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4. 미혹의 생성과 소멸을 분석해주심
  • 4-1) 의심의 근본을 바로 잡아주심 1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의심의 근본을 바로 잡아주심 1


【경】 善男子아 一切世界ㅣ

善男子 주001)
-아:
-아/야. 호격 조사. 중세 국어에서도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 호격 조사 ‘-야’가 쓰이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아’가 쓰임.
一切 世界ㅣ

“선남자야, 일체 세계가

【종밀주석】 摠指情器也ㅣ시니 無著金剛論애 以四蘊으로 爲世界故ㅣ라 若不約情면 何成輪迴리오

원각경언해 상2의3:15ㄴ

次下六對 辨其輪廻시니 謂但住

원각경언해 상2의3:16ㄱ

有爲면 卽屬輪廻心也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주002)
정(情):
유정(有情).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 곧 중생(衆生).
주003)
기(器):
근기(根器). 또는 기량(器量). 교법을 믿고 이를 실제로 닦을 만한 능력을 가진 이를 그릇에 비유한 말.
와 주004)
-와:
-와를. 체언의 접속에서 마지막에 놓이는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 ‘-와’가 쓰이는 것이 중세 국어의 특징임.
뫼화 치시니 주005)
치시니:
가리키시니.
無著 주006)
무착(無著):
북인도 건타라국 출신의 보살 법상종(法相宗)의 개조(開祖).
金剛論애 四蘊 주007)
사온(四蘊):
물건이 모여 쌓인 네 가지 종류.
로 世界 사 젼라 【四蘊 受想行識이라】 다가 情을 잡디 아니면 엇뎨 輪廻ㅣ 외리오 주008)
외리오:
되리오. 외-[成]+리+오.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버거 주009)
버거:
다음으로. 벅-[次]+어. 이 단어의 어간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벅게코져’(圓覺 상1-2:75ㄴ)를 참조할 것.
아랫 주010)
아랫:
아래의. 아래+ㅅ.
여슷 주011)
여슷:
여섯.
對 그 輪廻 시니 닐오 오직 욤 주012)
욤:
함. - +옴. ‘- +욤’은 ‘욤, 욤’으로도 적히는데, 동일한 음소적 실현에 대한 이표기이다.
이쇼매 住면 곧 輪廻ㅅ 매 브트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정(情)과 기(器)를 모아 가리키시니, 무착(無著)의 금강론(金剛論)에 사온(四蘊)으로 세계를 삼은 까닭이다.【사온(四蘊)은 수상행식(受想行識)이다.】 만약 정(情)을 잡지 아니하면 어찌하여 윤회가 되리오. 다음 아래의 여섯 짝은 그 윤회를 구별하신 것이니, 말하자면 오직 함이 있음[有爲]에 머무르면, 곧 윤회의 마음에 속하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아:-아/야. 호격 조사. 중세 국어에서도 모음으로 끝난 체언 뒤에서 호격 조사 ‘-야’가 쓰이기도 했는데, 여기서는 ‘-아’가 쓰임.
주002)
정(情):유정(有情). 정식(情識)이 있는 생물. 곧 중생(衆生).
주003)
기(器):근기(根器). 또는 기량(器量). 교법을 믿고 이를 실제로 닦을 만한 능력을 가진 이를 그릇에 비유한 말.
주004)
-와:-와를. 체언의 접속에서 마지막에 놓이는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 ‘-와’가 쓰이는 것이 중세 국어의 특징임.
주005)
치시니:가리키시니.
주006)
무착(無著):북인도 건타라국 출신의 보살 법상종(法相宗)의 개조(開祖).
주007)
사온(四蘊):물건이 모여 쌓인 네 가지 종류.
주008)
외리오:되리오. 외-[成]+리+오. ‘-고’가 /ㄱ/ 약화를 거쳐 ‘-오’로 교체된 것.
주009)
버거:다음으로. 벅-[次]+어. 이 단어의 어간은 ‘버그-’가 아니라 ‘벅-’이다. ‘벅게코져’(圓覺 상1-2:75ㄴ)를 참조할 것.
주010)
아랫:아래의. 아래+ㅅ.
주011)
여슷:여섯.
주012)
욤:함. - +옴. ‘- +욤’은 ‘욤, 욤’으로도 적히는데, 동일한 음소적 실현에 대한 이표기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