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37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370


【節要】
上애 已各叙一宗고 今에 辨明深淺得失호리라 然이나 心貫萬法야 義味無邊 諸敎애 開張호 禪宗을 撮略니 撮略者 就

별행록절요언해:33ㄴ

法면 有不變과 隨緣과 二義고 就人면 有頓悟와 漸修와 兩門니 二義 現면 即知一藏經論之指歸고 兩門 開면 即見一切賢聖之䡄轍리라 達摩의 深旨意在斯焉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우·희 주001)
우희:
위에서. 우ㅎ[上](ㅎ말음체언)+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마 주002)
마:
이미.
제:곰  宗:곰 ·펴 :버·리·고 주003)
버리고:
늘어놓고. 펼치고. 벌-[列, 陳]+이(사동접미사)+고.
·이제 기:프·며 여·트·며 주004)
여트며:
얕으며. 옅-[淺]+으며. 훈민정음 창제 초기 문헌에서는 ‘녙-’으로 나타난다.
·어드·며 일:흐·며 :호· ·:여 :·교·리라 그:러나 미 萬:만法·법·을 :여 주005)
여:
꿰어. 통찰하여. -[貫, 徹]+어. ‘어→여’는 어간의 ‘ㅔ’가 이중모음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듸 ·마:시 주006)
듸 마시:
뜻(義)의 맛(味)이. 의미가. 축자역이다. 현대국어의 ‘의미’는 ‘意味’인데, 여기에는 ‘義味’가 쓰였다.
·:업·슬· 주007)
업슬:
한없으므로. [限, 邊]+없-+을. ‘ㅿ→ㅅ’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諸졔敎·교·애 여:러 :펴· 주008)
펴ᄃᆡ:
펼치되. 펴-+오ᄃᆡ. ‘펴’는 거성인데, ‘오’와 결합하여 상성으로 변하여, ‘:펴·’로 나타났다. 이 책의 성조 표시가 아주 혼란스럽기는 하지만, 여기서는 원칙에 부합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禪션宗·을 :져기 주009)
져기:
약간. 젹-[少]+이(부사파생접미사).
모·도

