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2
  • 3. 보안보살장(普眼菩薩章) ②
  • 4-2) 관행을 하라 나) 관법과 지혜를 활용하라
  • 4-3) 부처님의 경계와 단박에 같아짐 가) 마음 씀씀이가 같아짐 2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부처님의 경계와 단박에 같아짐 가) 마음 씀씀이가 같아짐 2


【경】 當知菩薩이 不與法縛며 不求法脫며 不厭生死며 不愛涅槃며 不敬持戒며 不憎毁禁며 不重久習며 不輕初學이니 何以故오 一切覺故ㅣ라

菩薩 주001)
보살(菩薩):
성불(成佛)하기 위해 수행에 힘쓰는 이의 총칭.
주002)
법(法):
제 성품을 가졌고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요 주003)
요:
매임을. 이-[縛]+옴+.
許티 아니며 法에 버수믈 주004)
버수믈:
벗어남을. 벗-[脫]+움+을.
求티 아니며 生死 아쳗디 주005)
아쳗디:
싫어하지. 아쳗-[厭]+디.
아니며 涅槃 주006)
열반(涅槃):
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 적멸(寂滅).
디 주007)
디:
사랑하지. -[愛]+디.
아니며 持戒 주008)
지계(持戒):
계행(戒行)을 굳게 지키는 일.
恭敬 주009)
공경(恭敬):
제 몸을 공손히 하고 남을 존중하는 것.
아니며 주010)
금(禁):
어떤 윤리적 범주를 정해 놓고 그것에 위반하는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것. 곧, 계율(戒律)과 같다.
허닐 주011)
허닐:
헌(무너뜨린) 이를. 헐-[毁]+ㄴ+이+ㄹ.
믜디 주012)
믜디:
미워하지. 믜-[憎]+디.
아니며 오래 호닐 주013)
호닐:
배울 이를. 호-[習]+ㄴ+이+ㄹ.
重히 너기디 주014)
너기디:
여기지. 너기- +디.
아니며 처 주015)
처:
처음.
호릴 주016)
호릴:
배울 사람을. 배울 이를. 호-[學]+ㄹ+이+ㄹ.
가야이 주017)
가야이:
가벼이. 가볍게.
너기디 아니호 반기 아롤디니 주018)
아롤디니:
알 것이니. 알지니.
엇뎨어뇨 주019)
엇뎨어뇨:
어째서냐. 어찌해서인가.
一切 주020)
일체(一切):
만물의 전체. 온갖 것. 모든 것.
주021)
-예:
-에.
주022)
각(覺):
불법의 본체(本體)와 마음의 본원(本源)을 깨달아 아는 경지.
 젼라

보살(菩薩)이 법에 매임을 허락하지 아니하며, 법에 벗어남을 구(求)하지 아니하며, 생사(生死)를 싫어하지 아니하며, 열반(涅槃)을 사랑하지 아니하며, 지계(持戒)를 공경하지 아니하며, 금(禁, 계율)을 헌(무너뜨린) 이(사람)를 미워하지 아니하며, 오래 배운 이(사람)를 중하게 여기지 아니하며, 처음 배울 이(사람)를 가벼이 여기지 아니함을 반드시 알 것이니 어찌해서인가. 일체(一切)에 각(覺)한 까닭이다.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2의2:147ㄴ

於四對法에 無勝劣心호미 如佛於三念之境 故言同也ㅣ니 同之所由 經自徵釋云샤 由一切覺故ㅣ라 시니 故로 論애 云호 所言覺義者 謂心體離念이라 니 今則離前엣 與求厭愛敬憎重輕等八念也라

