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2
  • 3. 보안보살장(普眼菩薩章) ②
  • 4-2) 관행을 하라 나) 관법과 지혜를 활용하라
  • 4-3) 부처님의 경계와 단박에 같아짐 나) 보는 경계가 같아짐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부처님의 경계와 단박에 같아짐 나) 보는 경계가 같아짐 10


【경】 亂起亂滅야

어즈러이 주001)
어즈러이:
어지럽게. 어지러이.
닐며 주002)
닐며:
일어나며.
어즈러이 주003)
멸(滅):
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
야 주004)
야:
같아서.

어지럽게 일어나며 어지럽게 멸(滅)함과 같아서,

【경】 此有三意니 一者 一切世界ㅣ 皆依妄念니 念旣刹那不住 界亦起滅이 不停니라 二者 華嚴에 云샤 染汙衆生이 住故로 世界ㅣ 成染汙고 大福衆生이 住故로 成染淨고 信觧菩薩이 住故로 成淨染等이라 三者 成壞相也ㅣ라 然이나 成住壞

원각경언해 상2의2:158ㄱ

空이 各雖二十增減이나 而世界 無量無數故로 摠觀컨댄 起滅이 繽紛니라

원각경언해 상2의2:158ㄴ

問호 然이나 佛化土 許可如斯ㅣ어니와 自受用中엔 如何起

원각경언해 상2의2:159ㄱ

滅오 荅호 依實敎所明컨댄 無形이 爲淨土ㅣ니 生公이 云호 佛有形累시면 託土以居ㅣ어시니와 佛是常住法身이어시니 何須國土ㅣ시리오 故로 華嚴에 云샤 依眞而住ㅣ라 非國土이라 시며 此経에 云샤 入於大光明藏이라시니 餘義 已如前辨니라 問法華에 云 我此土 安隱야 天人이 常充滿이라 시니 復云何通고 荅彼 據理卽事門이오 此 約理奪事門이니 二皆無礙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2의2:159ㄴ