별행록절요언해:34ㄱ

자·니
주010)
모도자니:
간추리니. 잡아 모아 정리하니. 여기서는 ‘촬(撮)’의 번역으로 쓰였다. 이 책에서 ‘모도잡다’는 ‘섭(攝)’의 번역으로도 쓰이고(54ㄱ), ‘통(統)’의 번역으로도 쓰였다(57ㄱ).
·져기 모·도 :잡·다 :호· 法·법·에 나·가·면 不·블變:변·과 隨슈緣연 주011)
수연(隨緣):
①인연에 따라 나타남. 인연에 따라 변화함. ②인연에 따라 드러나는 청정한 본래의 성품. ③‘불변’의 상대어이다.
과 :두 ··디 :잇·고 사·:게 주012)
사게:
사람에게. 사+게. ‘-게’는 ‘(관형격조사)+(의존명사)+에(부사격조사)’가 문법화한 것으로 보인다.
나·가·면 頓·돈悟·오·와 漸졈修슈·와 :두 門문·이 :잇·니 ·두 :·들 나:토·면 주013)
나토면:
나타내면. 드러내면. 낱-[現]+오(사동접미사)+면.
大·대藏經 주014)
대장경(大藏經):
불교 성전의 총칭인 동시에 그 불전들을 집합한 총서. 원래는 중국에서 번역되거나 작성된 권위 있는 불전들의 총칭. 경(經)과 율(律), 이것들에 대한 일차적인 주석인 논(論)과 이 논에 대한 주석인 소(疏) 등을 비롯하여, 전통적으로 권위를 인정받는 여러 종류의 불교 문헌들, 즉 후대 불교도의 저술, 불교의 사서(史書)와 전기와 사전, 기타 불교학 관련의 주요 저술과 자료를 총망라한다. 이 같은 대장경은 불전을 전하는 언어에 따라 분류된다. 전통적인 팔리(pāli) 삼장과 한역(漢譯) 대장경 및 티베트 대장경을 비롯하여 몽고어와 만주어로 번역된 대장경이 현존한다. 이 밖에 서하어(西夏語)로 번역된 대장경도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사라져 일부가 남아 있을 뿐이다.
·과 論:론 주015)
논(論):
3장(藏) 중의 하나. 경장(經藏)과 율장(律藏)에 대하여, 논장은 성현(聖賢)이 불법의 뜻을 해석하고 논술한 것을 가리킨다.
·과 주016)
논(論)과:
논(論)이. ‘論과’는 ‘論괘’의 오각인 듯하다.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갈 · 주017)
갈 :
귀의할 곳. 가-[去]+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
:쵸· ·알·오 주018)
알오:
알-+고.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자음([ɦ])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는다.
:두 門문·을 ·열·면 ·곧 一·일切·쳬 賢현人인·과 聖·人인·과ㅅ 주019)
현인(賢人)과 성인(聖人)과ㅅ:
현인과 성인의. 과(접속조사)+ㅅ(관형격조사). 중세국어에서는 마지막 접속항 뒤에도 접속 조사 ‘과’가 쓰인다. ‘과ㅅ’은 ‘괏’으로 적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책에서도 ‘아롬과 닷곰괏(2ㄴ), 善과 惡괏(9ㄴ)’ 등과 같이 ‘괏’이 많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여기의 ‘과ㅅ’은 오각으로 보인다. 이 책에는 같은 예가 더 있다. ¶眞과 妄과ㅅ(41ㄴ).
法·법·을 보·리니 達·달磨마祖조師·의 기·픈 ·디 ·에 주020)
에:
이에. ‘이ᅌᅦ’에서 표기법이 변화한 것이다. 같은 예가 더 보인다(18ㄱ, 86ㄱ).
잇·니라 ◯【不·블變:변· ·미 고·텨 외·디 주021)
고텨 외디:
다시 되지. 고텨[更](부사)+외-[爲]+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 ·디·오 주022)
디오:
뜻이고. +이(서술격조사)+고. 서술격조사 어간 ‘이-’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변화하는데, ‘ㅇ’은 이 [ɦ]을 표기한 것이다.
隨슈緣연· 주023)
수연(隨緣):
‘隨緣ᄋᆞᆫ’의 중철이다.
·미 가·지가·짓 :것 외 ··디니라】
【頓·돈悟·오· · 모로기 주024)
모로기:
문득. 갑자기. ‘온통, 모두’의 뜻으로도 쓰인다. 모록(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알 시·오 주025)
알 시오:
아는 것이고. 알-[知]+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ㄱ’은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ɦ]으로 변화한다.
漸·졈修슈· · :졈:졈 ·닷· ·시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위에서 이미 각각 한 종(宗)씩 펼쳐서 벌였고
(=서술하였고)
, 이제 깊고 얕고 얻고 잃고 함을 분별하여 밝히리라. 그러나 마음이 만법을 꿰어 뜻의 맛
(=의미)
이 한없으므로 모든 교(敎)에서 열어서 펼치되 선종(禪宗)을 간략하게 간추리니, 간략하게 간추린다 함은 불법에 나아가면 불변(不變)과 수연(隨緣) 두 뜻이 있고, 사람에게 나아가면 돈오(頓悟)와 점수(漸修) 두 문(門)이 있나니, 두 뜻을 나타내면 곧 한 대장경(大藏經)과 논(論)이 귀의할 곳을 가리킴을 알고, 두 문을 열면 곧 일체 현인(賢人)과 성인(聖人)의 법을 보리니, 달마조사(達磨祖師)의 깊은 뜻이 여기에 있느니라. ◯【불변(不變)은 마음이 바뀌지 않는다는 뜻이고 수연(隨緣)은 마음이 가지가지의 것이 된다는 뜻이니라.】【돈오(頓悟)는 마음을 단박에 깨닫는 것이고 점수(漸修)는 서서히 닦는 것이다.】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우희:위에서. 우ㅎ[上](ㅎ말음체언)+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주002)
