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4. 미혹의 생성과 소멸을 분석해주심
  • 4-1) 의심의 근본을 바로 잡아주심 22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의심의 근본을 바로 잡아주심 22


【경】 善男子아 諸旋이 未息이면

善男子 주001)
-아:
-아/야. 호격 조사. 중세 국어에서도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 호격 조사 ‘-야’가 쓰이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아’가 쓰임.
주002)
한:
많은.
도로미 주003)
도로미:
돎이. 돌-[旋]+옴+이.
긋디 주004)
긋디:
그치지. 긋-[息]+디.
몯면

선남자(善男子)야, 많은 돎이 그치지 못하면,

【종밀주석】 眼目雲舟也ㅣ니 喩生死垢心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眼과 目과 구룸과 왜니 주005)
왜니:
배이니. [舟]+와+ㅣ+니.
生死 주006)
ㅅ:
-의. 관형격조사. 관형격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7)
:
때의. [垢]+ㅅ.
 주008)
:
마음을. +.
가비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안(眼)과 목(目)과 구름과 배[舟]이니, 생사(生死)의 때[垢]인 마음을 비유하신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아:-아/야. 호격 조사. 중세 국어에서도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 호격 조사 ‘-야’가 쓰이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아’가 쓰임.
주002)
한:많은.
주003)
도로미:돎이. 돌-[旋]+옴+이.
주004)
긋디:그치지. 긋-[息]+디.
주005)
왜니:배이니. [舟]+와+ㅣ+니.
주006)
ㅅ:-의. 관형격조사. 관형격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7)
:때의. [垢]+ㅅ.
주008)
:마음을. +.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