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4. 미혹의 생성과 소멸을 분석해주심
  • 4-3) 성문들은 여래의 깊은 생각을 알 수 없음 나) 잘못된 생각 6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성문들은 여래의 깊은 생각을 알 수 없음 나) 잘못된 생각 6


【경】 以輪廻心으로 生輪廻見야 入於如來大寂滅海야도 終不能至리니

輪廻心으로 輪廻見을 내야 如來ㅅ 大寂滅海 주001)
대적멸해(大寂滅海):
대열반(大涅槃). 생멸이 없는 절대 적정(寂靜)한 경지.
드로려 주002)
드로려:
들려. 들-[入]+오+려.
야도 내 주003)
내:
마침내.
能히 니르디 몯리니

윤회심으로 윤회견(輪廻見)을 내어 여래의 대적멸해(大寂滅海)에 들려고 하여도 마침내 능히 이르지 못하리니,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2의3:41ㄱ

卽知前에 擧勝시고 此애 擧喩샤미 並是顯分別心의 不能證覺시니 竊責前엣 三種翻覆疑難이샷다 前云有思惟心이 卽是此云以輪廻心이오 前云圓覺境界ㅣ 卽是此云大寂滅海니 可深照之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곧 알리로다 알 주004)
알:
앞에서. 앒[前]+(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다.
勝을 드르시고 주005)
드르시고:
드시고. 들-[擧]+으시+고.
이 주006)
이:
여기에서. 이+ㆁ+에. ‘ㆁ’은 단순한 개입음이 아니라, [장소]를 뜻하는 의존명사일 가능성이 있다.
가뵤 드르샤미 다 이 分別心 주007)
-의:
‘분멸심(分別心)의’의 ‘-의’는 현대 국어의 관점에서 보면, 주격조사가 쓰일 자리에 쓰인 것. 명사형의 서술어를 취하는 주어 뒤에 쓰임.
能히 覺 證티 몯호 나토샤미시니 알 주008)
알:
앞의. 앒++ㅅ. ‘-ㅅ’은 관형격조사. ‘-’는 특수처소부사격조사.
가짓 주009)
가짓:
가지의. 관형격조사 ‘-ㅅ’을 쓴 것은 명사 ‘힐난(詰難)’을 수식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힐난(詰難)’은 ‘힐난(詰難)홈’으로 적는 것이 당시의 규칙에 맞을 것으로 생각된다.
드위힐훠 주010)
드위힐훠:
뒤집어. 드위힐후-[飜覆]+어.
疑心야 詰難 그기 주011)
그기:
그윽이. 그(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샷다 주012)
샷다:
하셨도다. - +샤+옷+다.
알 니샨 思量 잇 미 곧 이 이 니샨 輪廻心이오 주013)
-이오:
-이고. -이- +오(대등적 연결어미).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후두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함.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다.
알 니샨 圓覺 境界 곧 이 이 니샨 大寂滅海

원각경언해 상2의3:41ㄴ

어루 주014)
어루:
가히.
기피 비취욜디니라 주015)
비취욜디니라:
비출지니라. 비출 것이니라. 비취-[照]+우+ㄹ++ㅣ+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곧 알리로다. 앞에서 더 나음을 드시고, 여기서 비유(譬喩)를 드심이 다 이것이 분별심(分別心)이 능히 깨달음을 증명하지(=증득하지) 못함을 나타내심이니, 앞의 세 가지의 뒤집어 의심하여 힐난(詰難)함을 그윽이 책망하신 것이로다. 앞에서 이르신 헤아림(=생각) 있는 마음이 곧 여기에서 이르신 윤회심(輪廻心)이고, 앞에서 이르신 원각(圓覺) 경계(境界)가, 곧 여기에서 이르신 대적멸해(大寂滅海)이니, 가히 깊이 비출지니라(=비출 것이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대적멸해(大寂滅海):대열반(大涅槃). 생멸이 없는 절대 적정(寂靜)한 경지.
주002)
드로려:들려. 들-[入]+오+려.
주003)
내:마침내.
주004)
알:앞에서. 앒[前]+(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다.
주005)
드르시고:드시고. 들-[擧]+으시+고.
주006)
이:여기에서. 이+ㆁ+에. ‘ㆁ’은 단순한 개입음이 아니라, [장소]를 뜻하는 의존명사일 가능성이 있다.
주007)
-의:‘분멸심(分別心)의’의 ‘-의’는 현대 국어의 관점에서 보면, 주격조사가 쓰일 자리에 쓰인 것. 명사형의 서술어를 취하는 주어 뒤에 쓰임.
주008)
알:앞의. 앒++ㅅ. ‘-ㅅ’은 관형격조사. ‘-’는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주009)
가짓:가지의. 관형격조사 ‘-ㅅ’을 쓴 것은 명사 ‘힐난(詰難)’을 수식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힐난(詰難)’은 ‘힐난(詰難)홈’으로 적는 것이 당시의 규칙에 맞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010)
드위힐훠:뒤집어. 드위힐후-[飜覆]+어.
주011)
그기:그윽이. 그(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2)
샷다:하셨도다. - +샤+옷+다.
주013)
-이오:-이고. -이- +오(대등적 연결어미). 서술격조사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후두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함. 이 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모음 /ㅣ/의 영향을 입어 ‘요’로 변화하지 않는다.
주014)
어루:가히.
주015)
비취욜디니라:비출지니라. 비출 것이니라. 비취-[照]+우+ㄹ++ㅣ+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