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4. 미혹의 생성과 소멸을 분석해주심
  • 4-4) 질문이 부당하다고 결론지으심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4) 질문이 부당하다고 결론지으심 1


【경】 如是分別이 非爲正問이라

 주001)
:
같은.
分別 주002)
분별(分別):
모든 사리를 헤아려 식별(識別)하는 것.
이 正 무롬 주003)
무롬:
물음. 묻-[問]+옴. ‘ㄷ’ 불규칙활용.
아니라

이와 같은 분별(分別)이 바른 물음이 아니다.

【종밀주석】 乍看連次之經컨댄 卽似唯結巧見之文호 細詳其義면 乃都結第三一叚이시니라 問前에 讚善哉시고 此애 責非正은

원각경언해 상2의3:44ㄴ

何也오 答前에 讚者 美其起敎ㅣ시고 此애 責者 顯其實理시리라 此一叚疑ㅣ 最障脩證니 若不徵起오면 末世ㅣ 長迷릴 徵이 有斯益故로 前에 讚也시니라 剛藏所徵이 意在佛責시니 故知責此之過샤 始彰徵起有功이로다 乍看면 似前後ㅣ 乖違하나 細詳면 乃始終이 符合시니 可審翫味니 妙ㅣ 在斯焉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간 주004)
간:
잠깐. ‘간’은 한자어(暫間)인데, 중세국어 시기에 국어에 많이 동화되어 대개 정음으로 적힘.
버거 주005)
버거:
다음으로. 벅-[次]+어(연결어미). 이 단어의 어간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니 주006)
니:
이어진. -[繼]+은(관형사형어미).
經을 보건댄 곧 오직 工巧

원각경언해 상2의3:45ㄱ

보맷 주007)
보맷:
봄의. 보는 것의. 보-[見]+옴+애+ㅅ.
그를 結신 호 그 들 仔細히 면 第三 一段 다 結샤미시니라 무로 알 주008)
알:
앞에서. 앒+. ‘-’는 특수처소부사격조사.
됴타 주009)
됴타:
좋다. 둏-[好]+다.
기리시고 주010)
기리시고:
칭찬하시고. 기리-[譽]+시+고.
이 주011)
이:
이+ㆁ+에. ‘ㆁ’은 단순한 개입음이 아니라, [장소]를 뜻하는 의존명사일 가능성이 있다.
正 아니라 責샤 엇뎨오 주012)
엇뎨오:
어찌하여 그런가. 어째서인가. 엇뎨(부정의 부사)+오(의문 보조사). ‘-고/오’는 의문 종결어미로도 쓰이고 의문 보조사로도 쓰임. ‘엇뎨’는 부사이나, 여기서는 체언 자격을 가진다.
對答호 알 기리샤 그 敎 니르와샤 주013)
니르와샤:
일으키심을.
아다이 주014)
아다이:
아름답게. 좋게. 아(불규칙적 어근)+(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
너기시고 주015)
너기시고:
여기시고. 너기-〉녀기-〉여기-.
이 責샤 그 實 理 나토시니라 주016)
나토시니라:
나타내시니라.
이 一段 疑心이 주017)
:
가장 (먼저) 〉맏.
修證 주018)
수증(修證):
수행하여 이치를 깨닫는 것.
을 막니 다가 묻와 주019)
묻와:
여쭈어. 묻- ++아→묻〉묻와.
니르왇디 아니오면 주020)
아니오면:
아니하오면. 아니- ++면. 아니면〉아니오면.
末世ㅣ 기리 주021)
기리:
길이. 오래. 길- +이(부사파생접미사).
迷릴 듣오미 주022)
듣오미:
듣자옴이. 듣- ++옴+이.
이 利益이 이실 알 기리시니라 剛藏 묻오샤미 디 부텻 주023)
부텻:
부처의. 부처의. ‘-ㅅ’은 높임의 관형격 조사.
責샤매 겨시니 그럴 이 허므를 責샤 주024)
샤:
하시어야. - +샤+아+.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보조사로서,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비르서 주025)
비르서:
비로소. ‘비릇-[始]+어(연결어미)’가 부사로 굳어진 것.
묻와 니르와샤미 功이 겨샴 나토 주026)
나토:
나타냄을. 나타낸 것을. 나토-[彰]+옴+.
알리로다 주027)
알리로다:
알리로다. 알겠도다. 알- +리+로+다.
간 보면 前과 後왜 어긘 주028)
어긘:
어긋난. 어긔-+ㄴ.
나 仔細히 면 始와 終괘 마시니 仔細히 맛보미 맛니 微妙ㅣ 이

