니 眞身이 無礙

원각경언해 하3의2:71ㄱ

샤 塵沙ㅣ 同體故로 一說이 卽是多說이시니라 華嚴에 云샤 十方諸如來ㅣ 同共一法身이샤 一心一智慧시며 力無畏도 亦然이라 시며 又不了義經은 則隨方샤 有說不說커시니와 了義之敎 無佛이 不譚시니 如華嚴에 云샤 我不見有佛國土애 不說此經等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3의2:71ㄴ

이 經 니시 부톄 주001)
부톄:
부처가. 부처님이. 부텨[佛]+·이(주격조사. 거성)→부:톄(0-2). 음운축약으로 제2음절 ‘톄’가 상성으로 변동하였다. 주격조사 ‘i’는 선행 음절의 음운환경에 따라 ‘이/ㅣ/Ø(무형)’ 등 으로 실현되었다. 오늘날의 관점으로는 ‘부텨니미’ 정도의 표현이 기대되나 15세기 문헌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으며 16세기 중엽 육자신주(1560)에 처음 ‘부텨님이’가 나타난다. 이 역주서에서 현대역은 ‘부톄’에 호응하는 서술어에 주체높임 선어말 ‘-시-’가 통합되어 있느냐 여부를 보아 호응이 된 경우에 한해 ‘부톄’를 “부처님이” 정도로 옮겼다. ¶도로혀 뎡에 나셔 원호 부텨님이 어엿 너기샤 나 렴샤〈육자신주12ㄱ〉.
마 이 眞身 주002)
진신(眞身):
진리 자체와 진리의 작용을 신체로 삼으면서 응신(應身)으로 출현하는 원래의 부처.
이시니 眞身이 룜 업스샤 塵沙ㅣ 주003)
체(體):
사물의 본질로서 고정 불변의 특성을 지닌 것. 계(界), 성(性), 본체(本體) 등과 같은 의미로 씀.
가지실  마리 곧 이 한 마리시니라 華嚴에 니샤 十方 諸如來ㅣ  가짓  法身 주004)
법신(法身):
불법(佛法)을 신체에 비유하여 표현한 말로서, 부처가 설한 정법(正法)을 가리킴. 어떤 형체를 가진 몸이 아니라, 영원불변의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
이샤  미며  智慧시며 力과 無畏와도  그러타 시며  了義 주005)
요의(了義):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을 줄인 말. ‘요의’는 불법(佛法)의 진실하고 극진한 뜻을 분명하게 밝혔다는 것으로, 이 경전의 제목은 “일체 중생의 본래 성불(本來成佛)을 드러내는 완전 원만한 깨달음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가장 뛰어난 경전”이라는 뜻.
아닌 經은 方 조샤 니시며 아니 니샴 겨시거니와 了義ㅅ 敎 부톄 니디 아니시리 업스시니 華嚴에 니샤 내 부텨 겨신 國土애 이 經 아니 니샤 보디 몯호라 주006)
몯호라:
못하였다. 몯-[不]+오(선어말어미)+라(정동사어미). 여기 ‘-오/(우)-’는 행동주체(Agent)의 의도를 표현할 때 개재되는 선어말어미이며, 이 때 정동사어미는 ‘-라’와 호응한다. 동사 어간일 때는 과거 평서형, 형용사 어간일 때는 감탄형으로 옮겨진다. ¶네 命終다 주거미 닐오 내 마 命終호라(=목숨이 끊어졌다) 무로 므슴 病으로 命終다〈월석9:36ㄴ〉. 右手 左手로 天地 치샤 오 내 尊호라(=존하도다) 시니〈월석2:34ㄴ〉.
심 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 경을 설하시는 부처님은 이미 이 분이 진신(眞身)이시니, 진신(眞身)은 가림이 없으시어 진사(塵沙=먼지와 모래)가 체(體)가 한가지이시므로 한 마디 말씀이 곧 이것이 많은 말씀이신 것이다. 화엄경에 이르시되, 시방의 모든 여래가 한가지로 한 법신(法身)이시고 한 마음이며 한 지혜이시며 힘[力]과 ‘두려움 없음’[無畏]도 또 그렇다고 하시며, 또 요의(了義=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가 아닌 경전은 방편을 따르시어, 설하시고 설하지 않으심이 있으시거니와 요의(了義=요의경)의 가르침은 부처님이 설하지 아니하시는 것이 없으시니, 화엄경에 이르시되, 나는 부처님 계신 국토에 이 경전을 설하지 아니하심을 보지 못하였다고 하신 것 등과 같으니라.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부톄:부처가. 부처님이. 부텨[佛]+·이(주격조사. 거성)→부:톄(0-2). 음운축약으로 제2음절 ‘톄’가 상성으로 변동하였다. 주격조사 ‘i’는 선행 음절의 음운환경에 따라 ‘이/ㅣ/Ø(무형)’ 등 으로 실현되었다. 오늘날의 관점으로는 ‘부텨니미’ 정도의 표현이 기대되나 15세기 문헌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으며 16세기 중엽 육자신주(1560)에 처음 ‘부텨님이’가 나타난다. 이 역주서에서 현대역은 ‘부톄’에 호응하는 서술어에 주체높임 선어말 ‘-시-’가 통합되어 있느냐 여부를 보아 호응이 된 경우에 한해 ‘부톄’를 “부처님이” 정도로 옮겼다. ¶도로혀 뎡에 나셔 원호 부텨님이 어엿 너기샤 나 렴샤〈육자신주12ㄱ〉.
주002)
진신(眞身):진리 자체와 진리의 작용을 신체로 삼으면서 응신(應身)으로 출현하는 원래의 부처.
주003)
체(體):사물의 본질로서 고정 불변의 특성을 지닌 것. 계(界), 성(性), 본체(本體) 등과 같은 의미로 씀.
주004)
법신(法身):불법(佛法)을 신체에 비유하여 표현한 말로서, 부처가 설한 정법(正法)을 가리킴. 어떤 형체를 가진 몸이 아니라, 영원불변의 진리 그 자체를 뜻한다.
주005)
요의(了義):‘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을 줄인 말. ‘요의’는 불법(佛法)의 진실하고 극진한 뜻을 분명하게 밝혔다는 것으로, 이 경전의 제목은 “일체 중생의 본래 성불(本來成佛)을 드러내는 완전 원만한 깨달음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가장 뛰어난 경전”이라는 뜻.
주006)
몯호라:못하였다. 몯-[不]+오(선어말어미)+라(정동사어미). 여기 ‘-오/(우)-’는 행동주체(Agent)의 의도를 표현할 때 개재되는 선어말어미이며, 이 때 정동사어미는 ‘-라’와 호응한다. 동사 어간일 때는 과거 평서형, 형용사 어간일 때는 감탄형으로 옮겨진다. ¶네 命終다 주거미 닐오 내 마 命終호라(=목숨이 끊어졌다) 무로 므슴 病으로 命終다〈월석9:36ㄴ〉. 右手 左手로 天地 치샤 오 내 尊호라(=존하도다) 시니〈월석2:34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