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02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020


【私記】

별행록절요언해:2ㄱ

予觀今時修心人호니 不依文字指歸고 直以密意相傳處로 爲道면 則溟涬然야 徒勞坐睡며 或於觀行애 失心錯亂故로 須依如實言敎야 決擇悟修之本末야 以鏡自心야 即於時中에 觀照ㅣ언 不枉用功爾니라 又錄中에 所載혼 神秀等諸宗을 在前者 辨明得失야 從淺至深故也

별행록절요언해:2ㄴ

ㅣ시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이제  :닷· 주001)
닷:
닦는. [修]-+(관형사형 어미). 동사 어간 뒤의 ‘-’이 미래 시제가 아니라, 시제와 무관한 절대 시제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사 보·니 文字 주002)
문자(文字):
이 문자는 ‘글자’가 아니라 ‘글’을 뜻한다.
갈  주003)
갈 :
귀의할 곳. 원문의 ‘文字指歸’는 문자
(=글)
가 가리키는 귀결점, 즉 근본 취지를 말한다.
쵸 주004)
쵸:
가리킴을. 중세국어 자료에서는 일반적으로 ‘쵸’로 나타나는데, 이 책에서는 축약형 ‘쵸’로 나타났다.
:븓·디 주005)
븓디:
붙지. 의거하지. 븥[依]-+디.
아·니·고 바 주006)
바:
바로. 곧바로. 형용사 어간 ‘바-’가 접미사 없이 부사로 영파생된 것이다. 이와 같은 영접사 파생 부사에는 ‘외[復], 그르[違], [通, 貫]’ 등이 있다.
隱·은密:밀 · 서르 傳뎐·신 ·고·로 주007)
고로:
것으로. 곧[所]+로. ‘곧’은 ‘것’과 같은 의미의 의존명사이다.
道:도理:리 삼·:면 주008)
삼면:
삼으면. 삼-+면. ‘삼-’의 받침 ‘ㅁ’을 중철한 것이다.
·어·즐··야 주009)
어즐야:
어두워. 혼망하여. 어즐[昏]-+야. 현대국어 ‘어지럽다’는 ‘어즐(어근)+업(형용사파생접미사)’으로 이루어진 ‘어즈럽-’이 발달한 것이다.
:쇽·졀:업·시 주010)
쇽졀업시:
부질없이. 헛되이. 현대국어의 ‘속절없다’는 ‘어쩔 도리 없다’는 의미를 지니나, 중세국어의 ‘쇽졀없다’는 그 의미가 다르다.
:잇·비 주011)
잇비:
피곤하게. 수고롭게. 잋[勞. 倦, 困]-(동사어간)+브(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형어미). ‘-이’는 부사형 어미로도 쓰이고 부사파생접미사로도 쓰인다. 해당 어휘의 서술 기능 유무에 따라 구별하여야 하겠지만, 그 경계가 분명치는 않다.
안·자 :올·며 주012)
올며:
졸며. ᄌᆞ올-+며. 현대 경상도 방언의 ‘자불다(=졸다)’를 고려하면, ‘ᄌᆞ올다’의 소급형 ‘ᄌᆞᄫᆞᆯ다’가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시·혹 주013)
시혹:
때때로. 한자어 ‘시혹(時或)’인데, 대개 한글로 적힌다.