주005)
이:
이것이. 이[此]+∅.
세 디 잇니 나 一切 世界 다 妄念 주006)
망념(妄念):
미망(迷妄)한 집념. 법부가 6진(六塵) 경계에 탐착하는 마음.
브트니 주007)
브트니:
의지하니. 븥-[依]+으니.
주008)
염(念):
주관인 마음이 객관인 대경을 마음에 분명히 기억하여 두고 잊지 않는 정신.
마 주009)
마:
이미.
刹那 주010)
찰나(刹那):
지극히 짧은 시간.
머므디 주011)
머므디:
머무르지. 머믈-[住]+디.
아니 주012)
아니:
아니할새. 아니하므로.
주013)
계(界):
기초. 요소. 또는 불도를 수행하는데 장애를 없게 하기 위하여 의·식·주에 대해서 규정한 한계.
도  닐며 주014)
닐며:
일어나며. 닐-[起]+며.
주015)
멸(滅):
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
호미 머므디 아니니라 둘흔 華嚴에 니샤 染汚 주016)
염오(染汚):
번뇌는 그 자체가 부정하고 더러운 것이라고 하여 ‘번뇌’를 달리 이렇게 부른다.
衆生 주017)
중생(衆生):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 곧 유정(有情).
주018)
주(住):
머무르는 것. 존재하는 것. 안주(安住)하는 것.
 世界ㅣ 染汚ㅣ 외오 주019)
외오:
되고.
大福 주020)
대복(大福):
큰 복. 무량(無量), 무변(無邊)한 복.
衆生이 住 染淨 주021)
염정(染淨):
더러운 번뇌와 번뇌에 더럽혀지지 않고 청정한 것.
이 외오 주022)
인(人):
욕계(欲界)에 속한 유정(有情)으로 사려가 가장 많은 자.
주023)
천(天):
인간 세계보다 수승(殊勝)한 과보를 받는 좋은 곳.
괏 福命이 주024)
염(染):
번뇌. 때묻힘. 더럽힘.
하고 주025)
하고:
많고.
주026)
정(淨):
깨끗하고 맑은 것. 망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 무번뇌.
져글 주027)
져글:
적을새. 적으므로.
몬져 주028)
몬져:
먼저.
染을 니시니라 주029)
니시니라:
이르신 것이다. 이르시니라.
信解 주030)
신해(信解):
남의 말을 믿고 무루(無漏)의 지혜가 나타난 이.
菩薩이 住 淨染 외욤 주031)
외욤:
됨. 되는 것.
等이라 地前 주032)
지전(地前):
보살 수행의 계위인 52위에서 10지(十地) 이전의 10회향(十廻向), 10행(十行), 10주(十住), 10신(十信) 등을 이른다.
주033)
장(障):
세간·출세간의 도(道) 행함을 방해하는 번뇌.
긋디 주034)
긋디:
끊지. 그치지. 긋-[斷]+디.
몯 주035)
몯:
못할새. 못하므로.
純 주036)
순(純):
순한. 순수한. 순박한.
淨이 아니오 주037)
아니오:
아니고.
淨이 하고 染이 져글 몬져 淨을 니시니라】
세흔 주038)
성(成):
이룸. 생성(生成).
주039)
괴(壞):
허물어짐. 파괴(破壞). 괴멸(壞滅).
주040)
상(相):
밖으로 나타난 것.
이라 그러나 成과 住와 壞와 空 주041)
성(成)과 주(住)와 괴(壞)와 공(空):
사겁(四劫). 사겁(四劫)은 불교에서 말하는 세계설이다. 곧 세계가 구성되면서부터 무너져 없어지는 동안을 4기로 나눈 것이다. ①성겁(成劫)은 세계가 처음 생기는 기간. ②주겁(住劫)은 생겨서 존재하고 있는 기간. ③괴겁(壞劫)은 차차 파괴되는 기간. ④공겁(空劫)은 다 없어져서 공무(空無)한 기간이다. 이 각 기간을 20중겁(中劫)이라 하고, 모두를 합한 80중겁(八十中劫)을 일대겁(一大劫)이라고 한다.
괘 各各 비록 二十으로 더으며 주042)
더으며:
더하며. 더으-[增]+며.
더나 주043)
더나:
덜어내나. 덜어내거나. 덜-[減]+나.
世界 無量 주044)
무량(無量):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거나 그지없음. 무한량.
며

