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39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390


【節要】
如摩尼珠ㅣ 唯圓淨明야 都無一切差別色相 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摩마尼니珠·쥬 주001)
마니주(摩尼珠):
여의주라고도 한다. 불성(佛性)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ㅣ 오·직 두:려·이 주002)
두려이:
둥글게. 온전히. 두렵-[圓]+이(부사형어미)→두려〉두려이. ‘무섭다’를 뜻하는 형용사는 ‘두립다’였다.
·조·코 주003)
조코:
깨끗하고. 좋-[淨]+고. ‘좋-’은 [淨]을 뜻하고, ‘둏-’은 [好]를 뜻한다. ‘둏-’은 다음과 같이 변하였다. 둏-〉죻-〉좋-. 즉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겪어 현대국어의 ‘좋-’으로 발달한 것이다. ‘둏-’이 ‘좋-’으로 변화하게 되자, [淨]을 뜻하던 ‘좋-’은 소멸의 길을 걷게 되었다.
·가 ·다 一·일切·쳬 差차別·별 色·相:·이 :업· ·니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마니주(摩尼珠)가 오직 둥글게
(=원만하게)
깨끗하고 밝아서 다 일체 차별 색상이 없듯하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마니주(摩尼珠):여의주라고도 한다. 불성(佛性)을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주002)
두려이:둥글게. 온전히. 두렵-[圓]+이(부사형어미)→두려〉두려이. ‘무섭다’를 뜻하는 형용사는 ‘두립다’였다.
주003)
조코:깨끗하고. 좋-[淨]+고. ‘좋-’은 [淨]을 뜻하고, ‘둏-’은 [好]를 뜻한다. ‘둏-’은 다음과 같이 변하였다. 둏-〉죻-〉좋-. 즉 구개음화와 단모음화를 겪어 현대국어의 ‘좋-’으로 발달한 것이다. ‘둏-’이 ‘좋-’으로 변화하게 되자, [淨]을 뜻하던 ‘좋-’은 소멸의 길을 걷게 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