觀관行·호:매  일·코 ·어:즈러·이 그르 주014)
그르:
그릇되게. 그르[非, 違]-+Ø(부사파생접미사). 형용사 어간이 접사와 결합하지 않고 바로 부사로 파생된 영파생부사이다.
·· 젼··로 모:로:매 如여實·실 주015)
여실(如實):
사실 그대로, 또는 그와 같은 것. 진실(眞實), 진여(眞如) 등과 같다는 의미이다.
· 言언敎·교 주016)
언교(言敎):
부처님이 말로써 나타내신 교법.
·브:터 아롬:과 ·닷곰:괏 주017)
닷곰괏:
닦음(수행)과의. [修]-+옴(명사형어미)+과(접속조사)+ㅅ(관형격조사). 중세국어에서는 마지막 접속항 뒤에도 접속 조사 ‘과’가 쓰인다.
本:본·과 末·말와· 주018)
말(末)와:
지엽을. 끝을. 말(末)+와(접속조사)+(목적격조사). ‘와’의 용법은 앞 항 ‘닷곰괏’의 ‘괏’과 같다.
·야· 제  ·겨 ·곧 時시中·에 :·펴 주019)
펴:
살펴. 피-+어. ‘펴’의 ‘ㅍ’을 앞 음절 받침 ‘ㅂ’으로 중철한 것이다.
:볼디언: 주020)
볼디언:
볼 것이지. 보[見]-+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거/어(완료상 선어말어미)+ㄴ.
간:대·로 주021)
간대로:
함부로. 되는 대로. ‘간대’는 ‘제멋대로, 함부로’ 등의 뜻을 지닌 어근인데,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고 조사 ‘로, 옛’이나 접미사 ‘-롭-’과 결합하여 나타난다. 이 책에는 ‘간대옛’이 ‘간대엿’으로 나타난다(45ㄱ, 90ㄴ).
功夫 ·디 주022)
공부(功夫) 디:
힘쓰지. 여기의 ‘공부(功夫)’는 ‘힘, 애’ 등을 뜻한다.
아·니·케 ·시·니라 주023)
디 아니케 시니라:
쓰지 않게 하셨느니라. 주어는 ‘내’이다. 1인칭 주어문에서 그 서술어에 ‘-시-’를 씀으로써 주술 불일치 현상이 발생하였다. ‘牧牛子ㅣ’(1ㄴ)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 語:어錄·록 주024)
어록(語錄):
『법집별행록』을 말한다.
·애 記·긔:호· 神신秀·슈· 주025)
신수(神秀):
신수들. 고유명사 뒤에 복수 표지 ‘ᄃᆞᆯ’이 쓰였다. ‘신수(神秀)의 북종선(北宗禪)을 종지(宗旨)로 삼는 무리들’이란 의미로 복수 접미사 ‘ᄃᆞᆯ’을 쓴 것이다. ‘신수(神秀)’는 중국 북종선(北宗禪)의 조사이다. 유학(儒學)을 공부하였으나, 50세 때 동산사(東山寺)에서 5조 홍인(弘忍) 선사를 만난 뒤 불교에 입문했다. 같은 문하에서 수행했던 혜능(慧能)이 5조의 법을 이어받아 6조가 된 뒤, 시기하는 자들을 피해 남방으로 가서 법을 폈기 때문에 혜능의 법맥을 남종선(南宗禪)이라고 하는 데 반하여, 신수의 법맥을 북종선이라고 한다. 하택 신회(荷澤神會)의 남종선이 융성하기 이전까지 신수의 북종이 5조 홍인(弘忍)의 법통을 이은 정통으로 간주되었다.
諸졔宗

