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4. 미혹의 생성과 소멸을 분석해주심
  • 4-1) 의심의 근본을 바로 잡아주심 19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의심의 근본을 바로 잡아주심 19


【경】 又如定眼이 由廻轉火니

 一定 眼이 도라 옮 브를 주001)
브를:
불을. 블[火]+을.
브툼 주002)
브툼:
의거함. 말미암음.
니

또 일정한(=고정된, 움직이지 않는) 눈[眼]이 돌아서 옮는 불에 말미암음과 같으니,

【종밀주석】 次眼識이 遲鈍야 旋火ㅣ 成輪相니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상2의3:23ㄱ

버거 주003)
버거:
다음으로. 벅-[次]+어. 이 단어의 어간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벅게코져’(圓覺 상1-2:75ㄴ)를 참조할 것.
眼識 주004)
안식(眼識):
모양·빛깔 등을 분별하고 아는 작용. 시각(視覺).
遲鈍 주005)
지둔(遲鈍):
굼뜨고 미련함.
야 횟도 주006)
횟도:
휘도는. 순환하는. 횟돌-[旋]++ㄴ.
브리 輪相 주007)
윤상(輪相):
탑의 꼭대기에 장식하여 놓은 윤형(輪形)의 것.
이 외니라 【버거 眼識이 遲鈍타 호 一定 주008)
일정(一定):
어떤 기준에 따라 모양이나 방향 따위가 정해져 있는 것.
 眼 사기니 데 주009)
데:
뜻에. +에.
鈍야 리 주010)
리:
-[速]+이.
밋디 주011)
밋디:
미치지.
몯야 브릐 주012)
브릐:
불의. 블[火]+의.
횟도로 주013)
횟도로:
휘돎을. 횟돌-[旋]+옴+.
보고 輪相이 외요 取 니샤 一定 眼이언 주014)
이언:
-인, 것이지. 이+어+ㄴ. ‘-거-’는 과거시제, 완료 또는 확정법을 나타내는데, 자동사와 형용사, 서술격 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인다. 그런데 ‘-거-’의 /ㄱ/은 서술격 조사나 /ㄹ/이나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으로 변화하는데, 이를 표기한 것이 ‘ㅇ’이다.
凝然 주015)
응연(凝然):
작용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것.
야 구더 주016)
구더:
굳어. 굳-[凝].
永히 올마 주017)
올마:
옮아. 옮-[轉]+아.
뮈디 주018)
뮈디:
움직이지. 뮈-[動]+디.
아니호 주019)
아니호:
아니함을.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보조사로서,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될 수 있음.
비르서 주020)
비르서:
비로소. 비릇-[始]+어. 동사의 활용형 ‘비르서’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 현대국어의 ‘비로소’임.
일후미 주021)
일후미:
일컬음이. 명명함이.
一定이라 니샴 주022)
니샴:
일컬으심. 니-[謂]+샤+옴.
아니라 주023)
아니라:
아니다. 아니-[非]+라. 중세국어의 ‘아니’는 명사로 쓰였으므로 ‘아니라’는 ‘아니(명사)+∅(서술격조사)+라’로 분석할 수도 있음.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다음으로 안식(眼識)이 지둔(遲鈍)하여 휘도는 윤상이 되느니라. 【‘다음으로 안식이 지둔하다.’라고 함은 일정한 눈을 풀이한 것이니, 뜻에 둔하여 빨리 미치지 못해 불이 휘도는 것을 보고 윤상이 됨을 취하므로, 이르시되 ‘일정한 눈이라 하신 것이지, 응연(凝然)하여 굳어 영원히 옮아 움직이지 아니함을 비로소 일컬음이 일정이라.’라고 이르신 것이 아니다.】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브를:불을. 블[火]+을.
주002)
브툼:의거함. 말미암음.
주003)
버거:다음으로. 벅-[次]+어. 이 단어의 어간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벅게코져’(圓覺 상1-2:75ㄴ)를 참조할 것.
주004)
안식(眼識):모양·빛깔 등을 분별하고 아는 작용. 시각(視覺).
주005)
지둔(遲鈍):굼뜨고 미련함.
주006)
횟도:휘도는. 순환하는. 횟돌-[旋]++ㄴ.
주007)
윤상(輪相):탑의 꼭대기에 장식하여 놓은 윤형(輪形)의 것.
주008)
일정(一定):어떤 기준에 따라 모양이나 방향 따위가 정해져 있는 것.
주009)
데:뜻에. +에.
주010)
리:-[速]+이.
주011)
밋디:미치지.
주012)
브릐:불의. 블[火]+의.
주013)
횟도로:휘돎을. 횟돌-[旋]+옴+.
주014)
이언:-인, 것이지. 이+어+ㄴ. ‘-거-’는 과거시제, 완료 또는 확정법을 나타내는데, 자동사와 형용사, 서술격 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인다. 그런데 ‘-거-’의 /ㄱ/은 서술격 조사나 /ㄹ/이나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후두)마찰음 [ɦ]으로 변화하는데, 이를 표기한 것이 ‘ㅇ’이다.
주015)
응연(凝然):작용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것.
주016)
구더:굳어. 굳-[凝].
주017)
올마:옮아. 옮-[轉]+아.
주018)
뮈디:움직이지. 뮈-[動]+디.
주019)
아니호:아니함을.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보조사로서,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될 수 있음.
주020)
비르서:비로소. 비릇-[始]+어. 동사의 활용형 ‘비르서’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 현대국어의 ‘비로소’임.
주021)
일후미:일컬음이. 명명함이.
주022)
니샴:일컬으심. 니-[謂]+샤+옴.
주023)
아니라:아니다. 아니-[非]+라. 중세국어의 ‘아니’는 명사로 쓰였으므로 ‘아니라’는 ‘아니(명사)+∅(서술격조사)+라’로 분석할 수도 있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