원각경언해 상2의2:160ㄱ

주045)
무수(無數):
셀 수 없이 많음. 많은 수.
 주046)
-:
-하므로. -할새.
뫼화 주047)
뫼화:
모아. 모아서. 뫼호-[摠]+아.
보건댄 주048)
보건댄:
보건댄. 보건대는.
닐며 주049)
닐며:
일어나며. 닐-[起]+며.
滅호미 주050)
멸(滅)호미:
사라짐이. 없어짐이. 멸함이.
어즈러우니라 주051)
어즈러우니라:
어지러우니라. 어지러운 것이다.
【成과 壞왓 相 世界 成과 住와 壞와 空괘 다 二十으로 더으며 더니 주052)
더니:
더느니. 덜어내느니.
住ㅣ 二十 주053)
겁(劫):
보통 연·월·일로는 헤아릴 수 없는 아득한 시간. 1겁은 인간세계의 4억 3천 2백만 년이다.
주054)
차:
차. 차서. -[滿]+아.
곧 壞 주055)
-예:
-에(처소격조사). 선행체언의 말음이 ‘이’나 ‘ㅣ’인 경우에 실현됨.
니르니 주056)
니르니:
이르느니. 니를-[至]++니.
劫이 壞호려 주057)
-호려:
-하려. -하려고.
주058)
:
하는. 할.
時節에 十九 劫 中에 有情類 주059)
유정류(有情類):
세상에서 생명이 있는 것들.
헐오 주060)
헐오:
헐고. 무너뜨리고. 헐-[壞]+고. ‘오’는 ‘ㄹ’다음에서 ‘ㄱ’탈락 표기.
오직 주061)
:
한. 하나의.
劫 中에 器世間 주062)
기세간(器世間):
기세계((器世界). 중생을 수용하는 세간. 곧 우리가 살고 있는 산하(山下), 대지(大地) 등의 세계.
허니라 주063)
허니라:
허느니라. 무너뜨리느니라. 허무느니라.
더으며 더로 주064)
더로:
덞은. 더는 것은.
사 주065)
사:
사람의.
목수미 주066)
목수미:
목숨이.
우희 주067)
우희:
위에. 우ㅎ[上]+의.
八萬歲 브터 주068)
- 브터:
-로부터.
百年에 一年 주069)
-곰:
-씩.
더러 주070)
더러:
덜어. 덜-[減]+어.
十歲예 니를오 주071)
니를오:
이르고. 니를-[至]+고.
 목수미 더어 주072)
더어:
더하여. 더해. 더으-[增]+어.
男女 나니마다 주073)
나니마다:
낳은 이 마다. 낳-[生]++이+마다.
목수미 곧 아게 주074)
아게:
아버지보다. 아비[父]+게(비교부사격조사).
倍야 이티 주075)
이티:
이와 같이.
漸漸 더어 도로 八萬애 니를 주076)
니를:
이르므로. 이를새.
일후미 더으며 주077)
더으며:
더하며.
더루미라 주078)
더루미라:
더는 것이다. 덞이다.
무루 주079)
무루:
묻되. 묻-[問]+우.
그러나 부텻 주080)
부텻:
부처의.
化土 주081)
화토(化土):
변화토(變化土). 부처님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그들의 근기에 맞추어 변화하여 나타내는 국토.
어루 주082)
어루:
가히.
주083)
이:
이와. 이[此]+∅(비교부사격조사).
호 주084)
호:
같음을.
許려니와 自受用 주085)
자수용(自受用):
닦아 얻은 공덕 이익이나 법락을 스스로 수용함.
주086)
-엔:
-엔. -에는.
엇뎨 주087)
엇뎨:
어찌하여. 어찌해서.
닐며 滅료 주088)
-료:
-리요.
對答호 實敎 주089)
실교(實敎):
진실한 교. 곧 여래가 세상에 나온 본 뜻을 말한 대승 진실교.
교 주090)
교:
밝힘을. 기-[明]+옴+.
븓건댄 주091)
븓건댄:
의지하건댄. 의지할진댄. 븓-[依]+건댄.

