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6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6


【경】 若諸無明을 衆生이 本有댄 何因緣故로 如來ㅣ 復說本來成佛이시니고

다가 주001)
다가:
만일.
주002)
한:
많은. 하-[多]+ㄴ.
無明을 衆生이 本來 두숄딘댄 주003)
두숄딘댄:
두었을진대. 두-[置]+어(보조적 연결어미. 생략)+이시/잇/시-[有]+올딘댄(연결어미). 동사 ‘두-’ 뒤에서는 보조적 연결어미 ‘-어’가 쓰이는 일이 없다. ‘어#잇/이시/시-’는 현대국어의 ‘-었-’으로 발달함.
엇던 因緣ㅅ 젼로 如來ㅣ  本來 成佛

원각경언해 상2의3:3ㄴ

이라 니시니고 주004)
니시니고:
말씀하셨습니까. 니-[說]+시+니++고.

만일 많은 무명(無明)을 중생이 본래 두었을진대 어떤 인연의 까닭으로 여래가 또 ‘본래 성불이라.’라고 이르셨습니까?

【종밀주석】 疑謂說妄爲眞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疑心샤 너기샤 주005)
너기샤:
여기시되. 너기- +샤+오.
妄 眞이라 니신가 주006)
니신가:
말씀하셨는가. 이르신가. 니-[謂]+시+ㄴ+가.
샤미라 주007)
샤미라:
하심이다. -+샤+옴+이+라. 평서형 종결어미 ‘-다’와 ‘-라’의 대립은 상보적이다.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서 쓰이고,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서 쓰인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의심하시어 여기시되, “망(거짓)을 ‘참이라’(고) 이르신가.” 하심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다가:만일.
주002)
한:많은. 하-[多]+ㄴ.
주003)
두숄딘댄:두었을진대. 두-[置]+어(보조적 연결어미. 생략)+이시/잇/시-[有]+올딘댄(연결어미). 동사 ‘두-’ 뒤에서는 보조적 연결어미 ‘-어’가 쓰이는 일이 없다. ‘어#잇/이시/시-’는 현대국어의 ‘-었-’으로 발달함.
주004)
니시니고:말씀하셨습니까. 니-[說]+시+니++고.
주005)
너기샤:여기시되. 너기- +샤+오.
주006)
니신가:말씀하셨는가. 이르신가. 니-[謂]+시+ㄴ+가.
주007)
샤미라:하심이다. -+샤+옴+이+라. 평서형 종결어미 ‘-다’와 ‘-라’의 대립은 상보적이다.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서 쓰이고,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 어간 뒤에서 쓰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