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4. 미혹의 생성과 소멸을 분석해주심
  • 4-1) 의심의 근본을 바로 잡아주심 15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의심의 근본을 바로 잡아주심 15


【경】 循環往復니

횟도라 주001)
횟도라:
휘돌아. 순환하여. 횟-[循環]+돌- +아.
가며 오니

휘돌아서 가고 오느니,

【종밀주석】 器界ㅣ 空已復成며 情界ㅣ 滅已復生야 惑業이 襲習며 報應이 綸輪야 塵沙劫波애 莫之遏絶니라 上二句 正示輪廻之相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2의3:19ㄴ

器界 주002)
ㅣ:
‘기계(器界)’는 ‘ㅣ’로 끝나는 체언인데, 이런 체언 뒤에서는 주격조사 ‘ㅣ’가 안 적히는 것이 일반적임.
空고 다시 成며 情界ㅣ 滅고 다시 生야 惑業 주003)
혹업(惑業):
탐(貪)·진(瞋)·치(癡) 등의 번뇌는 혹이고, 이 혹에 의해 선악의 행위를 짓는 것이 업이다.
이 襲習며 報應이 綸輪야 【이 中에 세 주004)
:
겹. 벌.
올며 올모미 이셔 흘러 옮 相 기니 주005)
기니:
밝히니. 기-[明]+니.
 주006)
:
겹은. +.
주007)
혹(惑):
깨달음을 가로막는 체(體). 곧 번뇌.
과 業과 苦왓 세 道애 當니 닐오 惑 이 煩惱道 주008)
번뇌도(煩惱道):
혹도(惑道). 또는 번뇌. 우주의 진리와 낱낱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한 데서 일어나는 망심(妄心).
ㅣ니 곧 貪과 瞋과 癡와 等과 根과 隨 주009)
-왓:
-와의. -와+ㅅ.
煩惱ㅣ오 주010)
ㅣ오:
-이고. ㅣ+오.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 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다.
業은 곧 業道 주011)
업도(業道):
업(業). 몸·입·뜻으로 짓는 선악의 행업은 사람으로 하여금 6취(六趣)에 가게 한다고 하여 도(道)라고 이른다.
ㅣ니 닐오 善과 惡과 不動 等이라 報應은 곧 苦道 주012)
고도(苦道):
번뇌로 3업(三業)을 일으키고, 업(業)으로 3계(三界), 6도(六道)의 고과(苦果)를 받는 것.
ㅣ니 닐오 三界ㅅ 受혼 모미라 襲은 니믈 니니 곧 서르 닛논 주013)
닛논:
잇는. 계승하는. 닛-[繼]++오+ㄴ.
디오 주014)
디오:
뜻이고. +이+오.
習은 熏習 주015)
훈습(薰習):
우리의 몸과 입으로 표현하는 선악의 말이나 행동을 향이 옷에 베는 것에 비유한 말.
을 니니 곧 니겨 주016)
니겨:
익혀. 니가-[習]+어.