원각경언해 상2의2:160ㄴ

얼굴 주092)
얼굴:
형체가. 얼굴[形].
업수미 주093)
업수미:
없음이.
淨土 주094)
정토(淨土):
부처님이 계시는 청정한 국토. 성불을 말하는 대승불교에서 인정하는 국토.
ㅣ니 주095)
-ㅣ니:
-이니.
生公 주096)
생공(生空):
중국 양(梁)나라 때의 고승(高僧). 축도생(竺道生)을 이름.
이 닐오 부톄 주097)
부톄:
부처께서. 부텨[佛]+ㅣ(주격조사).
얼굴 거리 주098)
거리:
거리낌. 걸림. 거리-[累]+옴.
겨시면 주099)
겨시면:
계시면. 있으시면. 겨시-[有]+면.
주100)
토(土):
국토(國土), 또는 불국토(佛國土).
브터 주101)
브터:
의지하여. 븥-[託]+어.
사시러니와 주102)
사시러니와:
사시려니와. 사실 것이거니와.
부텨는 이 常住 주103)
상주(常住):
생멸 변화가 없는 것. 항상 머물러 있음.
法身 주104)
법신(法身):
법계의 이(理)와 일치한 부처님의 진신(眞身).
이어시니 주105)
-이어시니:
-이시거니.
엇뎨 國土 주106)
국토(國土):
일체의 유정(有情)이 주(住)하는 곳. 정토(淨土)와 예토(穢土)의 구별이 있음.
시리오 주107)
시리오:
쓰시리오. 쓰실 것인가.
그럴 華嚴에 니샤 眞을 브터 주108)
브터:
의지하여.
住호미라 주109)
주(住)호미라:
주(住)함이다.
國土ㅣ 주110)
국토(國土)ㅣ:
국토(國土)가.
아니라 주111)
아니라:
아니다.
시며 이 經애 니샤 大光明藏 주112)
대광명장(大光明藏):
대지혜(大智慧), 또는 자기의 본심(本心). 자기의 본심은 무명(無明)을 깨고 진여(眞如)의 빛을 발하는 대지혜 광명을 수장(收藏)한다고 하여 광명장(光明藏), 또는 대광명장이라고 한다.
드르시다 주113)
드르시다:
드신다. 드시다. 들-[入]+으시+다.
시니 나 주114)
나:
남은. 남-[餘]+.
든 마 알 주115)
알:
앞에. 앞에서. 앒[前]+(처소격조사).
욤 주116)
욤:
분별함. 가림. -[辨]+옴.
니라 주117)
니라:
같으니라. 같은 것이다.
무로 法華애 니샤 주118)
내:
나의. 나[我]+ㅣ(관형격조사).
이 土 便安야 天人 주119)
천인(天人):
비천(飛天). 천상의 유정(有情)들.
이 녜 다 주120)
다:
가득하다.
시니  엇뎨 通료 對答호 뎌는 주121)
뎌는:
저것은. 뎌[彼]+.
理ㅣ 주122)
이(理)ㅣ:
이(理)가.
事 주123)
사(事):
사(事)인.
주124)
문(門):
불도의 정문(正門), 또는 구한(區限)이나 부별(部別).
브트샤미오 주125)
브트샤미오:
근거로 함이고. 근거삼음이고. 븥-[據]+으샤+옴+이+고.
이 주126)
이:
이것은. 이[此]+.
理로 事 아 주127)
아:
빼앗은. -[奪]+.
門을 자보미니 주128)
자보미니:
잡음이니. 잡-[約]+옴+이+니.
둘히 주129)
둘히:
둘이. 둘ㅎ[二]+이(주격조사).
룜 주130)
룜:
걸림이. 리-[礙]+옴.
업스니라 주131)
업스니라:
없는 것이다. 없으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것이 세 가지 뜻이 있느니, 하나는 일체의 세계가 다 망념(妄念)을 의지하니 염(念)이 이미 찰나(刹那)에 머무르지 아니하므로 계(界)도 또 일어나며, 멸(滅)함이 머무르지 아니하니라. 둘은 화엄경(華嚴經)에 이르시되, “염오(染汚) 중생이 주(住)하므로 세계가 염오(染汚)가 되고, 대복(大福) 중생이 주(住)하므로 염정(染淨)이 되고, 【인(人)과 천(天)의 복명(福命)이 염(染)이 많고, 정(淨)이 적으므로 먼저 염(染)을 이르신 것이다.】 