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4. 미혹의 생성과 소멸을 분석해주심
  • 4-3) 성문들은 여래의 깊은 생각을 알 수 없음 나) 잘못된 생각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4-3) 성문들은 여래의 깊은 생각을 알 수 없음 나) 잘못된 생각 13


【경】

원각경언해 상2의3:43ㄴ

善男子아 虛妄浮心이 多諸巧見이라 不能成就圓覺方便니

善男子아 虛妄 주001)
:
뜬. -[浮]+ㄴ.
미 주002)
한:
많은. 하-[多]+ㄴ.
工巧 보미 주003)
보미:
봄이. 보는 것이. 보-[見]+옴+이(주격조사).
주004)
한:
많은. 하-[多]+ㄴ.
디라 能히 圓覺 方便을 일우디 주005)
일우디:
이루지. 일우-[成]+디(보조적 연결어미).
몯니

선남자야, 허망(虛妄)한 뜬 마음이 많은 공교(工巧)한 봄이 많은지라, 능히 원각 방편(方便)을 이루지 못하느니,

【종밀주석】 從第一覈疑之本야 兼此第三一叚히 大意ㅣ 摠是責問者의 滯情分別過患所以샤 其中에 此節이 最親시니 因前엣 三番之疑샤 便都指샤 但是浮心巧見이라 摠不能證覺이라 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第一 疑心ㅅ 根本 샤 주006)
샤:
분별하심을. -[覈]+샤+옴+.
브터 주007)
-브터:
-으로부터.
이 第三 一段애 兼히 큰 디 주008)
디:
뜻이. +이.
다 이 묻 주009)
묻:
여쭙는. 묻- +++ㄴ.
사 情에

원각경언해 상2의3:44ㄱ

주010)
걸여:
걸려. 걸이-[滯]+어.
分別 허믌 주011)
허믌:
허물의. 허믈+ㅅ(관형격조사).
젼 責샤 그 中에 이 節이 주012)
:
가장.
親시니 알 주013)
알:
앞의. 앒++ㅅ. ‘-ㅅ’은 관형격조사. ‘-’는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세 번 疑心을 브트샤 곧 다 치샤 오직 이  미 工巧 보미라 다 能히 覺 證티 몯니라 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제1의 의심(疑心)의 근본(根本)을 분별(分別)하심으로부터 이 제3의 1단에 함께 큰 뜻이 다 이 여쭙는 사람의 정(情)에 걸리어 분별하는 허물의 까닭을 책망하시되, 그 중에 이 마디가 가장 가까우시니, 앞의 세 번의 의심으로 인하여 곧 다 가리키시되, ‘오직 이 뜬 마음이 공교한 봄이라, 다 능히 깨달음을 증명하지(=증득하지) 못하느니라.’라고 하시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뜬. -[浮]+ㄴ.
주002)
한:많은. 하-[多]+ㄴ.
주003)
보미:봄이. 보는 것이. 보-[見]+옴+이(주격조사).
주004)
한:많은. 하-[多]+ㄴ.
주005)
일우디:이루지. 일우-[成]+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6)
샤:분별하심을. -[覈]+샤+옴+.
주007)
-브터:-으로부터.
주008)
디:뜻이. +이.
주009)
묻:여쭙는. 묻- +++ㄴ.
주010)
걸여:걸려. 걸이-[滯]+어.
주011)
허믌:허물의. 허믈+ㅅ(관형격조사).
주012)
:가장.
주013)
알:앞의. 앒++ㅅ. ‘-ㅅ’은 관형격조사. ‘-’는 특수처소부사격조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