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1.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
  • 4. 참회기도 방법
  • 4-7) 삼관(三觀)의 방편을 제시하다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7) 삼관(三觀)의 방편을 제시하다 1


【종밀주석】 二 幻觀이니 文이 二니 一은 明正觀이오

둘흔 幻觀이니 文이 둘히니 나 正 觀 기샤미오

둘(=아래 경 본문)은 환관(幻觀) 주001)
환관(幻觀):
삼마발제(三摩跋提=samāpatti). 청정하게 깨달은 환(幻=허깨비)인 마음으로 6근 6식의 환(幻)을 없애는 수행법.
이니 문(文)이 둘인데, 하나는 바른 관(觀)을 밝히신 것이고,

【경】 善男子아 若諸衆生이 修三摩鉢提ㄴ댄 先當憶想 十方如來와 十方世界 一切菩薩야 依種種門야 漸次修行야 勤苦三昧야

善男子

원각경언해 하3의2:43ㄴ

아 다가 諸衆生이 三摩鉢提 주002)
삼마발제(三摩鉢提):
진리를 관찰하는 3가지 방법 중 하나. ‘Sam󰐀patti’의 음역. 등지(等至)라 의역하며, 우리말로는 “허깨비[幻]를 보는 지혜”라는 뜻이다. 청정하게 깨달은 환(幻)인 마음으로 6근 6식의 환(幻)을 없애는 수행법. ‘허깨비’[幻]는 본래는 없는데 있는 것처럼, 또는 다른 것처럼 보이는 것.
 닷골딘댄 몬져 반기 十方 주003)
시방(十方):
10개의 방향. 모든 방위. 모든 공간을 총칭함. 동·서·남·북 4방(四方)에, 동북·동남·서북·서남 등 사유(四維) 또는 사우(四隅)에, 상·하를 통틀어 이르는 말. ‘十方世界, 十月, 十五里’ 등의 ‘十’은 ‘시’로 읽는다. ‘상하’가 포함되는 것은 방향은 지도처럼 평면적인 개념이 아니라 공간적인 개념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如來와 十方世界 주004)
시방세계(十方世界):
전후, 좌우, 상하의 공간세계. 보통은 ‘사방팔방’만을 말하지만, 불교에서는 평면적인 공간세계만을 말하지 않고 방위(方位)의 경우도 입체적으로 생각해 동서남북의 사방(四方)과 동북·동남·서북·서남 등 4개 간방(間方)에다 상하방(上下方)을 합하여 시방세계(十方世界)라 한다.
一切 菩薩을 思量 주005)
사량(思量):
사리(事理)를 헤아려서 생각하는 것.
야 念야 種種 門을 브터 漸次로 修行야 三昧 주006)
삼매(三昧):
들뜨거나 가라앉은 마음을 모두 떠나 평온한 마음을 견지하는 것. 흩어짐 없이 집중된 마음의 상태. 수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혜는 흩어짐 없이 편안하고 고요한 마음 상태에서 비롯되므로, 불교에서는 ‘삼매’의 상태를 강조한다. 선원(禪院)에서 스님들이 좌선(坐禪)하거나 선정(禪定) 수행을 하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깨달음을 얻기 위한 것이다.
勤苦히 주007)
근고(勤苦)히:
부지런히 일하고 수고롭게 애써.
야

선남자(善男子)여, 만약에 모든 중생(衆生)이 삼마발제(三摩鉢提)를 닦을 것이면 먼저 반드시 시방여래(十方如來)와 시방세계(十方世界)의 일체 보살(菩薩)을 사량(思量)하여 염(念)하여 갖가지 관문(觀門)에 의지하여 점차로 수행(修行)하여 삼매(三昧)를 근고(勤苦)히 하여

【종밀주석】 前至靜觀은 不假外緣이어니와 今起幻門中엔 須憑聖境이니라 前威德段中엔 圓說故로 約大悲化生시고 今道場之內예 且自剋修故로 約大智求佛시니라 亦可諸佛菩薩이 必以大悲로 爲本시니 但依佛菩薩種種之門면 自然具大悲也리니 道場之

