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1.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
  • 4. 참회기도 방법
  • 4-3) 정해진 기간 동안의 수행 2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정해진 기간 동안의 수행 2


【경】 當正思惟고

반기 思惟 주001)
사유(思惟):
대상을 헤아려 분별하는 것. 올바르게 행동하기 위해 가장 합리적인 생각을 가지는 것. ¶思惟는 이  쳐 뵈 支니 〈원각, 상2-2:116ㄴ〉.
 正히 고

반드시 사유(思惟)를 바르게 하고

【종밀주석】 明不假設像等시니 當知唯心이라 無外境

원각경언해 하3의2:12ㄴ

界로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像 폄 븓디 아니호 기시니 오직 미라 밧 境界 주002)
밧 경계(境界):
밖의 경계. 한문 ‘外境界(외경계)’에 대한 번역.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의 6가지 대상. ‘밧’[外]의 기저형은 ‘’이고, 뒤에 휴지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오면 ‘밧’, 모음 조사가 오면 ‘’으로 실현되었다. ¶① 如來 보디 몯고 堂 밧 보리 잇녀〈능엄1:50ㄴ〉. 안콰 밧괘〈능엄6:29ㄱ〉. ② 太子ㅣ 東門 밧긔 나가시니〈석상3:16ㄴ〉.
업스믈 반기 알리로다 주003)
알리로다:
알 것이로다. 알-[知]+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로(감탄법 선어말어미 ‘-도-’의 이형태)+다(어미).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위의 경 본문은〉 상(像=형상) 펼치는 것에 의거하지 아니함을 밝히시니 ‘오직 마음’[唯心]이다. 밖의 경계(境界)가 없음을 응당 알 것이로다.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사유(思惟):대상을 헤아려 분별하는 것. 올바르게 행동하기 위해 가장 합리적인 생각을 가지는 것. ¶思惟는 이  쳐 뵈 支니 〈원각, 상2-2:116ㄴ〉.
주002)
밧 경계(境界):밖의 경계. 한문 ‘外境界(외경계)’에 대한 번역.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의 6가지 대상. ‘밧’[外]의 기저형은 ‘’이고, 뒤에 휴지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가 오면 ‘밧’, 모음 조사가 오면 ‘’으로 실현되었다. ¶① 如來 보디 몯고 堂 밧 보리 잇녀〈능엄1:50ㄴ〉. 안콰 밧괘〈능엄6:29ㄱ〉. ② 太子ㅣ 東門 밧긔 나가시니〈석상3:16ㄴ〉.
주003)
알리로다:알 것이로다. 알-[知]+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로(감탄법 선어말어미 ‘-도-’의 이형태)+다(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