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61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610


【私記】
唯空寂知也ㅣ니 若但說空寂고 而不顯知면 則何異虛空이리오 亦如圓顆瑩淨之瓷 團雖淨나 而無明性커니 何名摩尼ㅣ며 何能顯影리오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오·직 ·미 얼·굴 주001)
얼굴:
형체. 얼굴[顔]을 뜻하는 낱말은 ‘’이었다.
:업서 괴외·호: 히 주002)
녕녕히:
신령스럽게. 靈靈+ᄒᆞ-+이(부사형어미).
·아니 주003)
오직 미 얼굴 업서 괴외호 히 아니:
원문인 ‘唯空寂知也’보다 내용이 자세해졌다.

별행록절요언해:48ㄱ

다가갓 주004)
갓:
다만. 오로지. ‘공연히’, ‘헛되이’란 뜻을 나타낼 때도 있다. ᄒᆞᆫ[一]+갓[物]. ‘갓’은 의존명사로만 쓰였다. ¶그 잣 안햇 륫가시 절로 소리며〈석보상절 6:39ㄱ〉. 處容아비옷 보시면 熱病大神이아 膾ㅅ가시로다〈악학궤범 : 처용가〉.
空寂젹만 니고 靈知디 나토디 주005)
나토디:
나타내지. 드러내지. 낱-[現]+오(사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면 엇뎨 虛허空과로 주006)
허공(虛空)과로:
허공과. 과(비교부사격조사)+로(부사격조사). 부사격 조사 ‘로’는 ‘비교의 기준점’을 나타낸다.
다리오  두렵고 주007)
두렵고:
둥글고. 두렵-[圓]+고. ‘무섭다’를 뜻하는 형용사는 ‘두립다’였다.
 사긔 주008)
사긔:
사기(砂器). 원문의 ‘瓷ᄌᆡ’를 번역한 것인데, ‘ᄌᆡ’는 한자음 ‘ᄌᆞ’에 주격 조사 ‘ㅣ’가 결합한 것이다.
구스리 도렵고 주009)
도렵고:
둥글고. 도렵-[團]+고. ‘도렵다’는 ‘두렵다’와 의미가 같은 낱말인데, 용례가 아주 적다. ¶이스 도려오=露團〈두시언해 초간본 15:21ㄱ〉. 璧 도려온 옥 벽〈신증유합 상 25ㄴ〉.
비록 조나 주010)
조나:
깨끗하나. 좋-[淨]+나(연결어미). ‘둏다’는 현대국어의 ‘좋다’ 또는 ‘(병이) 낫다’를 뜻하고, ‘좋다’는 현대국어의 ‘깨끗하다’를 뜻한다. ‘좋다’는 ‘조다’와 공존하였다. ‘좋-+아’는 ‘조하’로 나타나고, ‘조-+아’는 ‘조야’로 나타난다. 현대국어에서 ‘좋네’의 오용으로 간주되는 ‘조흐네’가 널리 쓰이고 있는데, 이것은 ‘조ᄒᆞ다’의 발달형이다.
 性이 업거니 엇뎨 일후미 磨마尼니珠쥬ㅣ며 주011)
엇뎨 일후미 마니주(磨尼珠)ㅣ며:
어찌 이름이 마니주이며. 원문은 ‘何名摩尼’이다. ‘名’은 ‘이름’이 아니라 ‘이름지음(命名)’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러면 원문의 정확한 의미는 ‘어찌 磨尼珠라 부르며’이다.
엇뎨 能히 그르메 주012)
그르메:
그림자. ‘그르메, 그리메’가 널리 쓰였고, 드물게 ‘그림제’도 쓰였다.
나리오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오직 마음이 형체가 없어서 고요하되 신령스럽게 아나니, 만약 다만 공적(空寂)만을 설하고 영지(靈知)를 나타내지 아니하면 어찌 허공(虛空)과 다르리오? 또 둥글고 맑은 사기 구슬이 둥글고 비록 깨끗하나 밝은 성질이 없으니 어찌 이름붙이기를 마니주(磨尼珠)라 할 수 있으며 어찌 능히 그림자를 나타내리오?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얼굴:형체. 얼굴[顔]을 뜻하는 낱말은 ‘’이었다.
주002)
녕녕히:신령스럽게. 靈靈+ᄒᆞ-+이(부사형어미).
주003)
오직 미 얼굴 업서 괴외호 히 아니:원문인 ‘唯空寂知也’보다 내용이 자세해졌다.
주004)
갓:다만. 오로지. ‘공연히’, ‘헛되이’란 뜻을 나타낼 때도 있다. ᄒᆞᆫ[一]+갓[物]. ‘갓’은 의존명사로만 쓰였다. ¶그 잣 안햇 륫가시 절로 소리며〈석보상절 6:39ㄱ〉. 處容아비옷 보시면 熱病大神이아 膾ㅅ가시로다〈악학궤범 : 처용가〉.
주005)
나토디:나타내지. 드러내지. 낱-[現]+오(사동접미사)+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6)
허공(虛空)과로:허공과. 과(비교부사격조사)+로(부사격조사). 부사격 조사 ‘로’는 ‘비교의 기준점’을 나타낸다.
주007)
두렵고:둥글고. 두렵-[圓]+고. ‘무섭다’를 뜻하는 형용사는 ‘두립다’였다.
주008)
사긔:사기(砂器). 원문의 ‘瓷ᄌᆡ’를 번역한 것인데, ‘ᄌᆡ’는 한자음 ‘ᄌᆞ’에 주격 조사 ‘ㅣ’가 결합한 것이다.
주009)
도렵고:둥글고. 도렵-[團]+고. ‘도렵다’는 ‘두렵다’와 의미가 같은 낱말인데, 용례가 아주 적다. ¶이스 도려오=露團〈두시언해 초간본 15:21ㄱ〉. 璧 도려온 옥 벽〈신증유합 상 25ㄴ〉.
주010)
조나:깨끗하나. 좋-[淨]+나(연결어미). ‘둏다’는 현대국어의 ‘좋다’ 또는 ‘(병이) 낫다’를 뜻하고, ‘좋다’는 현대국어의 ‘깨끗하다’를 뜻한다. ‘좋다’는 ‘조다’와 공존하였다. ‘좋-+아’는 ‘조하’로 나타나고, ‘조-+아’는 ‘조야’로 나타난다. 현대국어에서 ‘좋네’의 오용으로 간주되는 ‘조흐네’가 널리 쓰이고 있는데, 이것은 ‘조ᄒᆞ다’의 발달형이다.
주011)
엇뎨 일후미 마니주(磨尼珠)ㅣ며:어찌 이름이 마니주이며. 원문은 ‘何名摩尼’이다. ‘名’은 ‘이름’이 아니라 ‘이름지음(命名)’으로 보이기도 한다. 그러면 원문의 정확한 의미는 ‘어찌 磨尼珠라 부르며’이다.
주012)
그르메:그림자. ‘그르메, 그리메’가 널리 쓰였고, 드물게 ‘그림제’도 쓰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