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4. 미혹의 생성과 소멸을 분석해주심
  • 4-3) 성문들은 여래의 깊은 생각을 알 수 없음 나) 잘못된 생각 8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성문들은 여래의 깊은 생각을 알 수 없음 나) 잘못된 생각 8


【종밀주석】 四 重彰妄義니 文이 二니 一은 無實體오

네흔 주001)
네흔:
넷은. 네ㅎ[四]+은.
들 주002)
들:
뜻을. +을.
다시 나토샤미니 주003)
나토샤미니:
나타내심이니. 나토-[彰].
文이 둘히니 주004)
둘히니:
둘이니. 둘ㅎ[二]+이+니.
나 주005)
나:
하나는. 나ㅎ[一]+.
實體 주006)
실체(實體):
생멸변화(生滅變化)하는 현상의 배후나 기초가 되어 영원히 변하지 않는 본체(本體).
업수미오 주007)
업수미오:
없음이고. 없-[無]+움+이+오.

넷[四]은 헛된 뜻을 다시 나타내심이니, 문(文)이 둘이니, 하나는 실체(實體)가 없음이고,

【경】 善男子아 有作思惟 從有心야 起니

善男子 주008)
-아:
-아(호격조사).
지 주009)
지:
지음. -[作]+움.
잇 思量 有心 주010)
유심(有心):
범부의 생각, 또는 망념(妄念). 때로는 중생(衆生)을 이르기도 한다.
을 브터 니니 주011)
니니:
일어나니. 닐-[起]+니. /ㄴ/ 앞에서 /ㄹ/ 탈락.

선남자(善男子)야, 지음이 있는 생각은 유심(有心)으로부터 일어나니,

【종밀주석】 擧能起之根識시니라 有心者 識也ㅣ오 起者 心所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能히 니르왇 주012)
니르왇:
일으키는. 니르왇-[起]++ㄴ(관형사형어미).
根識 주013)
근식(根識):
아뢰야식(阿賴耶識). 불교 유심론(唯心論)의 첫 번째인 뢰야연기(賴耶緣起)의 근본이 되는 식(識).
드르시니라 주014)
드르시니라:
드신 것이다. 들-[擧]+으시+니+라.

원각경언해 상2의3:42ㄴ

心은 주015)
식(識):
경계(境界)를 대하여 인식하는 마음의 작용.
이오 주016)
-이오:
-이고. -이- +오.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표기.
니로 주017)
니로:
일어나는 것은. 닐-[起]+옴+(보조사).
心所ㅣ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능히 일으키는 근식(根識)을 드신 것이다. 유심(有心)은 식(識)이고 일어나는 것은 심소(心所)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네흔:넷은. 네ㅎ[四]+은.
주002)
들:뜻을. +을.
주003)
나토샤미니:나타내심이니. 나토-[彰].
주004)
둘히니:둘이니. 둘ㅎ[二]+이+니.
주005)
나:하나는. 나ㅎ[一]+.
주006)
실체(實體):생멸변화(生滅變化)하는 현상의 배후나 기초가 되어 영원히 변하지 않는 본체(本體).
주007)
업수미오:없음이고. 없-[無]+움+이+오.
주008)
-아:-아(호격조사).
주009)
지:지음. -[作]+움.
주010)
유심(有心):범부의 생각, 또는 망념(妄念). 때로는 중생(衆生)을 이르기도 한다.
주011)
니니:일어나니. 닐-[起]+니. /ㄴ/ 앞에서 /ㄹ/ 탈락.
주012)
니르왇:일으키는. 니르왇-[起]++ㄴ(관형사형어미).
주013)
근식(根識):아뢰야식(阿賴耶識). 불교 유심론(唯心論)의 첫 번째인 뢰야연기(賴耶緣起)의 근본이 되는 식(識).
주014)
드르시니라:드신 것이다. 들-[擧]+으시+니+라.
주015)
식(識):경계(境界)를 대하여 인식하는 마음의 작용.
주016)
-이오:-이고. -이- +오.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 약화 표기.
주017)
니로:일어나는 것은. 닐-[起]+옴+(보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