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2. 현선수보살장(賢善首菩薩章)
  • 4. 경전의 이름과 유통을 당부하심
  • 4-2) 이 『경』의 이름과 공덕 등에 대한 말씀 20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이 『경』의 이름과 공덕 등에 대한 말씀 20


【경】 不如有人이 宣說此經야 分別半偈니라

사미 이 經을 펴 닐어 半偈 分別홈 디 몯니라

〈어떤〉 사람이 이 경을 펴 일러(=설하여) 반 게송을 분별함(=해석함)만 같지 못한 것이다.

【종밀주석】 凡全偈者 所謂四句ㅣ니 句有二種니 謂文句와 義句왜라 若約文句홀뎬 卽兩句ㅣ 爲半偈오 若約義句홀뎬 卽說一切法이 本來

원각경언해 하3의2:84ㄱ

空寂이 是半偈也ㅣ니 顯空體不空야 方爲全偈리라 或無常과 眞常과로 爲半及全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3의2:84ㄴ

믈읫 온 偈 주001)
온 게(偈):
온전한 게(偈). 전체 게송. 한문의 ‘全偈(전게)’에 대한 번역. ‘게’는 경(經)·논(論)·석(釋) 등에서, 운문 형식으로 불덕(佛德)을 찬탄하는 것을 가리킨다.
 니샨 四句ㅣ니 句ㅣ 두 가지 잇니 닐오 文句와 義句왜라 다가 文句 자볼뎬 곧 두 句ㅣ 半偈 주002)
반게(半偈):
경 전체의 게송이 아니라 일부분인 게송.
외오 다가 義句 자볼뎬 곧 一切 法이 本來 空寂을 닐우미 이 半偈니 空體 空티 아니호 나토아 비르서 온 偈 외리라 시혹 無常 주003)
무상(無常):
물(物)·심(心)의 모든 현상이 한 찰나에도 생멸 변화하여 항상 머물러있는 모양이 없는 것.
眞常 주004)
진상(眞常):
망령되지 않는 것을 진(眞)이라 하고 변치 않는 것을 상(常)이라 한다. 따라서 진상(眞常)은 범부 중생과 부처의 근본.
과로 半과 오롬과 주005)
오롬과:
온전함을. ‘오롬’은 ‘올-[全]+옴(명사형어미)’. 15세기에 ‘올-’은 ‘오-,오올-’형이 공존함으로써 이것의 파생부사는 [:오·로]≈[오··로]≈[오·오·로]형이 나타난다. ‘삼다’는 “(…을…으로) 여기다” 정도의 뜻이다.
삼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무릇 온(=전체) 게송은 이르신 바 4구이니, 구(句)가 두 가지가 있는데 이르되, 문구(文句)와 의구(義句)이다. 만일 문구(文句)를 잡아 말할 것 같으면(=잡아 말한다면) 곧 두 구가 반게(半偈)가 되고, 의구(義句)를 잡아 말한다면 곧 모든 법(法)이 본래 공적(空寂)함을 말한 것, 이것이 반게(半偈)이니, 공체(空體)가 공(空)하지 아니함을 나타내어야 비로소 온전한 게(偈)가 되리라. 혹 무상(無常)과 진상(眞常)으로 반(半
반게
)과 온전한 것[全
전게
]으로 삼기도 하느니라.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온 게(偈):온전한 게(偈). 전체 게송. 한문의 ‘全偈(전게)’에 대한 번역. ‘게’는 경(經)·논(論)·석(釋) 등에서, 운문 형식으로 불덕(佛德)을 찬탄하는 것을 가리킨다.
주002)
반게(半偈):경 전체의 게송이 아니라 일부분인 게송.
주003)
무상(無常):물(物)·심(心)의 모든 현상이 한 찰나에도 생멸 변화하여 항상 머물러있는 모양이 없는 것.
주004)
진상(眞常):망령되지 않는 것을 진(眞)이라 하고 변치 않는 것을 상(常)이라 한다. 따라서 진상(眞常)은 범부 중생과 부처의 근본.
주005)
오롬과:온전함을. ‘오롬’은 ‘올-[全]+옴(명사형어미)’. 15세기에 ‘올-’은 ‘오-,오올-’형이 공존함으로써 이것의 파생부사는 [:오·로]≈[오··로]≈[오·오·로]형이 나타난다. ‘삼다’는 “(…을…으로) 여기다” 정도의 뜻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