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2. 현선수보살장(賢善首菩薩章)
  • 4. 경전의 이름과 유통을 당부하심
  • 4-2) 이 『경』의 이름과 공덕 등에 대한 말씀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이 『경』의 이름과 공덕 등에 대한 말씀 13


【경】 乃至蚊蝱과

蚊蝱과蚊과 蝱과 주001)
문(蚊)과 맹(蝱)과:
모기와 등에는. ¶蝱 위라〈능엄9:68ㄴ〉. 蚊 모긔 문. 虻의 〈자회, 상11〉. 15세기 국어에서는 오늘날과는 달리 두 개 이상의 체언을 나열할 때 마지막 체언(여기서는 ‘蝱’) 뒤에까지 선행 체언의 음운환경에 따라 ‘과/와’를 붙이고 여기에 다시 격조사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三삼寶 佛와 法법과 僧괘라(←과+ㅣ라)〈석상, 서6〉. 간혹 현대국어와 같은 용법도 보인다. ¶텬天과 귀鬼왜 듣거늘 밤과 낮과 법法을 니시니〈곡16장〉.
사 므  벌에라】

모기와 등에【문(蚊=모기)과 맹(蝱=등에)는 사람을 무는 날아다니는 벌레다.】

【종밀주석】 此 喩二乘受持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이 二乘 주002)
이승(二乘):
부처님의 가르침, 또는 그 가르침을 실천하는 입장을 2가지로 구분한 것. 성문승과 보살승. 또는 소승과 대승.
의 受持 가

원각경언해 하3의2:80ㄱ

비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는 이승(二乘)이 받아 지님을 비유하신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문(蚊)과 맹(蝱)과:모기와 등에는. ¶蝱 위라〈능엄9:68ㄴ〉. 蚊 모긔 문. 虻의 〈자회, 상11〉. 15세기 국어에서는 오늘날과는 달리 두 개 이상의 체언을 나열할 때 마지막 체언(여기서는 ‘蝱’) 뒤에까지 선행 체언의 음운환경에 따라 ‘과/와’를 붙이고 여기에 다시 격조사를 붙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三삼寶 佛와 法법과 僧괘라(←과+ㅣ라)〈석상, 서6〉. 간혹 현대국어와 같은 용법도 보인다. ¶텬天과 귀鬼왜 듣거늘 밤과 낮과 법法을 니시니〈곡16장〉.
주002)
이승(二乘):부처님의 가르침, 또는 그 가르침을 실천하는 입장을 2가지로 구분한 것. 성문승과 보살승. 또는 소승과 대승.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