원각경언해 하3의2:44ㄱ

內예 且學悲心야 限滿對緣야 卽將化用리라 漸次者 前은 至靜歸體라 功則頓現코 今은 隨差別之相일 故應漸次ㅣ니 所以前은 有起於功用코 今則無文호미 是斯意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알 至極 靜 觀 밧긧 주008)
연(緣):
물건이 생길 때에 친한 원인이 되는 것[因]과, 힘을 주어 인(因)으로 하여금 결과를 낳게 하는 것. 결과를 내는 데 장애가 되지 않는 힘. 인(因)과 연(緣)을 나누어 말하면 친한 원인은 인(因), 멀리서 도와주는 것을 연(緣)이라 한다. 외연(外緣)은 밖에서 힘을 주어 어떤 사물이나 결과가 생겨나는 데 도움을 주는 원인이 되는 연(緣). 환경.
 븓디 아니야니와 이제 幻 니르와 門中엔 모로매 聖境을 브툴디니라 알 威德段 주009)
위덕단(威德段):
위덕보살장. 원각경언해(하2-1)에 실린 내용. 위덕자재보살이 원각묘심(圓覺妙心)을 깨닫기 위한 수행과정(修行課程)에서 쓰이는 관행(觀行)의 종류와 점차(漸次)와 수행하는 사람의 종류에 대하여 설법을 청하고 세존이 이에 대해 답하는 내용이다.
中엔 圓 마리실 大悲生 化샤 자시고 이제 道場 內옌  걔 주010)
걔:
자기가. 당신이. ‘갸’는 중세국어 재귀대명사로서 ‘저’는 평칭, ‘갸’는 ‘저’의 존칭으로 쓰였다. 갸+ㅣ(주격조사). 아주 드물게 단독형으로 ‘걔’로 나타난 경우도 있다. ¶四衆의 맷 疑心을 알며 걔도 아디 몯야〈법화1:161ㄴ〉.
一定히 닷고밀 大智 주011)
대지(大智):
광대한 지혜. 부처님의 지혜를 가리킴.
ㅣ 부텨 求호 자시니라  어루 諸

