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4. 미혹의 생성과 소멸을 분석해주심
  • 4-3) 성문들은 여래의 깊은 생각을 알 수 없음 가) 바른 생각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성문들은 여래의 깊은 생각을 알 수 없음 가) 바른 생각 3


【종밀주석】 二 能造帶情이니 文이 四ㅣ니 一은 擧勝彰劣이오 二 擧喩顯情이오 三은 誡息妄心이오 四 重彰妄義라 今初文에 有兩對니 初 小聖理智對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둘흔 能히 나가미 주001)
나가미:
나아감이. 나가-[進]+옴+이. ·가(어간. 거성)+옴(명사형어미)→:가(상성).
情을 가져쇼미니 주002)
가져쇼미니:
가지고 있음이니. 가지-[帶]+어+시-[有]+옴+이+니.
文이 네히니 주003)
네히니:
넷이니. 네ㅎ[四]+이+니.

원각경언해 상2의3:38ㄴ

나 勝을 드르샤 주004)
드르샤:
드시어. 들-[擧]+으샤+아.
사오나오닐 주005)
사오나오닐:
나쁜 것을. 열등한 것을. 사오-[劣]+(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사오나닐〉사오나오닐. ‘ㅸ’이 모음 앞에서 ‘오’로 바뀌었음.
나토샤미오 주006)
나토샤미오:
나타내심이고. 나토-[現].
둘흔 가뵤 주007)
가뵤:
비유함을. 가비-[喩]+옴+.
드르샤 情을 나토샤미오 세흔 妄心을 警誡야 그치샤미오 네흔 妄ㅅ 들 다시 나토샤미라 이제 처 文에 두 對 잇니 처믄 小聖 주008)
소성(小聖):
부처님을 대성(大聖)이라고 함에 대하여, 소승의 선문 4과(四果)와 대승 10지(十地)까지의 보살을 이른다.
의 理와 智왓 對 주009)
-오:
‘대(對)오’의 ‘-오’는 ‘-이고’의 뜻. 대(對)+∅(서술격조사)+오. 서술격조사가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생략되고, 연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되어 ‘ㅇ’으로 표기된 것.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둘은 능히 나아감이 정을 가지고 있음이니, 글이 넷이니, 하나는 (더) 나은 것을 드시어 (그보다) 못한 것을 드러내심이고, 둘은 비유를 드시어 정(情)을 나타내심이고, 셋은 거짓된 마음을 경계하여 끊으심이고, 넷은 거짓된 뜻을 다시 나타내심이다. 이제 처음 글에 두 짝이 있으니, 처음은 소성(小聖)의 도리[理]와 지(智)의 짝이고,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나가미:나아감이. 나가-[進]+옴+이. ·가(어간. 거성)+옴(명사형어미)→:가(상성).
주002)
가져쇼미니:가지고 있음이니. 가지-[帶]+어+시-[有]+옴+이+니.
주003)
네히니:넷이니. 네ㅎ[四]+이+니.
주004)
드르샤:드시어. 들-[擧]+으샤+아.
주005)
사오나오닐:나쁜 것을. 열등한 것을. 사오-[劣]+(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사오나닐〉사오나오닐. ‘ㅸ’이 모음 앞에서 ‘오’로 바뀌었음.
주006)
나토샤미오:나타내심이고. 나토-[現].
주007)
가뵤:비유함을. 가비-[喩]+옴+.
주008)
소성(小聖):부처님을 대성(大聖)이라고 함에 대하여, 소승의 선문 4과(四果)와 대승 10지(十地)까지의 보살을 이른다.
주009)
-오:‘대(對)오’의 ‘-오’는 ‘-이고’의 뜻. 대(對)+∅(서술격조사)+오. 서술격조사가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생략되고, 연결어미 ‘-고’의 /ㄱ/이 서술격조사 뒤에서 약화되어 ‘ㅇ’으로 표기된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