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2. 현선수보살장(賢善首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3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3


【경】 世尊하 此大乘敎ㅣ

世尊하 이 大乘 주001)
대승(大乘):
마하야나(mahāyāna)의 번역. ‘마하’는 “큰·대(大)”의 뜻이고, ‘야나’는 “탈것·승(乘)”으로 번역된다. 불교 사상사에서 보살도(菩薩道)의 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사상적 흐름을 가리킨다.
敎ㅣ

세존이시여, 이 대승의 가르침은,

【종밀주석】 然이나 正宗分中에 但問所詮法義시니 法義ㅣ 雖已圓備시나 凡心은 難可任持니

원각경언해 하3의2:67ㄴ

聞時예 領會分明야도 過後에 恐還遺忘일 事須持敎야 以敎로 貫穿며 文旣不遺 ㅣ라 隨文解義며 依義起觀야 方成眞正修行故로 此애 問經敎也시니리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그러나 正宗分 中에 오직 所詮ㅅ 法義 묻오시니 法義 비록 마 두려이 주002)
두려이:
원만히. 원만하게. 두렵-[圓/圓滿/具足]+이(부사 파생접미사). 국어표기법사에서 ‘두려〉두려이’의 변화는 능엄경언해(1461) 활자본에서 전격적으로 이루어진다. ‘두렵다’는 “둥글다·원만하다”, ‘두립다’는 “두려워하다”[懼]의 뜻을 가진 별개의 단어이다.
시나 凡夫ㅅ  맛다 주003)
맛다:
맡아[任]. -[任]+아(어미). “어떤 것을 받아 보관하다”의 의미. 오늘날에는 “냄새를 느끼다”는 뜻의 ‘맡다’[嗅]와 동음이의어의 관계에 있으나 16세기까지는 ‘-’[任]와 ‘맡-’[嗅]으로 별개의 단어였다. 17세기 전반 문헌부터 “任”의 경우에 ‘-〉맡-’으로 재구조화한 예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① 天下 맛시릴[將受九圍]〈용가6〉. 任 맛딜 임〈1576, 유합,하9ㄴ〉. 任 맛들 임〈1583, 석천39ㄴ〉. 임진왜난의 샹 목 되여셔 내 맛  나디 아니고〈1617 동신, 충1:48ㄴ〉. ② 諸天 퓌우 香도 조쳐 마며〈석상19:19ㄴ〉.
디뉴미 어려우니 듣올 時節에 아로 分明히 야도 디난 後에 도로 니즐가

원각경언해 하3의2:68ㄱ

저플 주004)
저플:
두려우므로. “恐還遺忘일”에서 ‘恐’의 번역. 젛-[懼]+브(형용사 파생접미사)+ㄹ(원인의 어미). 이 책 이전에는 ‘ㄹ’였으나 이 책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으로써 ‘ㄹ’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이리 모로매 敎 디녀 敎로 며 文이 마 일티 아닌논디라 文 조차 義 알며 義 브터 觀 니르와다 비르서 眞正 修行이 외릴 이 經敎 묻오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그러나 정종분 가운데 오직 소전(所詮=설명된 내용)의 법의(法義)를 여쭈시니, 법의가 비록 이미 원만하게 갖추어져 있으나, 범부의 마음은 맡아서 지니기가 어려우니, 듣자올 때에 깨달음을 분명히 하여도 지난 후에 도로 잊을까 두려우므로, 일이 모름지기 가르침을 지니고 가르침으로 꿰며, 글이 이미 유실되지 아니하는지라, 글[文]을 좇아 의(義)를 알며 의(義)에 의거하여 관(觀)을 일으켜야 비로소 참되고 바른 수행이 될 것이므로, 이에 경교(經敎=경의 가르침)를 여쭈신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대승(大乘):마하야나(mahāyāna)의 번역. ‘마하’는 “큰·대(大)”의 뜻이고, ‘야나’는 “탈것·승(乘)”으로 번역된다. 불교 사상사에서 보살도(菩薩道)의 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사상적 흐름을 가리킨다.
주002)
두려이:원만히. 원만하게. 두렵-[圓/圓滿/具足]+이(부사 파생접미사). 국어표기법사에서 ‘두려〉두려이’의 변화는 능엄경언해(1461) 활자본에서 전격적으로 이루어진다. ‘두렵다’는 “둥글다·원만하다”, ‘두립다’는 “두려워하다”[懼]의 뜻을 가진 별개의 단어이다.
주003)
맛다:맡아[任]. -[任]+아(어미). “어떤 것을 받아 보관하다”의 의미. 오늘날에는 “냄새를 느끼다”는 뜻의 ‘맡다’[嗅]와 동음이의어의 관계에 있으나 16세기까지는 ‘-’[任]와 ‘맡-’[嗅]으로 별개의 단어였다. 17세기 전반 문헌부터 “任”의 경우에 ‘-〉맡-’으로 재구조화한 예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① 天下 맛시릴[將受九圍]〈용가6〉. 任 맛딜 임〈1576, 유합,하9ㄴ〉. 任 맛들 임〈1583, 석천39ㄴ〉. 임진왜난의 샹 목 되여셔 내 맛  나디 아니고〈1617 동신, 충1:48ㄴ〉. ② 諸天 퓌우 香도 조쳐 마며〈석상19:19ㄴ〉.
주004)
저플:두려우므로. “恐還遺忘일”에서 ‘恐’의 번역. 젛-[懼]+브(형용사 파생접미사)+ㄹ(원인의 어미). 이 책 이전에는 ‘ㄹ’였으나 이 책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으로써 ‘ㄹ’로 나타나게 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