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1.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
  • 4. 참회기도 방법
  • 4-3) 정해진 기간 동안의 수행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정해진 기간 동안의 수행 4


【경】 施設形像고 心存目想야 生正憶念호 還同如來常住之日야

形像 주001)
형상(形像):
사물의 생긴 모양이나 상태. 여기서는 불상(佛像).
 펴고 매 두며 누네 念야 正

원각경언해 하3의2:13ㄱ

憶念 주002)
억념(憶念):
마음속에 단단히 기억하여 잊지 아니함. 또는 그런 기억.
 내요 도로 如來ㅅ 주003)
여래(如來)ㅅ:
여래의. ‘ㅅ’은 존칭 체언에 붙는 속격(관형격) 조사. 주어적 용법. 여래가. 여래께서. ‘如來’는 부처님의 10가지 이름[如來十號] 중 하나. 범어 다타가타(tathāgata)를 의역한 말. ‘모든 부처님들과 같은 길을 걸어서 그와 같이 이 세상에 오신 분’이라는 뜻. 우연이나 기적으로 오신 것이 아니라 여실(如實)한 진리를 따라서 이 세상에 오셔서 진리를 보여주시는 분.
常住 날티 야

형상(形像)을 펴고 마음에 두며, 눈으로 염하여 바른 억념(憶念)을 내되, 돌이키어 여래(如來)께서 상주(常住=세상에 살아 있음)한 날과 같이 하여

【종밀주석】 明設像之意시니 謂大師ㅣ 去世샤 不覩眞儀올 設像諦觀와 引心入法이니 相卽無相이라사 卽見如來오리라 亦可想佛眞身이 常在不滅이니라 若稱理說者댄 觀行無間은 是佛現在오 間斷之時 是佛滅後ㅣ니 斷後에 復作觀行思惟ㅣ 是設像存想이니 今且依事行야 釋也노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3의2:14ㄱ

像 펴 들 기시니 닐오 大師ㅣ 世 리샤 眞實ㅅ  보디 몯올 像 펴 仔細히 보와  혀 法에 드료미니 相이 곧 相 업수미라 곧 如來 보오리라  어루 부텻 眞身이 녜 겨샤 滅티 아니샤 念홀디니라 다가 理예 마초 닐오딘댄 觀行 그츔 업수믄 이 부톄 現在샤미오 그츤 時節은 이 부톄 滅신 後ㅣ니 그츤 後에  觀行 思惟 지미 이 像 펴며 두며 念호미니 이제  事行 브터 사기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위의 경 본문은〉 상(像=형상) 펴는 뜻을 밝히신 것이니, 이르기를 ‘큰 스승’[大師=부처님]이 세상을 버리시어 진실한 모습을 보지 못하므로 형상(사람의 형체를 본뜬 입체적 조형물이나 그림)을 펴 자세히 보아 마음을 끌어 법(法)에 들어가게 함이니 상(相=보고 알 수 있는 모습)이 곧 상(相) 없음이라야(=없는 것과 같아야) 곧 여래(如來)를 볼 것이다. 또 가히 부처님의 진신(眞身)은 항상 계시어 멸(滅)하지 아니하심을 염(念)해야 할 것이다. 만약에 진리에 맞추어 말할 것 같으면 관행(觀行=마음을 관조하는 수행법)을 그침이 없다는 것은 이것이 부처님이 현재(現在=지금 이 세상에 있다.)하심이고, 그것이 그친 때는 이것이 부처님이 멸하신 후이니, 그친 후에도 또 관행(觀行)하는 것과 같은 사유(思惟)를 짓는 것, 이것이 ‘상(像)을 펴며 두며 염(念)하는 것’이니, 이제 또 사행(事行=차별적 수행)에 의거하여 풀이하노라.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형상(形像):사물의 생긴 모양이나 상태. 여기서는 불상(佛像).
주002)
억념(憶念):마음속에 단단히 기억하여 잊지 아니함. 또는 그런 기억.
주003)
여래(如來)ㅅ:여래의. ‘ㅅ’은 존칭 체언에 붙는 속격(관형격) 조사. 주어적 용법. 여래가. 여래께서. ‘如來’는 부처님의 10가지 이름[如來十號] 중 하나. 범어 다타가타(tathāgata)를 의역한 말. ‘모든 부처님들과 같은 길을 걸어서 그와 같이 이 세상에 오신 분’이라는 뜻. 우연이나 기적으로 오신 것이 아니라 여실(如實)한 진리를 따라서 이 세상에 오셔서 진리를 보여주시는 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