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13


【경】 悔케 쇼셔

뉘읏붐 주001)
뉘읏붐:
뉘우쁨. 뉘읏브-[悔]+움.
永히 긋게 주002)
긋게:
그치게. 끊게. 긋-[絶]+게.
호 爲쇼셔

뉘우쁨을 영원히 그치게 함을 위하소서.”

【종밀주석】 悔 是不定之法이니 悔善則惡고 悔惡則善故ㅣ라 今請永斷은 卽屬惡也니라 然이나 入道人이 若未通決生佛同異면 則或用

원각경언해 상2의3:10ㄴ

功多時예 反自疑悔리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2의3:11ㄱ

뉘으추믄 이 一定 아니 法이니 善을 뉘으츠면 惡고 惡 뉘으츠면 善 젼라 이제 永히 그추믈 주003)
그추믈:
그침을. 그치기를. 긏-[斷]+움+을.
請샤, 곧 惡애 屬니라 그러나 道애 들 사미 다가 生과 佛 주004)
-왓:
-와의. -와+ㅅ.
며 달오 주005)
달오:
다름을. 다-[異]+옴+.
通히 決티 몯면 시혹 功 미 주006)
미:
씀이. -[用]+움+이.
주007)
한:
많은. 하-[多]+ㄴ.
時節에 도로 주008)
제:
제가. 스스로가.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 :제(주격), 제(관형격) ② ‧내(주격), 내(관형격) ③ :네(주격), 네(관형격) ④ ‧뉘(주격), :뉘(관형격).
疑心야 뉘으츠리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뉘우침은 이것이 일정하지 않은 법이니, 선(善)을 뉘우치면 악(惡)하고 악을 뉘우치면 선하게 되는 까닭이다. 이제 영원히 그치기를 청하시는 것은, 곧 악에 속하느니라. 그러나 도에 들 사람이 만약 생과 부처가 같으며 다름을 두루 결하지 못하면 때로 공(功)을 씀이 많은 때에 도로 스스로 의심하여 뉘우치리라(뉘우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뉘읏붐:뉘우쁨. 뉘읏브-[悔]+움.
주002)
긋게:그치게. 끊게. 긋-[絶]+게.
주003)
그추믈:그침을. 그치기를. 긏-[斷]+움+을.
주004)
-왓:-와의. -와+ㅅ.
주005)
달오:다름을. 다-[異]+옴+.
주006)
미:씀이. -[用]+움+이.
주007)
한:많은. 하-[多]+ㄴ.
주008)
제:제가. 스스로가.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성조에 의해 구별되는 일이 많다. ① :제(주격), 제(관형격) ② ‧내(주격), 내(관형격) ③ :네(주격), 네(관형격) ④ ‧뉘(주격), :뉘(관형격).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