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4. 미혹의 생성과 소멸을 분석해주심
  • 4-3) 성문들은 여래의 깊은 생각을 알 수 없음 가) 바른 생각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성문들은 여래의 깊은 생각을 알 수 없음 가) 바른 생각 1


【종밀주석】 三 顯淺難造深이니 文이 二니 初 所造離念이오

세흔 주001)
세흔:
셋은. 세ㅎ[三]+은(보조사).
녇가오니 주002)
녇가오니:
얕은 사람이. 녙-[淺]++이(의존명사)+∅(주격조사).
기픈 주003)
:
데에. (의존명사)+∅(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 조사(관형격 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나감 주004)
나감:
나아감. 나가-[進]+옴(명사형어미). ·가(어간. 거성)+옴(명사형어미)→:가(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어려우믈 주005)
어려우믈:
어려움을. 어-[難]+움+을.
나토샤미니 주006)
나토샤미니:
나타내심이니.
文이 둘히니 주007)
둘히니:
둘이니. 둘ㅎ[二]+이+니.
처믄 주008)
처믄:
처음은. 처+은.
나간 주009)
나간:
나아간. 나가-[進]+ㄴ.
고디 주010)
고디:
곳이. 곧[處]+이.
여희요미오 주011)
여희요미오:
여읨이고. (으로부터) 떠나감이고. 여희-[離]+옴+이+오.

셋은 얕은 사람이 깊은 곳에 나아감이 어려움을 나타내신 것이니, 글이 둘이니, 처음은 나아간 곳이 생각을 여의는 것이고,

【경】

원각경언해 상2의3:36ㄴ

善男子아 一切如來ㅅ 妙圓覺心엔

善男子 주012)
-아:
-아/야(호격조사).
一切 如來ㅅ 微妙 圓覺心 주013)
-엔:
-에는. 에(부사격조사)+ㄴ(보조사).

선남자야, 일체 여래의 미묘(微妙)한 원각심(圓覺心)에는

【종밀주석】 先標覺心샤 爲宗시고 後方拂迹者 明非斷滅시니 但離所拂이언뎡 非無覺心이라 拂이 有三節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몬져 주014)
몬져:
먼저.
覺心 주015)
각심(覺心):
본각(本覺)의 묘심(妙心).
을 標샤 주016)
종(宗):
근본 요지.
 사시고 後에 비르서 주017)
비르서:
비로소. ‘비릇-[始]+어(연결어미)’가 부사로 굳어진 것.
자쵤 주018)
자쵤:
자취를. 자최+ㄹ(목적격조사).
르샤 주019)
르샤:
떨쳐내심은. -[拂]+으샤+옴+은.
그처 주020)
그처:
끊어. 긏-[斷]+어.
滅홈 아닌 주021)
: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기시니 주022)
기시니:
밝히시니. 기-[明]+시+니.
오직 롤 주023)
롤:
떨쳐낼. -[拂]+오+ㄹ. 피수식어가 용언의 관형사형에 대하여 의미상 목적어가 될 때에 관형사형어미에 ‘-오/우-’가 나타나는데, 이를 흔히 대상활용이라 한다.
거슬 여흴 주024)
여흴:
여읠. 벗어날.
니언 주025)
니언:
뿐이지. (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어(확정법 선어말어미)+ㄴ.
覺心 업수미 주026)
업수미:
없음이. 없-[無]+움+이.
아니라 르샤미

원각경언해 상2의3:37ㄱ

세 節이 잇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먼저 각심(覺心)을 표하시어 종(宗)을 삼으시고, 나중에 비로소 자취를 떨치심은 끊어서 없앰이 아닌 것을 밝히신 것이니, 오직 떨쳐낼 것을 여읠 뿐이지, 각심(覺心)이 없음이 아니다. 떨쳐내심이 세 마디가 있느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세흔:셋은. 세ㅎ[三]+은(보조사).
주002)
녇가오니:얕은 사람이. 녙-[淺]++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003)
:데에. (의존명사)+∅(부사격조사). 음절부음 [j]로 끝나는 체언 중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부사격 조사(관형격 조사) ‘-/의’가 나타나지 않는다.
주004)
나감:나아감. 나가-[進]+옴(명사형어미). ·가(어간. 거성)+옴(명사형어미)→:가(상성). /ㅏ, ㅓ, ㅗ, ㅜ/ 뒤에 ‘-오/우-’가 결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이처럼 성조가 바뀐다.
주005)
어려우믈:어려움을. 어-[難]+움+을.
주006)
나토샤미니:나타내심이니.
주007)
둘히니:둘이니. 둘ㅎ[二]+이+니.
주008)
처믄:처음은. 처+은.
주009)
나간:나아간. 나가-[進]+ㄴ.
주010)
고디:곳이. 곧[處]+이.
주011)
여희요미오:여읨이고. (으로부터) 떠나감이고. 여희-[離]+옴+이+오.
주012)
-아:-아/야(호격조사).
주013)
-엔:-에는. 에(부사격조사)+ㄴ(보조사).
주014)
몬져:먼저.
주015)
각심(覺心):본각(本覺)의 묘심(妙心).
주016)
종(宗):근본 요지.
주017)
비르서:비로소. ‘비릇-[始]+어(연결어미)’가 부사로 굳어진 것.
주018)
자쵤:자취를. 자최+ㄹ(목적격조사).
주019)
르샤:떨쳐내심은. -[拂]+으샤+옴+은.
주020)
그처:끊어. 긏-[斷]+어.
주021)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22)
기시니:밝히시니. 기-[明]+시+니.
주023)
롤:떨쳐낼. -[拂]+오+ㄹ. 피수식어가 용언의 관형사형에 대하여 의미상 목적어가 될 때에 관형사형어미에 ‘-오/우-’가 나타나는데, 이를 흔히 대상활용이라 한다.
주024)
여흴:여읠. 벗어날.
주025)
니언:뿐이지. (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어(확정법 선어말어미)+ㄴ.
주026)
업수미:없음이. 없-[無]+움+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