원각경언해 상2의2:148ㄱ

擧八境者 顯於心也ㅣ시니 喩云光無憎愛라 시고 後云修習此心故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주023)
네:
네[四].
對ㅅ 法 주024)
대(對)ㅅ 법(法):
대(對)의 법(法). 대법(對法). ‘대법’은 사체(四諦)의 이치를 대관(對觀)하여 열반에 대향(對向)한다는 뜻. 곧, 아비달마(阿毘達磨).
주025)
승(勝):
뛰어난 것. 나은 것.
며 주026)
승(勝)며:
뛰어나며. 나으며.
사오나온 주027)
사오나온:
좋지 않은. 나쁜. 사오-[劣]+.
 주028)
:
마음.
업수미 주029)
업수미:
없음이.
부텻 주030)
부텻:
부처의. 부텨[佛]+ㅅ.
주031)
염(念):
주관인 마음이 객관인 대경(對經)을 마음에 분명히 기억하여 두고 잊지 않는 정신.
주032)
경(境):
인식작용의 대상. 곧 경계(境界), 또는 대경(對經).
 주033)
:
같을새. 같으므로.
다 주034)
다:
같다고.
니니 주035)
니니:
이르니. 말하니.
【세 念ㅅ 境은 부톄 주036)
부톄:
부처가. 부처께서. 부텨[佛]+ㅣ(주격조사).
가짓 주037)
가짓:
가지의.
사게 주038)
사게:
사람에게. 사[人]+게.
미 주039)
미:
마음이.
세히 주040)
세히:
셋이. 세ㅎ[三]+이.
업스시니 나 모딘 주041)
모딘:
사나운. 나쁜.
미니 주042)
미니:
마음이니.
갈로 주043)
갈로:
칼로. 갈ㅎ[刀]+로.
부텻 주044)
부텻:
부처의.
왼녁 주045)
왼녁:
왼녘. 왼편.
엇게 주046)
엇게:
어깨.
버효미오 주047)
버효미오:
자름이고, 베는 것이고. 버히-[割]+옴+이+고.
둘흔 恭敬 주048)
공경(恭敬):
자기의 몸을 공손히 하고 남을 존중하는 것.
 미니 주049)
향(香):
향냄새가 나는 물건.
로 올녁 주050)
올녁:
오른녘. 오른편.
엇게예 주051)
엇게예:
어깨에.
로미오 주052)
로미오:
-[塗]+옴+이+고.
세흔 恭敬 업스며 모디롬 주053)
모디롬:
모질음이. 사나움이. 나쁨이. 모딜-[酷]+옴.
업수미니 버히디 주054)
버히디:
베지. 자르지.
아니며 디 주055)
디:
바르지.
아니호미니 주056)
아니호미니:
아니함이니.
부톄 버히릴 주057)
버히릴:
베는 이를. 베는 사람을. 버히-[割]+ㄹ+이+ㄹ.
믜요 주058)
믜요:
미워함을. 믜-[憎]+옴+.

