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3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3


【경】 漸次方便샤 與諸衆生과 開發蒙昧샤 在會法衆이 承佛慈誨와 幻翳朗然야 慧目이

원각경언해 상2의3:2ㄴ

淸淨케시니

漸次 方便을 펴샤 주001)
펴샤:
‘宣揚’(1ㄴ)의 번역. 펴시어. 펼치시어.
주002)
한:
많은. 하-[多]+ㄴ.
衆生과 어드우닐 주003)
어드우닐:
어두운 이를. 무지몽매한 이를. 어-[蒙昧]+은+이+ㄹ. 어드〉어드운. 중세 국어에서 목적격 조사 ‘-ㄹ’과 ‘-/를’의 교체는 수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는 항상 ‘-ㄹ’만이 쓰인다.
여러 주004)
여러:
열어. 열-[開]+어.
發샤 會예 잇 法衆 주005)
법중(法衆):
불법을 따르는 중승(衆僧). 곧 출가한 오중(五衆)을 이른다. ‘오중(五衆)’은 비구, 비구니, 식차마나, 사미, 사미니 등이다.
부텻 주006)
부텻:
부처의. ‘-ㅅ’은 관형격조사.
慈悲 주007)
ㅅ:
관형격조사. ‘慈悲’가 무정체언이기 때문에 관형격조사로 ‘ㅅ’이 쓰인 것이다.
치샤 받와 주008)
받와:
받자와. 받-[承]++아. 받〉받와.
幻 료미 주009)
료미:
가림이. 막힘이. 걸림이. 리-[翳]+옴+이.
가 주010)
가:
밝아. -[明]+아.
慧目 주011)
혜목(慧目):
지혜의 눈. 진리를 관찰하는 심안(心眼).
이 淸淨케 시니

점차 방편(方便)을 펼치시어 많은 중생과 어두운(=몽매한) 사람을 깨우쳐 피우셔서(=개발하셔서) 법회에 있는 법중(法衆)이 부처의 자비로운 가르치심을 받자와 미혹한 가림(막힘)이 밝아 지혜의 눈이 청정하게 하시니,

【종밀주석】 可知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어루 주012)
어루:
가히. 능히.
알리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가히 알리라(=알 것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펴샤:‘宣揚’(1ㄴ)의 번역. 펴시어. 펼치시어.
주002)
한:많은. 하-[多]+ㄴ.
주003)
어드우닐:어두운 이를. 무지몽매한 이를. 어-[蒙昧]+은+이+ㄹ. 어드〉어드운. 중세 국어에서 목적격 조사 ‘-ㄹ’과 ‘-/를’의 교체는 수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에는 항상 ‘-ㄹ’만이 쓰인다.
주004)
여러:열어. 열-[開]+어.
주005)
법중(法衆):불법을 따르는 중승(衆僧). 곧 출가한 오중(五衆)을 이른다. ‘오중(五衆)’은 비구, 비구니, 식차마나, 사미, 사미니 등이다.
주006)
부텻:부처의. ‘-ㅅ’은 관형격조사.
주007)
ㅅ:관형격조사. ‘慈悲’가 무정체언이기 때문에 관형격조사로 ‘ㅅ’이 쓰인 것이다.
주008)
받와:받자와. 받-[承]++아. 받〉받와.
주009)
료미:가림이. 막힘이. 걸림이. 리-[翳]+옴+이.
주010)
가:밝아. -[明]+아.
주011)
혜목(慧目):지혜의 눈. 진리를 관찰하는 심안(心眼).
주012)
어루:가히. 능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