원각경언해 하3의2:44ㄴ

佛菩薩이 반기 大悲 주012)
대비(大悲):
중생의 고통을 없애 주는 불보살(佛菩薩)의 대자비심을 말함.
로 本 사시니 오직 佛菩薩ㅅ 種種앳 門을 브트면 自然히 大悲 리니 道場 內예  悲心을 화 限이 거든 緣을 對야 곧  化야 리라 漸次 알 至極히 靜야 體예 도라간디라 功이 믄득 낟고 이 差別 相 조 漸次로 호미 맛당니 알 功用 니르와도미 잇고 이젠 그리 업수미 이 이 디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앞에서 말한 지극히 고요한[靜] 관(觀=靜觀)은 밖에서 끼치는 연(緣=외연)에 의탁하지 아니하거니와, 이제 환(幻=허깨비)을 일으킨 관문(觀門)에는 모름지기 성경(聖境=성인의 경지)을 의지해야 할 것이다. 앞의 위덕(威德) 단락(=위덕보살장) 중에는 원만한 말씀이므로 대비생(大悲生)을 화하심을 잡으시고, 이제는 도량(道場) 안에서는 또 자기(=수행자)가 일정하게 닦는 것이므로 대지(大智)가 부처[佛] 구함을 잡으신 것이다. 또 가히 모든 부처와 보살(菩薩)이 반드시 대비(大悲=큰 자비심)로 근본을 삼으시나니, 오직 불보살(佛菩薩)의 갖가지 문(門=관문)에 의지하면 저절로 그렇게 대비(大悲)가 갖추어질 것이다. 도량(道場) 안에서 또 자비심(大悲心)을 배워 기한이 차거든 인연을 대하여 곧 장차 화(化)하여 쓸 것이다. 점차(漸次)는 앞은 지극히 고요하여[靜] 체(體=본체)에 돌아간 것이라, 공(功)이 문득 나타나고 이제는 차별(差別)이 있는 모습[相]을 좇으므로 점차(漸次)로 행함이 마땅하니, 앞은 공용(功用)을 일으킴이 있고, 이제는 글이 없는 것, 이것이 이 뜻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환관(幻觀):삼마발제(三摩跋提=samāpatti). 청정하게 깨달은 환(幻=허깨비)인 마음으로 6근 6식의 환(幻)을 없애는 수행법.
주002)
삼마발제(三摩鉢提):진리를 관찰하는 3가지 방법 중 하나. ‘Sam󰐀patti’의 음역. 등지(等至)라 의역하며, 우리말로는 “허깨비[幻]를 보는 지혜”라는 뜻이다. 청정하게 깨달은 환(幻)인 마음으로 6근 6식의 환(幻)을 없애는 수행법. ‘허깨비’[幻]는 본래는 없는데 있는 것처럼, 또는 다른 것처럼 보이는 것.
주003)
시방(十方):10개의 방향. 모든 방위. 모든 공간을 총칭함. 동·서·남·북 4방(四方)에, 동북·동남·서북·서남 등 사유(四維) 또는 사우(四隅)에, 상·하를 통틀어 이르는 말. ‘十方世界, 十月, 十五里’ 등의 ‘十’은 ‘시’로 읽는다. ‘상하’가 포함되는 것은 방향은 지도처럼 평면적인 개념이 아니라 공간적인 개념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주004)
시방세계(十方世界):전후, 좌우, 상하의 공간세계. 보통은 ‘사방팔방’만을 말하지만, 불교에서는 평면적인 공간세계만을 말하지 않고 방위(方位)의 경우도 입체적으로 생각해 동서남북의 사방(四方)과 동북·동남·서북·서남 등 4개 간방(間方)에다 상하방(上下方)을 합하여 시방세계(十方世界)라 한다.
주005)
사량(思量):사리(事理)를 헤아려서 생각하는 것.
주006)
삼매(三昧):들뜨거나 가라앉은 마음을 모두 떠나 평온한 마음을 견지하는 것. 흩어짐 없이 집중된 마음의 상태. 수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혜는 흩어짐 없이 편안하고 고요한 마음 상태에서 비롯되므로, 불교에서는 ‘삼매’의 상태를 강조한다. 선원(禪院)에서 스님들이 좌선(坐禪)하거나 선정(禪定) 수행을 하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깨달음을 얻기 위한 것이다.
주007)
근고(勤苦)히:부지런히 일하고 수고롭게 애써.
주008)
연(緣):물건이 생길 때에 친한 원인이 되는 것[因]과, 힘을 주어 인(因)으로 하여금 결과를 낳게 하는 것. 결과를 내는 데 장애가 되지 않는 힘. 인(因)과 연(緣)을 나누어 말하면 친한 원인은 인(因), 멀리서 도와주는 것을 연(緣)이라 한다. 외연(外緣)은 밖에서 힘을 주어 어떤 사물이나 결과가 생겨나는 데 도움을 주는 원인이 되는 연(緣). 환경.
주009)
위덕단(威德段):위덕보살장. 원각경언해(하2-1)에 실린 내용. 위덕자재보살이 원각묘심(圓覺妙心)을 깨닫기 위한 수행과정(修行課程)에서 쓰이는 관행(觀行)의 종류와 점차(漸次)와 수행하는 사람의 종류에 대하여 설법을 청하고 세존이 이에 대해 답하는 내용이다.
주010)
걔:자기가. 당신이. ‘갸’는 중세국어 재귀대명사로서 ‘저’는 평칭, ‘갸’는 ‘저’의 존칭으로 쓰였다. 갸+ㅣ(주격조사). 아주 드물게 단독형으로 ‘걔’로 나타난 경우도 있다. ¶四衆의 맷 疑心을 알며 걔도 아디 몯야〈법화1:161ㄴ〉.
주011)
대지(大智):광대한 지혜. 부처님의 지혜를 가리킴.
주012)
대비(大悲):중생의 고통을 없애 주는 불보살(佛菩薩)의 대자비심을 말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