원각경언해 상2의2:148ㄴ

삼디 주059)
삼디:
삼지.
아니시며 릴 주060)
릴:
바르는 이를. -[塗]+ㄹ+이+ㄹ.
恩 삼디 아니시며 디 아니며 버히디 아니릴 주061)
아니릴:
아니하는 이를. 아니- +ㄹ+이+ㄹ.
分別 주062)
분별(分別):
나누어 가름, 또는 사리에 맞게 판단함.
업스시니라 주063)
업스시니라:
없으시니라. 없으신 것이다.
 주064)
:
같은.
젼 주065)
젼:
까닭을.
주066)
경(經):
부처님이 설한 교법과 그것을 기록한 불교성전.
걔 주067)
걔:
자기가. 당신이. ‘갸’는 자기(自己)의 높임말. 자갸[自]+ㅣ(주격조사).
무르시고 주068)
무르시고:
물으시고. 묻-[徵]+으시+고.
사겨 주069)
사겨:
새겨. 풀어. 사기-[釋]+어.
니샤 一切예 覺 젼라 시니 그럴 주070)
논(論):
부처님의 제자나 마명(馬鳴), 용수(龍樹), 천친(天親) 등의 여러 논사(論師)가 지어, 경의 뜻을 해석하고 법상(法相)을 변론한 글.
애 닐오 니논 주071)
니논:
이르는. 이른바.
주072)
각(覺):
나쁜 일을 살펴보아 아는 것과 진리를 깨닫는 것.
주073)
의(義):
도리(道理), 또는 의의(意義).
 닐오 心體 주074)
심체(心體):
대경(對境)의 일반상을 인지하는 정신 작용인 심(心)과, 일체 차별 현상의 근본인 체(體)를 이른다.
주075)
염(念):
마음에 분명히 기억하여 두고 잊지 않는 정신.
여희요미라 주076)
여희요미라:
벗어남이라. 여읨이라. 여희-[離]+옴+이+라.
니 주077)
니:
하니.
이젠 알 주078)
알:
앞의. 앒[前]+.
許홈과 求홈과 아쳐롬 주079)
아쳐롬:
싫어함. 아쳗-[厭]+옴.
옴 주080)
옴:
사랑함. -[愛]+옴.
과 恭敬과 믜윰 주081)
믜윰:
미워함. 믜-[憎]+움.
과 重홈과 가야옴 주082)
가야옴:
가벼움들의. 가-[輕]+옴++ㅅ.
여듧 念을 여흴라 주083)
여흴라:
여의는 것이다. 벗어난 것이다.
여듧 境을 드르샤 주084)
드르샤:
드시는 것은. 드심은. 들-[擧]+으샤+옴+.
 나토시니 주085)
나토시니:
나타내시니.
가뵤매 주086)
가뵤매:
비유함에. 가비-[喩]+옴+애.
니샤 光이 믜윰과 옴 업다 주087)
업다:
없다.
시고 後에 니샤 이  닷가 주088)
닷가:
닦아. -[修]+아.
니기다 주089)
니기다:
역히다. 익힌다고. 니기[[習]+다.
신 젼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네 대(對)의 법[四對法]에 승(勝)하며 나쁜 마음 없음이 부처의 세 염(念)의 경(境)과 같으므로 ‘같다’고 이르니, 【세 염(念)의 경(境)은 부처가 세 가지의 사람에게 마음이 셋이 없으시니, 하나는 모진(나쁜) 마음이니 칼로 부처의 왼편 어깨를 베는 것이고, 둘은 공경(恭敬)한 마음이니 향(香)으로 오른편 어깨에 바름이고, 셋은 공경이 없으며, 나쁜 마음이 없음이니 (왼편 어깨를) 베지 아니하며, (향을) 바르지 아니함이니, 부처가 (어깨를) 벤 이(사람)를 미워함을 삼지 아니하시며, (향) 바른 이를 은인 삼지 아니하시며, 바르지 아니하며 베지 아니한 이를 또 분별(分別·가름)이 없으시니라.】 같은 까닭을 경(經)에 자기가(당신이) 물으시고 새기어 이르시되, “일체에 각(覺)한 까닭이다.”라고 하시니, 그러므로 논(論)에 이르되, “이른바 각(覺)의 의(義)는 이르되, ‘심체(心體)가 염(念)을 여읨이다.’”〈라고〉 하니, 이제는 앞의 허락함과 구함과 싫어함과 사랑함과 공경(恭敬)과 미워함과 중함과 가벼움들의 여덟 가지 염(念)을 여의는 것이다. 여덟 (가지) 경(境)을 드시는 것은 마음을 나타내시니, 비유함에 이르시되, “광(光)이 미워함과 사랑함이 없다.”하시고, 후(後)에 이르시되 “이 마음을 닦아 익힌다.”라고 하신 까닭이다.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보살(菩薩):성불(成佛)하기 위해 수행에 힘쓰는 이의 총칭.
주002)
법(法):제 성품을 가졌고 물건의 알음알이를 내게 하는 것.
주003)
요:매임을. 이-[縛]+옴+.
주004)
버수믈:벗어남을. 벗-[脫]+움+을.
주005)
아쳗디:싫어하지. 아쳗-[厭]+디.
주006)
열반(涅槃):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 적멸(寂滅).
주007)
디:사랑하지. -[愛]+디.
주008)
지계(持戒):계행(戒行)을 굳게 지키는 일.
주009)
공경(恭敬):제 몸을 공손히 하고 남을 존중하는 것.
주010)