별행록절요언해:3ㄱ

주026)
제종(諸宗):
여러 종파.
·을 몬져 주027)
몬져:
먼저.
·두· 주028)
어록(語錄)애 기(記)호 신수(神秀) 제종(諸宗)을 몬져 두:
‘호ᄆᆞᆫ’은 원문의 구결 ‘혼’을 오역한 것이다. ‘記혼’이 옳다.
주029)
두:
둠은. 둔 것은. 두-+움(명사파생접미사)+(보조사). 일반적으로 어간의 끝소리 ‘ㅏ, ㅓ, ㅗ, ㅜ’와 ‘-오/우-’가 결합하면, ‘-오/우-’는 탈락하고, 어간의 성조가 상성으로 바뀌게 된다. 그러므로 ‘두’의 ‘두’가 거성으로 나타난 것은, 중세국어의 일반적 질서에 어긋나는 것이다. 이 책의 성조 표시에는 원칙과 일관성이 없다.
·어:드:며 일·흐·며 ·호· 주030)
어드며 일흐며 호:
얻으며 잃으며 함을. ‘어드며 일후믈’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다.
·야 ·겨 □□브·터 주031)
□□브터:
얕음으로부터. 두 글자가 나타나지 않는데, ‘녀토, 녀트, 여토, 여트’ 중 하나일 것으로 보인다. 정음 창제 초기의 모습은 ‘녀토’이며, 그 구조는 ‘녙[淺]-+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녙-’의 ‘ㄴ’이 탈락하고, 명사형 어미 ‘-옴’도 ‘-음’으로 변한 ‘여틈’(70ㄴ)이 보이기 때문에 하나로 확정할 수가 없다.
기·픈 : 주032)
:
데에. 곳에. +∅(부사격 조사).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부사격조사 ‘애, 에,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가·게 ··신 젼·시·니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내 이제 마음 닦는 사람을 보니, 문자로써 돌아갈
(=귀의할)
곳을 가리킴에 의거하지 아니하고 바로 은밀한 뜻을 서로 전하신 것으로 도리를 삼으면, 혼망하여 쓸데없이 피곤하게 앉아서 졸며, 혹 관행함에 마음을 잃고, 어지럽게 그릇되게 관행하는 까닭으로, 모름지기 여실한 언교(言敎)에 의거하여, 깨달음과 닦음의 본과 말을 분별하여, 자기 자신의 마음을 밝혀, 곧 적시(適時)에 살펴볼 일이지, 멋대로 〈헛된〉 공부
(=노력)
를 쓰지 않게 하셨느니라. 또 어록에 기록한 바 신수(神秀)를 비롯한 여러 종조(宗祖)들을 먼저 둔 것은 얻거나 잃거나 하는 것을 분별하여, 밝혀 〈얕은〉 곳으로부터 시작하여, 깊은 곳에 도달하게 하신 까닭이시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닷:닦는. [修]-+(관형사형 어미). 동사 어간 뒤의 ‘-’이 미래 시제가 아니라, 시제와 무관한 절대 시제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주002)
문자(文字):이 문자는 ‘글자’가 아니라 ‘글’을 뜻한다.
주003)
갈 :귀의할 곳. 원문의 ‘文字指歸’는 문자<세주>(=글)가 가리키는 귀결점, 즉 근본 취지를 말한다.
주004)
쵸:가리킴을. 중세국어 자료에서는 일반적으로 ‘쵸’로 나타나는데, 이 책에서는 축약형 ‘쵸’로 나타났다.
주005)
븓디:붙지. 의거하지. 븥[依]-+디.
주006)
바:바로. 곧바로. 형용사 어간 ‘바-’가 접미사 없이 부사로 영파생된 것이다. 이와 같은 영접사 파생 부사에는 ‘외[復], 그르[違], [通, 貫]’ 등이 있다.
주007)
고로:것으로. 곧[所]+로. ‘곧’은 ‘것’과 같은 의미의 의존명사이다.
주008)
삼면:삼으면. 삼-+면. ‘삼-’의 받침 ‘ㅁ’을 중철한 것이다.
주009)
어즐야:어두워. 혼망하여. 어즐[昏]-+야. 현대국어 ‘어지럽다’는 ‘어즐(어근)+업(형용사파생접미사)’으로 이루어진 ‘어즈럽-’이 발달한 것이다.
주010)
쇽졀업시:부질없이. 헛되이. 현대국어의 ‘속절없다’는 ‘어쩔 도리 없다’는 의미를 지니나, 중세국어의 ‘쇽졀없다’는 그 의미가 다르다.
주011)
잇비:피곤하게. 수고롭게. 잋[勞. 倦, 困]-(동사어간)+브(형용사파생접미사)+이(부사형어미). ‘-이’는 부사형 어미로도 쓰이고 부사파생접미사로도 쓰인다. 해당 어휘의 서술 기능 유무에 따라 구별하여야 하겠지만, 그 경계가 분명치는 않다.
주012)
올며:졸며. ᄌᆞ올-+며. 현대 경상도 방언의 ‘자불다(=졸다)’를 고려하면, ‘ᄌᆞ올다’의 소급형 ‘ᄌᆞᄫᆞᆯ다’가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주013)