마:이미.
주003)
버리고:늘어놓고. 펼치고. 벌-[列, 陳]+이(사동접미사)+고.
주004)
여트며:얕으며. 옅-[淺]+으며. 훈민정음 창제 초기 문헌에서는 ‘녙-’으로 나타난다.
주005)
여:꿰어. 통찰하여. -[貫, 徹]+어. ‘어→여’는 어간의 ‘ㅔ’가 이중모음인 데에 말미암은 것이다.
주006)
듸 마시:뜻(義)의 맛(味)이. 의미가. 축자역이다. 현대국어의 ‘의미’는 ‘意味’인데, 여기에는 ‘義味’가 쓰였다.
주007)
업슬:한없으므로. [限, 邊]+없-+을. ‘ㅿ→ㅅ’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주008)
펴ᄃᆡ:펼치되. 펴-+오ᄃᆡ. ‘펴’는 거성인데, ‘오’와 결합하여 상성으로 변하여, ‘:펴·’로 나타났다. 이 책의 성조 표시가 아주 혼란스럽기는 하지만, 여기서는 원칙에 부합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주009)
져기:약간. 젹-[少]+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0)
모도자니:간추리니. 잡아 모아 정리하니. 여기서는 ‘촬(撮)’의 번역으로 쓰였다. 이 책에서 ‘모도잡다’는 ‘섭(攝)’의 번역으로도 쓰이고(54ㄱ), ‘통(統)’의 번역으로도 쓰였다(57ㄱ).
주011)
수연(隨緣):①인연에 따라 나타남. 인연에 따라 변화함. ②인연에 따라 드러나는 청정한 본래의 성품. ③‘불변’의 상대어이다.
주012)
사게:사람에게. 사+게. ‘-게’는 ‘(관형격조사)+(의존명사)+에(부사격조사)’가 문법화한 것으로 보인다.
주013)
나토면:나타내면. 드러내면. 낱-[現]+오(사동접미사)+면.
주014)
대장경(大藏經):불교 성전의 총칭인 동시에 그 불전들을 집합한 총서. 원래는 중국에서 번역되거나 작성된 권위 있는 불전들의 총칭. 경(經)과 율(律), 이것들에 대한 일차적인 주석인 논(論)과 이 논에 대한 주석인 소(疏) 등을 비롯하여, 전통적으로 권위를 인정받는 여러 종류의 불교 문헌들, 즉 후대 불교도의 저술, 불교의 사서(史書)와 전기와 사전, 기타 불교학 관련의 주요 저술과 자료를 총망라한다. 이 같은 대장경은 불전을 전하는 언어에 따라 분류된다. 전통적인 팔리(pāli) 삼장과 한역(漢譯) 대장경 및 티베트 대장경을 비롯하여 몽고어와 만주어로 번역된 대장경이 현존한다. 이 밖에 서하어(西夏語)로 번역된 대장경도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사라져 일부가 남아 있을 뿐이다.
주015)
논(論):3장(藏) 중의 하나. 경장(經藏)과 율장(律藏)에 대하여, 논장은 성현(聖賢)이 불법의 뜻을 해석하고 논술한 것을 가리킨다.
주016)
논(論)과:논(論)이. ‘論과’는 ‘論괘’의 오각인 듯하다.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
주017)
갈 :귀의할 곳. 가-[去]+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
주018)
알오:알-+고.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자음([ɦ])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지 않는다.
주019)
현인(賢人)과 성인(聖人)과ㅅ:현인과 성인의. 과(접속조사)+ㅅ(관형격조사). 중세국어에서는 마지막 접속항 뒤에도 접속 조사 ‘과’가 쓰인다. ‘과ㅅ’은 ‘괏’으로 적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책에서도 ‘아롬과 닷곰괏(2ㄴ), 善과 惡괏(9ㄴ)’ 등과 같이 ‘괏’이 많이 나타난다. 그러므로 여기의 ‘과ㅅ’은 오각으로 보인다. 이 책에는 같은 예가 더 있다. ¶眞과 妄과ㅅ(41ㄴ).
주020)
에:이에. ‘이ᅌᅦ’에서 표기법이 변화한 것이다. 같은 예가 더 보인다(18ㄱ, 86ㄱ).
주021)
고텨 외디:다시 되지. 고텨[更](부사)+외-[爲]+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22)
디오:뜻이고. +이(서술격조사)+고. 서술격조사 어간 ‘이-’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변화하는데, ‘ㅇ’은 이 [ɦ]을 표기한 것이다.
주023)
수연(隨緣):‘隨緣ᄋᆞᆫ’의 중철이다.
주024)
모로기:문득. 갑자기. ‘온통, 모두’의 뜻으로도 쓰인다. 모록(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주025)
알 시오:아는 것이고. 알-[知]+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ㄱ’은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ɦ]으로 변화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