원각경언해 상2의3:20ㄱ

호 디니 닐오 後念이 前念을 習야 서르 니 주017)
니:
이어. -[繼]+어.
올며 올마 無窮호미라 綸輪은 다 가뵤 주018)
가뵤:
비유함을. 가비-[喩]+옴+.
자바 報應이 無盡 디 술윗 주019)
술윗:
수레바퀴[輪].
구우룸 주020)
구우룸:
구름. 구울-[轉]+움. ‘구울다’와 ‘그울다’가 공존함.
호 기니라】
塵沙 주021)
진사(塵沙):
티끌. 모래와 같이 수량을 알 수 없는 번뇌.
劫波애 그치눌러 주022)
그치눌러:
끊어 눌러. 긏-[止]+이+누르-[壓]+어. 사동사 ‘그치-’에 ‘누르-’가 바로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
긋디 주023)
긋디:
그치게 하지. 긏-[止]+디.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자타 양용동사)임.
몯니라 【劫波 예셔 주024)
예셔:
여기에서. 예[此]+에셔.
닐오매 주025)
닐오매:
일컬음에. 일컫기로는. 니/니르-[謂]+옴+애.
時分이니 큰 劫과 져근 劫과 긴 時와 뎌른 주026)
뎌른:
짧은. 뎌르-[短]+ㄴ.
時와 아래 주027)
아래:
과거. 지난날.
刹那애 니르리 주028)
니르리:
이르도록. 이르기까지. 니를-[至]+이.
다 일후미 時分이라】
주029)
웃:
위의.
두 句 輪廻ㅅ 相 正히 뵈시니라 주030)
뵈시니라:
보이신 것이다. 보-[見]+ㅣ+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기계(器界)가 비었다가 다시 이루어지며, 정계(情界)가 멸(滅)하였다가 다시 생겨나서 혹업(惑業)이 습습(襲習)하며, 보응(報應)이 윤륜(綸輪)하여, 【이 중에 세 겹 옮으며 옮음이 있어서 흘러 옮는 상(相)을 밝히니, 세 겹은 곧 혹(惑)과 업(業)과 고(苦)의 세 도(道)에 해당하니, 말하자면 혹(惑)은 이것이 번뇌도(煩惱道)이니, 곧 탐냄[貪]과 화냄[瞋]과 어리석음[癡]과 같음[等]과 근(根)과 수(隨)의 번뇌이고, 업(業)은 곧 업도(業道)이니, 말하자면 선과 악과 움직이지 아니함 등이다. 보응(報應)은 곧 고도(苦道)이니, 말하자면 삼계(三界)의 수(受)한 몸이다. 습(襲)은 이음(계승함)을 말하니, 곧 서로 잇는 뜻이고, 습(習)은 훈습(熏習)을 말하니, 곧 익혀 배운다는 뜻이니, 말하자면 후념(後念)이 전념(前念)을 익혀서 서로 이어서 옮으며 옮아 무궁함이라. 윤륜(綸輪)은 다 비유함을 잡아 보응(報應)이 끝이 없는 뜻이 수레 바퀴가 구름과 같음을 밝힌 것이다.】 진사(塵沙) 겁파(劫波)에 끊어 눌러서 끊지 못하느니라. 【겁파(劫波)는 여기에서 말하기로는 시분(時分)이니, 큰 겁(劫)과 작은 겁(劫)과 긴 시(時)와 짧은 시(時)와 지난날의 찰나(刹那)에 이르기까지 다 이름이 시분(時分)이다.】 위의 두 구(句)는 윤회의 상(相)을 바로 보이시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횟도라:휘돌아. 순환하여. 횟-[循環]+돌- +아.
주002)
ㅣ:‘기계(器界)’는 ‘ㅣ’로 끝나는 체언인데, 이런 체언 뒤에서는 주격조사 ‘ㅣ’가 안 적히는 것이 일반적임.
주003)
혹업(惑業):탐(貪)·진(瞋)·치(癡) 등의 번뇌는 혹이고, 이 혹에 의해 선악의 행위를 짓는 것이 업이다.
주004)
:겹. 벌.
주005)
기니:밝히니. 기-[明]+니.
주006)
:겹은. +.
주007)
혹(惑):깨달음을 가로막는 체(體). 곧 번뇌.
주008)
번뇌도(煩惱道):혹도(惑道). 또는 번뇌. 우주의 진리와 낱낱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한 데서 일어나는 망심(妄心).
주009)
-왓:-와의. -와+ㅅ.
주010)
ㅣ오:-이고. ㅣ+오. 연결어미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ㄱ/은 서술격 조사와 /ㄹ/ 및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되어 ‘ㅇ’으로 표기됨.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을 표기한 것.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다.
주011)
업도(業道):업(業). 몸·입·뜻으로 짓는 선악의 행업은 사람으로 하여금 6취(六趣)에 가게 한다고 하여 도(道)라고 이른다.
주012)
고도(苦道):번뇌로 3업(三業)을 일으키고, 업(業)으로 3계(三界), 6도(六道)의 고과(苦果)를 받는 것.
주013)
닛논:잇는. 계승하는. 닛-[繼]++오+ㄴ.
주014)
디오:뜻이고. +이+오.
주015)
훈습(薰習):우리의 몸과 입으로 표현하는 선악의 말이나 행동을 향이 옷에 베는 것에 비유한 말.
주016)
니겨:익혀. 니가-[習]+어.
주017)
니:이어. -[繼]+어.
주018)
가뵤:비유함을. 가비-[喩]+옴+.
주019)
술윗:수레바퀴[輪].
주020)
구우룸:구름. 구울-[轉]+움. ‘구울다’와 ‘그울다’가 공존함.
주021)
진사(塵沙):티끌. 모래와 같이 수량을 알 수 없는 번뇌.
주022)
그치눌러:끊어 눌러. 긏-[止]+이+누르-[壓]+어. 사동사 ‘그치-’에 ‘누르-’가 바로 결합한 비통사적 합성어.
주023)
긋디:그치게 하지. 긏-[止]+디. ‘긏-’은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이는 이른바 능격동사(자타 양용동사)임.
주024)
예셔:여기에서. 예[此]+에셔.
주025)
닐오매:일컬음에. 일컫기로는. 니/니르-[謂]+옴+애.
주026)
뎌른:짧은. 뎌르-[短]+ㄴ.
주027)
아래:과거. 지난날.
주028)
니르리:이르도록. 이르기까지. 니를-[至]+이.
주029)
웃:위의.
주030)
뵈시니라:보이신 것이다. 보-[見]+ㅣ+시+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