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107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1070


【私記】
又有修定慧外예 無心合道門니 略錄于此야 令學敎者로 知格外一門야 發正信爾케 시니 如宗鏡錄애 云호 如前所述安心之門에 直下애 相應면 無先定慧라 시니라 ◯【先明定慧시고 後現無心시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 定·과 慧·혜와 :닷· 주001)
닷:
닦는. -[修]++ㄴ. ‘→닷’은 음절말 자음군 단순화 현상이다.
주002)
정(定)과 혜(慧)와 닷:
정과 혜를 닦는. 마지막 접속항 뒤에도 접속 조사가 쓰이고, 목적격 조사 ‘’이 생략되었다.
:밧·긔 주003)
밧긔:
밖에. [外]+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無무心심道·도 주004)
무심도(無心道):
생각도 분별도 없는 수행.
애 契·계合·합 門문니 잇·니 ·져기 주005)
져기:
약간. 간략하게. 젹-[少]+이(부사파생접미사).
·에 주006)
에:
이에. ‘이ᅌᅦ’에서 표기법이 변화한 것이다. 같은 예가 더 보인다(18ㄱ, 34ㄱ).
記·긔錄·록야

별행록절요언해:86ㄴ

敎·교法·법·홀 주007)
홀:
배울. ‘홀’인지 ‘흘’인지 분명치 않으나, ‘홀’이 옳은 표기이다. 호-[學]+ㄹ(관형사형어미).
사··로 주008)
사로:
사람으로 (하여금). 사+로(부사격조사). 부사격 조사 ‘로’가 ‘(내)에 (실)’과 호응하여 사동문을 구성하고 있다. 이때에는 ‘로’ 대신 목적격 조사 ‘/을’이 쓰이기도 한다.
格·격外·외:옛 주009)
격외(格外)옛:
격외의. 규격을 초월하는. 예(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 法·법門문· 아·라 正· 信·신心심· ·내에 주010)
내에:
내게. 나-[出]+이(사동접미사)+게. 연결어미 ‘-게’가 ‘ㄱ’ 약화를 거쳐 ‘-에’로 교체된 것이다. ‘ㄱ’은 서술격 조사 어간 ‘이-’와 ‘ㄹ’ 및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되어 ‘ㅇ’으로 표기된다.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앞 모음 ‘ㅣ’ 또는 음절부음 [j]의 영향을 입어 ‘예’로 변화하지 않는다.
··실 :·미시·니라 宗鏡錄녹 주011)
종경록(宗鏡錄):
송나라 때 승려 연수(延壽)의 저술인데, 모두 100권이다. 선교(禪敎) 일치의 입장에서 제종(諸宗)의 교의를 체계화하였고, 선(禪)과 염불을 함께 닦을 것을 권장하여 염불선(念佛禪)의 터전을 확립하였다.
·애 닐·오· 알· 주012)
알:
앞에서.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특수 어휘가 ‘애/에/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닐·온 安안心심 法법門문네 바 주013)
바:
바로. 곧바로. 형용사 어간 ‘바-’가 접미사 없이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드·러마·면 주014)
드러마면:
들어맞으면. ‘相應’의 번역이다. 들-[入]+어(연결어미)+맞-[合]+면. 종래의 사전에서는 합성어로 인정하지 않아 표제어로 싣지 않았다.
定·과 慧·혜왜 先션後후ㅣ :업스·리라 ·시·니라 주015)
定(정)과 慧(혜)왜 先後(선후)ㅣ 업스리라 ᄒᆞ시니라:
‘정(定)과 혜(慧) 사이에서 선후를 가릴 수 없다’는 의미로 본 듯한데, 이것은 오역이다. ‘安心之門 直下相應 無先定慧’의 의미는 ‘안심(安心)의 문(門)에 바로 상응하는 데에는 정혜(定慧)에 앞서는 것이 없다’이다. 이것이 바로 뒤에 나오는 협주의 설명과도 부합한다. 그리고 마지막의 ‘ᄒᆞ시니라’도 적절한 번역이 아니다. 『종경록(宗鏡錄)』의 인용이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不假忘緣之力’(89ㄱ)에서 끝나기 때문이다(조계종 교재편찬위원회 1998:36, 상오 2001:90). 그렇다면 ‘如’의 번역은 ‘緣慮 니줄 히믈 븓디 아니ᄒᆞᄂᆞ니라’(89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즉 이 부분을 ‘緣慮 니줄 히믈 븓디 아니ᄒᆞᄂᆞ니라 ᄒᆞ샤미 ᄀᆞᄐᆞ니라’로 고쳐야 할 것이다.
【몬져 定·과 慧혜와· 키시고 주016)
키시고:
밝히시고. -[明]+히(사동접미사)+시+고. 이 책에는 ‘-’에 사동접미사 ‘-이-’가 쓰인 ‘긴’도 보인다(82ㄴ).
後후에 無무心심· 나·토시·니라 주017)
나토시니라:
나타내셨느니라. 낱-[現]+오(사동접미사)+시+니+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또 정(定)과 혜(慧)를 닦는 것 밖에 무심도(無心道)에 계합(契合)하는 〈또 하나의〉 문(門)이 있나니, 간략하게 여기에 기록하여 교법을 배울 사람으로 하여금 격외(格外)의 한 법문(法門)을 알아서 바른 신심을 내게 하실 뿐이시니라. 종경록(宗鏡錄)에 이르되, 앞에서 말한 안심법문(安心法門)에 바로 들어맞으면 정(定)과 혜(慧)가 선후가 없으리라 하셨느니라.【먼저 정(定)과 혜(慧)를 밝히시고 나중에 무심(無心)을 나타내셨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닷:닦는. -[修]++ㄴ. ‘→닷’은 음절말 자음군 단순화 현상이다.
주002)
정(定)과 혜(慧)와 닷:정과 혜를 닦는. 마지막 접속항 뒤에도 접속 조사가 쓰이고, 목적격 조사 ‘’이 생략되었다.
주003)
밧긔:밖에. [外]+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주004)
무심도(無心道):생각도 분별도 없는 수행.
주005)
져기:약간. 간략하게. 젹-[少]+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6)
에:이에. ‘이ᅌᅦ’에서 표기법이 변화한 것이다. 같은 예가 더 보인다(18ㄱ, 34ㄱ).
주007)
홀:배울. ‘홀’인지 ‘흘’인지 분명치 않으나, ‘홀’이 옳은 표기이다. 호-[學]+ㄹ(관형사형어미).
주008)
사로:사람으로 (하여금). 사+로(부사격조사). 부사격 조사 ‘로’가 ‘(내)에 (실)’과 호응하여 사동문을 구성하고 있다. 이때에는 ‘로’ 대신 목적격 조사 ‘/을’이 쓰이기도 한다.
주009)
격외(格外)옛:격외의. 규격을 초월하는. 예(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10)
내에:내게. 나-[出]+이(사동접미사)+게. 연결어미 ‘-게’가 ‘ㄱ’ 약화를 거쳐 ‘-에’로 교체된 것이다. ‘ㄱ’은 서술격 조사 어간 ‘이-’와 ‘ㄹ’ 및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되어 ‘ㅇ’으로 표기된다. ‘ㄱ’이 약화된 ‘ㅇ’은 유성성문마찰음 [ɦ]을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자음을 표기한 것이므로 연철되거나, 앞 모음 ‘ㅣ’ 또는 음절부음 [j]의 영향을 입어 ‘예’로 변화하지 않는다.
주011)
종경록(宗鏡錄):송나라 때 승려 연수(延壽)의 저술인데, 모두 100권이다. 선교(禪敎) 일치의 입장에서 제종(諸宗)의 교의를 체계화하였고, 선(禪)과 염불을 함께 닦을 것을 권장하여 염불선(念佛禪)의 터전을 확립하였다.
주012)
알:앞에서.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특수 어휘가 ‘애/에/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13)
바:바로. 곧바로. 형용사 어간 ‘바-’가 접미사 없이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주014)
드러마면:들어맞으면. ‘相應’의 번역이다. 들-[入]+어(연결어미)+맞-[合]+면. 종래의 사전에서는 합성어로 인정하지 않아 표제어로 싣지 않았다.
주015)
定(정)과 慧(혜)왜 先後(선후)ㅣ 업스리라 ᄒᆞ시니라:‘정(定)과 혜(慧) 사이에서 선후를 가릴 수 없다’는 의미로 본 듯한데, 이것은 오역이다. ‘安心之門 直下相應 無先定慧’의 의미는 ‘안심(安心)의 문(門)에 바로 상응하는 데에는 정혜(定慧)에 앞서는 것이 없다’이다. 이것이 바로 뒤에 나오는 협주의 설명과도 부합한다. 그리고 마지막의 ‘ᄒᆞ시니라’도 적절한 번역이 아니다. 『종경록(宗鏡錄)』의 인용이 여기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不假忘緣之力’(89ㄱ)에서 끝나기 때문이다(조계종 교재편찬위원회 1998:36, 상오 2001:90). 그렇다면 ‘如’의 번역은 ‘緣慮 니줄 히믈 븓디 아니ᄒᆞᄂᆞ니라’(89ㄴ)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즉 이 부분을 ‘緣慮 니줄 히믈 븓디 아니ᄒᆞᄂᆞ니라 ᄒᆞ샤미 ᄀᆞᄐᆞ니라’로 고쳐야 할 것이다.
주016)
키시고:밝히시고. -[明]+히(사동접미사)+시+고. 이 책에는 ‘-’에 사동접미사 ‘-이-’가 쓰인 ‘긴’도 보인다(82ㄴ).
주017)
나토시니라:나타내셨느니라. 낱-[現]+오(사동접미사)+시+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