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6집 상2의3
  • 4.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2
메뉴닫기 메뉴열기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2


【경】 是諸菩薩의 最上敎誨논 了義大乘이니 能使十方脩學菩薩와 及諸末世一切衆生으로 得決定信야

주001)
이:
이것이. 이+∅(주격조사).
諸菩薩의 주002)
:
가장.
노 치논 了義 주003)
요의(了義):
불법의 이치를 말하여 다한 것. ‘요(了)’는 끝까지의 뜻이다.
大乘 주004)
대승(大乘):
이타주의(利他主義)에 의해 널리 인간 전체의 구제를 주장하는 적극적인 불법. 이상경(理想境)에 도달하려는 수행과 이상과 목적이 모두 크고 깊은 것.
이니 能히 十方앳 學 닷 주005)
닷:
닦는. -[修]++ㄴ.
菩薩와 주006)
한:
많은. 하-[多]+ㄴ.
末世옛 一切 衆生로 決定 信을 得야

이것이 모든 보살의 가장 높은 가르치는 요의(了義) 대승(大乘)이니, 능히 시방의 배움을 닦는 보살과 많은 말세의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결정한 믿음을 얻어서,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상2의3:13ㄴ

前頓同佛境에 義當信根이 成就初發心住 今에 但通決疑難샤 以成前義시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알 주007)
알:
앞의. 앒+. 여기의 ‘-’는 관형격조사이다. 그런데 ‘앒’ 뒤에 쓰이는 ‘-’는 부사격조사가 되기도 한다.
부텻 주008)
부텻:
부처의. ‘-ㅅ’은 관형격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境과 다 호매 디 信根 주009)
신근(信根):
오근(五根)의 하나. 삼보(三寶)와 사체(四諦)의 이치를 믿음.
初發心住 주010)
초발심주(初發心住):
처음으로 보리(菩提)의 마음을 발하여 구하는데 머무는 것.
를 일우매 當 이제 오직 疑心ㅅ 詰難 通히 決샤 알 들 일우시니라 주011)
일우시니라:
이루시니라. 일-[成]+우+시+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앞의 부처의 경지와 다 같음에 뜻이 신근(信根)이 초발심주(初發心住)를 이룸에 해당하므로 이제 오직 의심의 힐난(詰難)을 두루 맺으셔서 앞의 뜻을 이루시니라.
Ⓒ 역자 | 김무봉 / 2005년 12월 23일

주석
주001)
이:이것이. 이+∅(주격조사).
주002)
:가장.
주003)
요의(了義):불법의 이치를 말하여 다한 것. ‘요(了)’는 끝까지의 뜻이다.
주004)
대승(大乘):이타주의(利他主義)에 의해 널리 인간 전체의 구제를 주장하는 적극적인 불법. 이상경(理想境)에 도달하려는 수행과 이상과 목적이 모두 크고 깊은 것.
주005)
닷:닦는. -[修]++ㄴ.
주006)
한:많은. 하-[多]+ㄴ.
주007)
알:앞의. 앒+. 여기의 ‘-’는 관형격조사이다. 그런데 ‘앒’ 뒤에 쓰이는 ‘-’는 부사격조사가 되기도 한다.
주008)
부텻:부처의. ‘-ㅅ’은 관형격조사. 관형격 조사에는 ‘-ㅅ’과 ‘-/의’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무정체언 또는 높임의 대상인 체언 뒤에는 ‘-ㅅ’이, 평칭의 인칭 체언 뒤에서는 ‘-/의/ㅣ’가 쓰였다.
주009)
신근(信根):오근(五根)의 하나. 삼보(三寶)와 사체(四諦)의 이치를 믿음.
주010)
초발심주(初發心住):처음으로 보리(菩提)의 마음을 발하여 구하는데 머무는 것.
주011)
일우시니라:이루시니라. 일-[成]+우+시+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