신해(信解) 보살이 주(住)하므로 정염(淨染)이 됨(되는 것) 등이다.” 【지전(地前)에 장(障)을 끊지 못하므로 순(純)한 정(淨)이 아니고, 정(淨)이 많고 염(染)이 적으므로 먼저 정(淨)을 이르신 것이다.】 셋은 성(成)과 괴(壞)의 상(相)이다. 그러나 성(成)과 주(住)와 괴(壞)와 공(空)이 각각 비록 이십(二十)으로 더하며 덜어내거나 세계는 무량(無量)하며, 무수(無數)하므로 모아 보건댄 일어나며 멸(滅)함이 어지러우니라. 【성(成)과 괴(壞)의 상(相)은 세계의 성(成)과 주(住)와 괴(壞)와 공(空)이 다 이십으로 더하며 더느니, 주(住)가 이십 겁(劫)을 차서 곧 괴(壞)에 이르느니, 겁(劫)이 괴(壞)하려고 하는 시절에 십구 겁(劫) 중에 유정류(有情類)를 헐고, 오직 한 겁 중에 기세간(器世間)을 허느니라. 더하고 더는 것은 사람의 목숨이 위 팔만세(八萬歲)로부터 백년(百年)에 일년씩 덜어 십세에 이르고, 또 목숨이 더하여 남녀를 낳은 이마다 목숨이 곧 아버지보다 배(倍)하여 이와 같이 점점 더해 도로 팔만(八萬)에 이르므로 이름이 더하고 더는 것이다(=덞이다).】 묻되, “그러나 부처의 화토(化土)는 가히 이와 같음을 허(許)하려니와 자수용(自受用) 중에는 어찌하여 일어나며 멸(滅)하리요.” 대답하되, “실교(實敎)의 밝힘을 의지하건댄, 형체가 없음이 정토(淨土)이니, 생공(生公)이 이르되, ‘부처께서 형체가 거리낌이 있으시면 토(土)를 의지하여 사시려니와 부처는 이 상주(常住) 법신(法身)이시거니 어찌하여 국토를 쓰시리오.’ 그러므로 화엄경(華嚴經)에 이르시되, ‘진(眞)을 의지하여 주(住)함이다. 국토가 아니다.’라고 하시며, 이 경(經)에 이르시되, ‘대광명장(大光明藏)에 드시다.’라고 하시니, 남은 뜻은 이미 앞에서 분별함과 같으니라.” 묻되, “법화경(法華經)에 이르시되, ‘나의 이 토(土)는 편안하여 천인(天人)이 언제나 가득하다.’라고 하시니, 또 어찌하여 통하리오.” 대답하되, “저것은 이(理)가 곧 사(事)인 문(門)을 근거로 함이고, 이것은 이(理)로 사(事)를 빼앗은 문(門)을 잡음이니, 둘이 다 걸림이 없는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어즈러이:어지럽게. 어지러이.
주002)
닐며:일어나며.
주003)
멸(滅):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
주004)
야:같아서.
주005)
이:이것이. 이[此]+∅.
주006)
망념(妄念):미망(迷妄)한 집념. 법부가 6진(六塵) 경계에 탐착하는 마음.
주007)
브트니:의지하니. 븥-[依]+으니.
주008)
염(念):주관인 마음이 객관인 대경을 마음에 분명히 기억하여 두고 잊지 않는 정신.
주009)
마:이미.
주010)
찰나(刹那):지극히 짧은 시간.
주011)
머므디:머무르지. 머믈-[住]+디.
주012)
아니:아니할새. 아니하므로.
주013)
계(界):기초. 요소. 또는 불도를 수행하는데 장애를 없게 하기 위하여 의·식·주에 대해서 규정한 한계.
주014)
닐며:일어나며. 닐-[起]+며.
주015)
멸(滅):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
주016)
염오(染汚):번뇌는 그 자체가 부정하고 더러운 것이라고 하여 ‘번뇌’를 달리 이렇게 부른다.
주017)
중생(衆生):정식(情識)이 있는 생물. 곧 유정(有情).
주018)
주(住):머무르는 것. 존재하는 것. 안주(安住)하는 것.
주019)
외오:되고.
주020)
대복(大福):큰 복. 무량(無量), 무변(無邊)한 복.
주021)
염정(染淨):더러운 번뇌와 번뇌에 더럽혀지지 않고 청정한 것.
