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10집 하3의2
  • 11.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
  • 4. 참회기도 방법
  • 4-2) 도량 차리는 기간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도량 차리는 기간 1


【경】 若復無有他事因緣이어든

다가  녀늣 주001)
녀늣:
다른 것의. 여느 것의. 휴지(休止)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녀느’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으로 실현된다. ¶녀느 굴근 比丘ㅣ 마 오시리니〈석상24:22ㄴ〉. 四海 년글 주리여 매  업거늘 얼우시고  노기시니〈용가20장〉.
일 因緣이 업거든

만약에 또 다른 일의 인연(因緣)이 없거든

【종밀주석】 菩薩이 逢益卽爲시며 遇緣且赴시니 如法華中에 官事當行之類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菩薩이 益 맛나

원각경언해 하3의2:9ㄱ

곧 시며 緣을 맛나  가시니 法華 中에 그윗일 주002)
그윗일:
관청의 일. ‘官事’에 대한 번역. ¶百官 온 그위니 한 臣下 니니라〈석상3:7ㄱ〉. 親친 버디 그윗 일로 나갈 쩨 〈월석15:22ㄴ〉.
녀 주003)
녀:
가는 것을. 감을. 녀-[行]+엄(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녀-’[行]의 명사형은 [·녀-](行. 거성)+[·엄](명사형어미. 거성)+[·](목적격조사. 거성)→[:녀·]. 어간 말음이 ‘ㅓ/ㅕ’일 때는 ‘-엄’이, ‘ㅏ/(ㅑ)’일 때는 명사형 ‘-암’이 결합하되 ‘-어/아-’는 생략(=흡수)되고 성조는 변동한다. ¶:녀·미〈석상9:21ㄴ〉. :셔미〈금삼2:50ㄴ〉. :자·매〈능엄10:82ㄱ〉. :자〈두초8:27ㄴ〉. :나·미[生]〈법화7:129ㄴ〉. :나미〈영가, 하69ㄴ〉 간경도감본 중에서 영가집언해(1464)부터는 어절 말에서 거성(1점)이 평성(0점)으로 나타나기 시작하고 후대로 갈수록 그 경향이 점차 확산되어간다.
當 類 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보살(菩薩)이 이익을 만나 〈그 일을〉 곧 행하시며, 연(緣)을 만나 또 가시나니, 〈이것은 마치〉 법화(法華=법화경) 설법 중에 관청의 일로 감에 당한[=갈 수밖에 없는 일을 당한] 것과 같으시니라.
Ⓒ 역자 | 정우영 / 2008년 11월 20일

주석
주001)
녀늣:다른 것의. 여느 것의. 휴지(休止)나 자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녀느’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는 ‘’으로 실현된다. ¶녀느 굴근 比丘ㅣ 마 오시리니〈석상24:22ㄴ〉. 四海 년글 주리여 매  업거늘 얼우시고  노기시니〈용가20장〉.
주002)
그윗일:관청의 일. ‘官事’에 대한 번역. ¶百官 온 그위니 한 臣下 니니라〈석상3:7ㄱ〉. 親친 버디 그윗 일로 나갈 쩨 〈월석15:22ㄴ〉.
주003)
녀:가는 것을. 감을. 녀-[行]+엄(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녀-’[行]의 명사형은 [·녀-](行. 거성)+[·엄](명사형어미. 거성)+[·](목적격조사. 거성)→[:녀·]. 어간 말음이 ‘ㅓ/ㅕ’일 때는 ‘-엄’이, ‘ㅏ/(ㅑ)’일 때는 명사형 ‘-암’이 결합하되 ‘-어/아-’는 생략(=흡수)되고 성조는 변동한다. ¶:녀·미〈석상9:21ㄴ〉. :셔미〈금삼2:50ㄴ〉. :자·매〈능엄10:82ㄱ〉. :자〈두초8:27ㄴ〉. :나·미[生]〈법화7:129ㄴ〉. :나미〈영가, 하69ㄴ〉 간경도감본 중에서 영가집언해(1464)부터는 어절 말에서 거성(1점)이 평성(0점)으로 나타나기 시작하고 후대로 갈수록 그 경향이 점차 확산되어간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