시혹:때때로. 한자어 ‘시혹(時或)’인데, 대개 한글로 적힌다.
주014)
그르:그릇되게. 그르[非, 違]-+Ø(부사파생접미사). 형용사 어간이 접사와 결합하지 않고 바로 부사로 파생된 영파생부사이다.
주015)
여실(如實):사실 그대로, 또는 그와 같은 것. 진실(眞實), 진여(眞如) 등과 같다는 의미이다.
주016)
언교(言敎):부처님이 말로써 나타내신 교법.
주017)
닷곰괏:닦음(수행)과의. [修]-+옴(명사형어미)+과(접속조사)+ㅅ(관형격조사). 중세국어에서는 마지막 접속항 뒤에도 접속 조사 ‘과’가 쓰인다.
주018)
말(末)와:지엽을. 끝을. 말(末)+와(접속조사)+(목적격조사). ‘와’의 용법은 앞 항 ‘닷곰괏’의 ‘괏’과 같다.
주019)
펴:살펴. 피-+어. ‘펴’의 ‘ㅍ’을 앞 음절 받침 ‘ㅂ’으로 중철한 것이다.
주020)
볼디언:볼 것이지. 보[見]-+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거/어(완료상 선어말어미)+ㄴ.
주021)
간대로:함부로. 되는 대로. ‘간대’는 ‘제멋대로, 함부로’ 등의 뜻을 지닌 어근인데,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고 조사 ‘로, 옛’이나 접미사 ‘-롭-’과 결합하여 나타난다. 이 책에는 ‘간대옛’이 ‘간대엿’으로 나타난다(45ㄱ, 90ㄴ).
주022)
공부(功夫) 디:힘쓰지. 여기의 ‘공부(功夫)’는 ‘힘, 애’ 등을 뜻한다.
주023)
디 아니케 시니라:쓰지 않게 하셨느니라. 주어는 ‘내’이다. 1인칭 주어문에서 그 서술어에 ‘-시-’를 씀으로써 주술 불일치 현상이 발생하였다. ‘牧牛子ㅣ’(1ㄴ)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주024)
어록(語錄):『법집별행록』을 말한다.
주025)
신수(神秀):신수들. 고유명사 뒤에 복수 표지 ‘ᄃᆞᆯ’이 쓰였다. ‘신수(神秀)의 북종선(北宗禪)을 종지(宗旨)로 삼는 무리들’이란 의미로 복수 접미사 ‘ᄃᆞᆯ’을 쓴 것이다. ‘신수(神秀)’는 중국 북종선(北宗禪)의 조사이다. 유학(儒學)을 공부하였으나, 50세 때 동산사(東山寺)에서 5조 홍인(弘忍) 선사를 만난 뒤 불교에 입문했다. 같은 문하에서 수행했던 혜능(慧能)이 5조의 법을 이어받아 6조가 된 뒤, 시기하는 자들을 피해 남방으로 가서 법을 폈기 때문에 혜능의 법맥을 남종선(南宗禪)이라고 하는 데 반하여, 신수의 법맥을 북종선이라고 한다. 하택 신회(荷澤神會)의 남종선이 융성하기 이전까지 신수의 북종이 5조 홍인(弘忍)의 법통을 이은 정통으로 간주되었다.
주026)
제종(諸宗):여러 종파.
주027)
몬져:먼저.
주028)
어록(語錄)애 기(記)호 신수(神秀) 제종(諸宗)을 몬져 두:‘호ᄆᆞᆫ’은 원문의 구결 ‘혼’을 오역한 것이다. ‘記혼’이 옳다.
주029)
두:둠은. 둔 것은. 두-+움(명사파생접미사)+(보조사). 일반적으로 어간의 끝소리 ‘ㅏ, ㅓ, ㅗ, ㅜ’와 ‘-오/우-’가 결합하면, ‘-오/우-’는 탈락하고, 어간의 성조가 상성으로 바뀌게 된다. 그러므로 ‘두’의 ‘두’가 거성으로 나타난 것은, 중세국어의 일반적 질서에 어긋나는 것이다. 이 책의 성조 표시에는 원칙과 일관성이 없다.
주030)
어드며 일흐며 호:얻으며 잃으며 함을. ‘어드며 일후믈’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다.
주031)
□□브터:얕음으로부터. 두 글자가 나타나지 않는데, ‘녀토, 녀트, 여토, 여트’ 중 하나일 것으로 보인다. 정음 창제 초기의 모습은 ‘녀토’이며, 그 구조는 ‘녙[淺]-+옴(명사형 어미)+(목적격 조사)’이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녙-’의 ‘ㄴ’이 탈락하고, 명사형 어미 ‘-옴’도 ‘-음’으로 변한 ‘여틈’(70ㄴ)이 보이기 때문에 하나로 확정할 수가 없다.
주032)
:데에. 곳에. +∅(부사격 조사). 시간이나 장소를 뜻하는 낱말들이 하향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로 끝나는 경우에는 부사격조사 ‘애, 에, , 의’가 외현되지 않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