주022)
인(人):욕계(欲界)에 속한 유정(有情)으로 사려가 가장 많은 자.
주023)
천(天):인간 세계보다 수승(殊勝)한 과보를 받는 좋은 곳.
주024)
염(染):번뇌. 때묻힘. 더럽힘.
주025)
하고:많고.
주026)
정(淨):깨끗하고 맑은 것. 망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 무번뇌.
주027)
져글:적을새. 적으므로.
주028)
몬져:먼저.
주029)
니시니라:이르신 것이다. 이르시니라.
주030)
신해(信解):남의 말을 믿고 무루(無漏)의 지혜가 나타난 이.
주031)
외욤:됨. 되는 것.
주032)
지전(地前):보살 수행의 계위인 52위에서 10지(十地) 이전의 10회향(十廻向), 10행(十行), 10주(十住), 10신(十信) 등을 이른다.
주033)
장(障):세간·출세간의 도(道) 행함을 방해하는 번뇌.
주034)
긋디:끊지. 그치지. 긋-[斷]+디.
주035)
몯:못할새. 못하므로.
주036)
순(純):순한. 순수한. 순박한.
주037)
아니오:아니고.
주038)
성(成):이룸. 생성(生成).
주039)
괴(壞):허물어짐. 파괴(破壞). 괴멸(壞滅).
주040)
상(相):밖으로 나타난 것.
주041)
성(成)과 주(住)와 괴(壞)와 공(空):사겁(四劫). 사겁(四劫)은 불교에서 말하는 세계설이다. 곧 세계가 구성되면서부터 무너져 없어지는 동안을 4기로 나눈 것이다. ①성겁(成劫)은 세계가 처음 생기는 기간. ②주겁(住劫)은 생겨서 존재하고 있는 기간. ③괴겁(壞劫)은 차차 파괴되는 기간. ④공겁(空劫)은 다 없어져서 공무(空無)한 기간이다. 이 각 기간을 20중겁(中劫)이라 하고, 모두를 합한 80중겁(八十中劫)을 일대겁(一大劫)이라고 한다.
주042)
더으며:더하며. 더으-[增]+며.
주043)
더나:덜어내나. 덜어내거나. 덜-[減]+나.
주044)
무량(無量):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거나 그지없음. 무한량.
주045)
무수(無數):셀 수 없이 많음. 많은 수.
주046)
-:-하므로. -할새.
주047)
뫼화:모아. 모아서. 뫼호-[摠]+아.
주048)
보건댄:보건댄. 보건대는.
주049)
닐며:일어나며. 닐-[起]+며.
주050)
멸(滅)호미:사라짐이. 없어짐이. 멸함이.
주051)
어즈러우니라:어지러우니라. 어지러운 것이다.
주052)
더니:더느니. 덜어내느니.
주053)
겁(劫):보통 연·월·일로는 헤아릴 수 없는 아득한 시간. 1겁은 인간세계의 4억 3천 2백만 년이다.
주054)
차:차. 차서. -[滿]+아.
주055)
-예:-에(처소격조사). 선행체언의 말음이 ‘이’나 ‘ㅣ’인 경우에 실현됨.
주056)
니르니:이르느니. 니를-[至]++니.
주057)
-호려:-하려. -하려고.
주058)
:하는. 할.
주059)
유정류(有情類):세상에서 생명이 있는 것들.
주060)
헐오:헐고. 무너뜨리고. 헐-[壞]+고. ‘오’는 ‘ㄹ’다음에서 ‘ㄱ’탈락 표기.
주061)
:한. 하나의.
주062)
기세간(器世間):기세계((器世界). 중생을 수용하는 세간. 곧 우리가 살고 있는 산하(山下), 대지(大地) 등의 세계.
주063)
허니라:허느니라. 무너뜨리느니라. 허무느니라.
주064)
더로:덞은. 더는 것은.
주065)
사:사람의.
주066)
목수미:목숨이.
주067)
우희:위에. 우ㅎ[上]+의.
주068)
- 브터:-로부터.
주069)
-곰:-씩.
주070)
더러:덜어. 덜-[減]+어.
주071)
니를오:이르고. 니를-[至]+고.
주072)
더어:더하여. 더해. 더으-[增]+어.
