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40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400


【私記】
一靈心性이 空寂常知호 本

별행록절요언해:35ㄴ

無一切分別며 亦無一切善惡也ㅣ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一·일靈心심性이뷔·여 주001)
뷔여:
비어. 뷔-[空]+어.
괴외 거·시 :녜 주002)
녜:
늘. 한자어 ‘常例’인데, 대개 한글로 적혔다. 15세기부터 자음동화가 반영된 ‘샤ᇰ녜’로 나타난다. 이 책에는 ‘샤ᇰ례’도 보인다(52ㄴ, 59ㄱ). 이 경우처럼 ‘늘’을 뜻하는 부사일 때에는 한글로 적고, ‘예삿일’을 뜻하는 명사일 때에는 한자로 적는 경향이 있었다. ¶奇異 常例디 아니 씨라〈월인석보 2:67ㄴ〉.
아·로· 本:본來·로 주003)
본래(本來)로:
본래부터. ‘로’는 [도착점]만이 아니라 [출발점]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널리 알려진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남으로 오네.”(김동환, 「산 너머 남촌에는」)에서도 나타난다. 한편 이 시의 종결어미 ‘-네’는 의문문 표지이다.
一·일切:쳬 分분別·별·이 :업스·며 · 一·일切:쳬 善:션惡·악·이 :업스·니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한 신령스러운 마음이 비어 고요한 것이 항상 알고 있되 본래부터 일체 분별이 없으며 또 일체 선악이 없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뷔여:비어. 뷔-[空]+어.
주002)
녜:늘. 한자어 ‘常例’인데, 대개 한글로 적혔다. 15세기부터 자음동화가 반영된 ‘샤ᇰ녜’로 나타난다. 이 책에는 ‘샤ᇰ례’도 보인다(52ㄴ, 59ㄱ). 이 경우처럼 ‘늘’을 뜻하는 부사일 때에는 한글로 적고, ‘예삿일’을 뜻하는 명사일 때에는 한자로 적는 경향이 있었다. ¶奇異 常例디 아니 씨라〈월인석보 2:67ㄴ〉.
주003)
본래(本來)로:본래부터. ‘로’는 [도착점]만이 아니라 [출발점]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널리 알려진 “산 너머 남촌에는 누가 살길래 해마다 봄바람이 남으로 오네.”(김동환, 「산 너머 남촌에는」)에서도 나타난다. 한편 이 시의 종결어미 ‘-네’는 의문문 표지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