금(禁):어떤 윤리적 범주를 정해 놓고 그것에 위반하는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것. 곧, 계율(戒律)과 같다.
주011)
허닐:헌(무너뜨린) 이를. 헐-[毁]+ㄴ+이+ㄹ.
주012)
믜디:미워하지. 믜-[憎]+디.
주013)
호닐:배울 이를. 호-[習]+ㄴ+이+ㄹ.
주014)
너기디:여기지. 너기- +디.
주015)
처:처음.
주016)
호릴:배울 사람을. 배울 이를. 호-[學]+ㄹ+이+ㄹ.
주017)
가야이:가벼이. 가볍게.
주018)
아롤디니:알 것이니. 알지니.
주019)
엇뎨어뇨:어째서냐. 어찌해서인가.
주020)
일체(一切):만물의 전체. 온갖 것. 모든 것.
주021)
-예:-에.
주022)
각(覺):불법의 본체(本體)와 마음의 본원(本源)을 깨달아 아는 경지.
주023)
네:네[四].
주024)
대(對)ㅅ 법(法):대(對)의 법(法). 대법(對法). ‘대법’은 사체(四諦)의 이치를 대관(對觀)하여 열반에 대향(對向)한다는 뜻. 곧, 아비달마(阿毘達磨).
주025)
승(勝):뛰어난 것. 나은 것.
주026)
승(勝)며:뛰어나며. 나으며.
주027)
사오나온:좋지 않은. 나쁜. 사오-[劣]+.
주028)
:마음.
주029)
업수미:없음이.
주030)
부텻:부처의. 부텨[佛]+ㅅ.
주031)
염(念):주관인 마음이 객관인 대경(對經)을 마음에 분명히 기억하여 두고 잊지 않는 정신.
주032)
경(境):인식작용의 대상. 곧 경계(境界), 또는 대경(對經).
주033)
:같을새. 같으므로.
주034)
다:같다고.
주035)
니니:이르니. 말하니.
주036)
부톄:부처가. 부처께서. 부텨[佛]+ㅣ(주격조사).
주037)
가짓:가지의.
주038)
사게:사람에게. 사[人]+게.
주039)
미:마음이.
주040)
세히:셋이. 세ㅎ[三]+이.
주041)
모딘:사나운. 나쁜.
주042)
미니:마음이니.
주043)
갈로:칼로. 갈ㅎ[刀]+로.
주044)
부텻:부처의.
주045)
왼녁:왼녘. 왼편.
주046)
엇게:어깨.
주047)
버효미오:자름이고, 베는 것이고. 버히-[割]+옴+이+고.
주048)
공경(恭敬):자기의 몸을 공손히 하고 남을 존중하는 것.
주049)
향(香):향냄새가 나는 물건.
주050)
올녁:오른녘. 오른편.
주051)
엇게예:어깨에.
주052)
로미오:-[塗]+옴+이+고.
주053)
모디롬:모질음이. 사나움이. 나쁨이. 모딜-[酷]+옴.
주054)
버히디:베지. 자르지.
주055)
디:바르지.
주056)
아니호미니:아니함이니.
주057)
버히릴:베는 이를. 베는 사람을. 버히-[割]+ㄹ+이+ㄹ.
주058)
믜요:미워함을. 믜-[憎]+옴+.
주059)
삼디:삼지.
주060)
릴:바르는 이를. -[塗]+ㄹ+이+ㄹ.
주061)
아니릴:아니하는 이를. 아니- +ㄹ+이+ㄹ.
주062)
분별(分別):나누어 가름, 또는 사리에 맞게 판단함.
주063)
업스시니라:없으시니라. 없으신 것이다.
주064)
:같은.
주065)
젼:까닭을.
주066)
경(經):부처님이 설한 교법과 그것을 기록한 불교성전.
주067)
걔:자기가. 당신이. ‘갸’는 자기(自己)의 높임말. 자갸[自]+ㅣ(주격조사).
주068)
무르시고:물으시고. 묻-[徵]+으시+고.
주069)
사겨:새겨. 풀어. 사기-[釋]+어.
주070)
논(論):부처님의 제자나 마명(馬鳴), 용수(龍樹), 천친(天親) 등의 여러 논사(論師)가 지어, 경의 뜻을 해석하고 법상(法相)을 변론한 글.
주071)
니논:이르는. 이른바.
주072)
각(覺):나쁜 일을 살펴보아 아는 것과 진리를 깨닫는 것.
주073)
의(義):도리(道理), 또는 의의(意義).
주074)
심체(心體):대경(對境)의 일반상을 인지하는 정신 작용인 심(心)과, 일체 차별 현상의 근본인 체(體)를 이른다.
주075)
염(念):마음에 분명히 기억하여 두고 잊지 않는 정신.
주076)
여희요미라:벗어남이라. 여읨이라. 여희-[離]+옴+이+라.
주077)
니:하니.
주078)
알:앞의. 앒[前]+.
주079)
아쳐롬:싫어함. 아쳗-[厭]+옴.
주080)
옴:사랑함. -[愛]+옴.
주081)
믜윰:미워함. 믜-[憎]+움.
주082)
가야옴:가벼움들의. 가-[輕]+옴++ㅅ.
주083)
여흴라:여의는 것이다. 벗어난 것이다.
주084)
드르샤:드시는 것은. 드심은. 들-[擧]+으샤+옴+.
주085)
나토시니:나타내시니.
주086)
가뵤매:비유함에. 가비-[喩]+옴+애.
주087)
업다:없다.
주088)
닷가:닦아. -[修]+아.
주089)
니기다:역히다. 익힌다고. 니기[[習]+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