원각경언해 상2의3:45ㄴ

 잇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잠깐 다음에 이어지는 경(經)을 보건대, 곧 오직 공교(工巧)한 봄의 글을 맺으신 듯하되, 그 뜻을 자세히 하면 제3의 1단을 다 맺으심이니라. 묻되, “앞에서 ‘좋다.’라고 칭찬하시고, 여기서 ‘바름이 아니라.’라고 책망하심은 어찌하여 그런가?” 대답하되, “앞에서 기리심은 그 가르침을 일으키심을 아름답게 여기신 것이고, 여기서 책망하심은 그 실재하는 도리를 나타내신 것이다.” 이 1단의 의심이 가장 (먼저) 수증(修證)을 막느니, 만일 여쭈어 일으키지 아니하오면 말세(末世)가 길이 미혹(迷惑)할 것이므로 듣자옴이 이 이익이 있으므로 앞에서 칭찬하시니라. 강장(剛藏)의 여쭈심이 뜻이 부처의 책망하심에 있으시니, 그러므로 이 허물을 책망하셔야 비로소 여쭈어 일으키심이 공(功)이 있으심을 나타낸 것을 알리로다. 잠깐 보면 앞과 뒤가 어긋난 듯하나, 자세히 하면 처음과 마지막이 맞으시니, 자세히 맛봄(=음미함)이 마땅하니, 미묘(微妙)함이 여기에 있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같은.
주002)
분별(分別):모든 사리를 헤아려 식별(識別)하는 것.
주003)
무롬:물음. 묻-[問]+옴. ‘ㄷ’ 불규칙활용.
주004)
간:잠깐. ‘간’은 한자어(暫間)인데, 중세국어 시기에 국어에 많이 동화되어 대개 정음으로 적힘.
주005)
버거:다음으로. 벅-[次]+어(연결어미). 이 단어의 어간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주006)
니:이어진. -[繼]+은(관형사형어미).
주007)
보맷:봄의. 보는 것의. 보-[見]+옴+애+ㅅ.
주008)
알:앞에서. 앒+. ‘-’는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주009)
됴타:좋다. 둏-[好]+다.
주010)
기리시고:칭찬하시고. 기리-[譽]+시+고.
주011)
이:이+ㆁ+에. ‘ㆁ’은 단순한 개입음이 아니라, [장소]를 뜻하는 의존명사일 가능성이 있다.
주012)
엇뎨오:어찌하여 그런가. 어째서인가. 엇뎨(부정의 부사)+오(의문 보조사). ‘-고/오’는 의문 종결어미로도 쓰이고 의문 보조사로도 쓰임. ‘엇뎨’는 부사이나, 여기서는 체언 자격을 가진다.
주013)
니르와샤:일으키심을.
주014)
아다이:아름답게. 좋게. 아(불규칙적 어근)+(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5)
너기시고:여기시고. 너기-〉녀기-〉여기-.
주016)
나토시니라:나타내시니라.
주017)
:가장 (먼저) 〉맏.
주018)
수증(修證):수행하여 이치를 깨닫는 것.
주019)
묻와:여쭈어. 묻- ++아→묻〉묻와.
주020)
아니오면:아니하오면. 아니- ++면. 아니면〉아니오면.
주021)
기리:길이. 오래. 길- +이(부사파생접미사).
주022)
듣오미:듣자옴이. 듣- ++옴+이.
주023)
부텻:부처의. 부처의. ‘-ㅅ’은 높임의 관형격 조사.
주024)
샤:하시어야. - +샤+아+. ‘-’는 강조 또는 단독의 보조사로서, 체언, 조사, 어말어미 뒤에 두루 통합할 수 있음.
주025)
비르서:비로소. ‘비릇-[始]+어(연결어미)’가 부사로 굳어진 것.
주026)
나토:나타냄을. 나타낸 것을. 나토-[彰]+옴+.
주027)
알리로다:알리로다. 알겠도다. 알- +리+로+다.
주028)
어긘:어긋난. 어긔-+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