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4. 미혹의 생성과 소멸을 분석해주심
  • 4-1) 의심의 근본을 바로 잡아주심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의심의 근본을 바로 잡아주심 13


【경】

원각경언해 상2의3:18ㄱ

止ㅣ

그춤괘 주001)
그춤괘:
그침이. 긏-[止]+움+과+ㅣ.

그침이

【종밀주석】 調伏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질드려 주002)
질드려:
길들여. 질들-[馴]+이+어.
降伏 주003)
:
시키는. - +ㅣ+ㄹ.
시라 주004)
시라:
것이다. +ㅣ+라. 평서형 종결어미 ‘-다’와 ‘-라’의 대립은 상보적이다.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 조사 뒤에서 쓰이고,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서 쓰인다.
【질드려 降伏요 주005)
요:
하게 함은. - +ㅣ+옴+.
그  그쳐 주006)
그쳐:
그치게(=끊어지게) 하여. 긏-[止]+이+어.
降伏여 念이 니디 주007)
니디:
일어나지. 닐-[起]+디.
아니케 주008)
아니케:
아니하게. 아니- +게.
호미니 주009)
호미니:
함이니. - +옴+니.
念이 니디 아니 時節에 境이 오 주010)
오:
혼자. 〉오.
셔디 주011)
셔디:
서지. 셔-[立]+디.
아니 다 긋니라 주012)
긋니라:
그치느니라. 긏-[止]++니+라.
그러나 주013)
앏:
앞. ‘앒→앏’은 8종성 표기법.
여슷 주014)
여슷:
여섯.
對 첫 두 對 情과 器와애 通고 버근 주015)
버근:
다음 가는. 다음의. 벅-[次]+은.
세 對 오직 器를 잡고 이  對 오직 情을 자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길들여 항복시키는 것이다.【길들여 항복시키는 것은 그 마음을 그치게 하여 항복시켜 생각이 일어나지 않게 함이니, 생각이 일어나지 아니한 때에는 대경(對境)이 혼자 서지 아니하므로 다 그치느니라. 그러나 앞의 여섯 짝은 처음의 두 짝은 정(情)과 기(器)가 통하고 다음의 세 짝은 오직 기(器)를 잡고 이 한 짝은 오직 정(情)을 잡은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그춤괘:그침이. 긏-[止]+움+과+ㅣ.
주002)
질드려:길들여. 질들-[馴]+이+어.
주003)
:시키는. - +ㅣ+ㄹ.
주004)
시라:것이다. +ㅣ+라. 평서형 종결어미 ‘-다’와 ‘-라’의 대립은 상보적이다.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 조사 뒤에서 쓰이고,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서 쓰인다.
주005)
요:하게 함은. - +ㅣ+옴+.
주006)
그쳐:그치게(=끊어지게) 하여. 긏-[止]+이+어.
주007)
니디:일어나지. 닐-[起]+디.
주008)
아니케:아니하게. 아니- +게.
주009)
호미니:함이니. - +옴+니.
주010)
오:혼자. 〉오.
주011)
셔디:서지. 셔-[立]+디.
주012)
긋니라:그치느니라. 긏-[止]++니+라.
주013)
앏:앞. ‘앒→앏’은 8종성 표기법.
주014)
여슷:여섯.
주015)
버근:다음 가는. 다음의. 벅-[次]+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