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1.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
  • 4. 참회기도 방법
  • 4-6) 가행정진을 하는 방법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6) 가행정진을 하는 방법 4


【경】 覺亦如是니라

覺도  이 니라

깨달음도 또한 이와 같은 것이다.

【종밀주석】 例於靜也ㅣ니 應云如是初覺이 從於一身야 至一世界니라 靜은 卽是體며 是定이오 覺은 卽是慧며 是用이라 初觀이 成야 不見自身之相이 名一身靜이니 以身靜時예 當體是覺일 名一身覺이니 世界도 亦然니라

원각경언해 하3의2:42ㄱ

二 起功用이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靜에 例샤미니 반기 닐오 이티 처 覺호미 一身을 브터 一世界예 니르다 홀디니라 靜은 곧 이 體며 이 주001)
정(定):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여 흩어지지 않게 하는 것. 선정(禪定).
이오 覺 곧 慧며

원각경언해 하3의2:42ㄱ

이 用이라 처 觀이 이러 제  相 보디 몯호미 일후미 주002)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역사적으로 이것의 파생동사 ‘일훔(일홈)다’는 16세기에는 거의 안 보이고 ‘일훔(일홈) 짛-/나-’가 일반적이지만, 15세기와 17-18세기 문헌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고, 최근의 인터넷 자료에서 ‘이름하-’가 동사로 사용된 예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① 15세기: 菩提心을 種子ㅣ라 일훔니〈월석9:20ㄴ〉. ② 16세기: 찾기 어려움. ③ 17세기: 내 아비 나 듁듁으로 일훔호 날로 여곰  치워도 아니 러디고〈동국신속, 충1:9ㄴ〉. ④ 18세기: 셰샹이 일홈야 호로 일지라〈을병연행록787〉. 우음을 돕고 일홈야 닐오 炮烙刑罰이라 니라〈어제내훈3ㄴ〉.
一身靜이니 身이 靜 時節에 當 體이 覺일 일후미 一身覺이니 世界도  그러니라 둘흔 功用 주003)
공용(功用):
몸·입·뜻으로 짓는 것. 곧 동작·말·생각을 말함.
니르와도미오 주004)
니르와도미오:
일으킴이고. 니르왇-[起]+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오(어미 ‘고’의 이형태). ‘-왇-’은 강조[힘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능엄경언해(1461) 이전에는 ‘-/왇-’이 공존하였다. 연결어미 ‘고→오’ 교체는 15세기 중엽에서 16세기 중엽에 서술격조사 ‘ㅣ(i)’나 하향중모음 ‘j’ 또는 종성 ‘ㄹ’ 아래에 ‘ㄱ’으로 시작하는 문법형태소[과, 고, 거 등]가 올 때 후음 ‘ㅇ’[ɦ]로 약화되는 규칙이 있었는데, 그 규칙의 적용을 받은 결과이다. ¶知見 니르도 아니실〈석상21:2ㄱ〉. 念 니르와도미 서르 닛니〈월석11:74ㄱ〉. 브리 盛야 나면  뉘 어니와 모딘 이비 盛야 나면 無數 뉘 며〈석상11:42ㄴ〉.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위의 경 본문은〉 고요함[靜]에 대한 예를 들으신 것이니 응당 말하기를, “이같이 처음 깨닫는 것이 일신(一身)으로부터 한 세계[一世界]에 이른다.”고 해야 할 것이다. 고요함[靜]은 곧 이것이 체(體=본체)이며, 이것이 정(定=선정/사마타)이고, 각(覺)은 곧 혜(慧=지혜)이며, 이것이 용(用)이다. 처음 관(觀=관법)이 이루어져 제 몸의 모습을 보지 못함이 ‘일신정(一身靜)’이니, 몸[身]이 고요한 때에 해당하는 체(體), 이것이 각(覺)이므로 이름이 ‘일신각(一身覺)’이니 세계(世界)도 또한 그러한 것이다. 둘은 공용(功用)을 일으킴이고,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정(定):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여 흩어지지 않게 하는 것. 선정(禪定).
주002)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역사적으로 이것의 파생동사 ‘일훔(일홈)다’는 16세기에는 거의 안 보이고 ‘일훔(일홈) 짛-/나-’가 일반적이지만, 15세기와 17-18세기 문헌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고, 최근의 인터넷 자료에서 ‘이름하-’가 동사로 사용된 예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① 15세기: 菩提心을 種子ㅣ라 일훔니〈월석9:20ㄴ〉. ② 16세기: 찾기 어려움. ③ 17세기: 내 아비 나 듁듁으로 일훔호 날로 여곰  치워도 아니 러디고〈동국신속, 충1:9ㄴ〉. ④ 18세기: 셰샹이 일홈야 호로 일지라〈을병연행록787〉. 우음을 돕고 일홈야 닐오 炮烙刑罰이라 니라〈어제내훈3ㄴ〉.
주003)
공용(功用):몸·입·뜻으로 짓는 것. 곧 동작·말·생각을 말함.
주004)
니르와도미오:일으킴이고. 니르왇-[起]+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오(어미 ‘고’의 이형태). ‘-왇-’은 강조[힘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능엄경언해(1461) 이전에는 ‘-/왇-’이 공존하였다. 연결어미 ‘고→오’ 교체는 15세기 중엽에서 16세기 중엽에 서술격조사 ‘ㅣ(i)’나 하향중모음 ‘j’ 또는 종성 ‘ㄹ’ 아래에 ‘ㄱ’으로 시작하는 문법형태소[과, 고, 거 등]가 올 때 후음 ‘ㅇ’[ɦ]로 약화되는 규칙이 있었는데, 그 규칙의 적용을 받은 결과이다. ¶知見 니르도 아니실〈석상21:2ㄱ〉. 念 니르와도미 서르 닛니〈월석11:74ㄱ〉. 브리 盛야 나면  뉘 어니와 모딘 이비 盛야 나면 無數 뉘 며〈석상11:42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