주073)
나니마다:낳은 이 마다. 낳-[生]++이+마다.
주074)
아게:아버지보다. 아비[父]+게(비교부사격조사).
주075)
이티:이와 같이.
주076)
니를:이르므로. 이를새.
주077)
더으며:더하며.
주078)
더루미라:더는 것이다. 덞이다.
주079)
무루:묻되. 묻-[問]+우.
주080)
부텻:부처의.
주081)
화토(化土):변화토(變化土). 부처님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그들의 근기에 맞추어 변화하여 나타내는 국토.
주082)
어루:가히.
주083)
이:이와. 이[此]+∅(비교부사격조사).
주084)
호:같음을.
주085)
자수용(自受用):닦아 얻은 공덕 이익이나 법락을 스스로 수용함.
주086)
-엔:-엔. -에는.
주087)
엇뎨:어찌하여. 어찌해서.
주088)
-료:-리요.
주089)
실교(實敎):진실한 교. 곧 여래가 세상에 나온 본 뜻을 말한 대승 진실교.
주090)
교:밝힘을. 기-[明]+옴+.
주091)
븓건댄:의지하건댄. 의지할진댄. 븓-[依]+건댄.
주092)
얼굴:형체가. 얼굴[形].
주093)
업수미:없음이.
주094)
정토(淨土):부처님이 계시는 청정한 국토. 성불을 말하는 대승불교에서 인정하는 국토.
주095)
-ㅣ니:-이니.
주096)
생공(生空):중국 양(梁)나라 때의 고승(高僧). 축도생(竺道生)을 이름.
주097)
부톄:부처께서. 부텨[佛]+ㅣ(주격조사).
주098)
거리:거리낌. 걸림. 거리-[累]+옴.
주099)
겨시면:계시면. 있으시면. 겨시-[有]+면.
주100)
토(土):국토(國土), 또는 불국토(佛國土).
주101)
브터:의지하여. 븥-[託]+어.
주102)
사시러니와:사시려니와. 사실 것이거니와.
주103)
상주(常住):생멸 변화가 없는 것. 항상 머물러 있음.
주104)
법신(法身):법계의 이(理)와 일치한 부처님의 진신(眞身).
주105)
-이어시니:-이시거니.
주106)
국토(國土):일체의 유정(有情)이 주(住)하는 곳. 정토(淨土)와 예토(穢土)의 구별이 있음.
주107)
시리오:쓰시리오. 쓰실 것인가.
주108)
브터:의지하여.
주109)
주(住)호미라:주(住)함이다.
주110)
국토(國土)ㅣ:국토(國土)가.
주111)
아니라:아니다.
주112)
대광명장(大光明藏):대지혜(大智慧), 또는 자기의 본심(本心). 자기의 본심은 무명(無明)을 깨고 진여(眞如)의 빛을 발하는 대지혜 광명을 수장(收藏)한다고 하여 광명장(光明藏), 또는 대광명장이라고 한다.
주113)
드르시다:드신다. 드시다. 들-[入]+으시+다.
주114)
나:남은. 남-[餘]+.
주115)
알:앞에. 앞에서. 앒[前]+(처소격조사).
주116)
욤:분별함. 가림. -[辨]+옴.
주117)
니라:같으니라. 같은 것이다.
주118)
내:나의. 나[我]+ㅣ(관형격조사).
주119)
천인(天人):비천(飛天). 천상의 유정(有情)들.
주120)
다:가득하다.
주121)
뎌는:저것은. 뎌[彼]+.
주122)
이(理)ㅣ:이(理)가.
주123)
사(事):사(事)인.
주124)
문(門):불도의 정문(正門), 또는 구한(區限)이나 부별(部別).
주125)
브트샤미오:근거로 함이고. 근거삼음이고. 븥-[據]+으샤+옴+이+고.
주126)
이:이것은. 이[此]+.
주127)
아:빼앗은. -[奪]+.
주128)
자보미니:잡음이니. 잡-[約]+옴+이+니.
주129)
둘히:둘이. 둘ㅎ[二]+이(주격조사).
주130)
룜:걸림이. 리-[礙]+옴.
주131)
업스니라:없는 것이다. 없으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