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90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900


【私記】
華嚴論내 亦云호 大心凡夫ㅣ 於信因中에 契諸佛果德과 分毫不謬야 方成信也ㅣ라 시니 若知此意면 則不自屈며 不自高야 方爲得意修心者也ㅣ라 此後에 漸修 是圓漸이니 切須審詳이어다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華화嚴업論·론 주001)
화엄론(華嚴論):
중국 당 나라 때 화엄종의 재가 학자인 통현 장자(通玄長者)가 저술한 『대방광불신화엄경론(大方廣佛新華嚴經論)』이다.
주002)
화업론(華嚴論)내:
화엄론에서. ‘화엄론애’의 중철이다. ‘업’은 ‘엄’의 오각이다.
· 닐·오·  :큰 凡범夫부ㅣ ·첫· 주003)
첫:
처음에. ‘처’의 오각이다.
發·발心심: 시·져레 諸졔佛·불ㅅ 果·과德

별행록절요언해:71ㄴ

·덕 주004)
과덕(果德):
불과(佛果). 불도 수행의 결과로 얻는 최상의 경지, 즉 부처의 경지를 얻는 과보.
·과 마·자 주005)
마자:
계합하여. 부합하여. 맞-[合]+아.
터럭 주006)
터럭:
털[毛].
·마도 주007)
마도:
만큼도. 마(보조사)+도(보조사). ‘마’는 체언 뒤에 바로 붙을 때에는 보조사이다. 관형어 뒤에서 의존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외·디 주008)
외디:
어긋나지. 외-[違]+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야 주009)
아니야:
아니하여야. 아니+ᄒᆞ-+야(연결어미)+ᅀᅡ. 여기의 ‘’는 ‘의무, 당연’을 뜻하는 보조사이다.
비·르서 주010)
비르서:
비로소. 비릇-[始]+어(연결어미). 동사의 활용형 ‘비르서’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信·신이 ·일리·라 주011)
일리라:
이루어지리라. 일-[成]+리+라. ‘일다’는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인다. [起]를 뜻하는 ‘닐다’와는 별개의 낱말이다.
·시·니 ·다·가 ·이 :·들 ·알·면 ·제 주012)
제:
제 스스로가. 저(재귀대명사)+ㅣ(주격조사). 일반적으로 ‘:제(상성)’는 주격형이고, ‘제(평성)’는 관형격 형태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제’가 거성으로 나타난다. 이 책의 성조 표시는 극히 혼란스럽다.
믈·러나·디 주013)
믈러나디:
물러나지. 므르-[退]+어(보조적 연결어미)+나-+디(보조적 연결어미). 여기서는 ‘屈’의 번역이며, ‘노냥’과 짝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역에서 ‘비굴하게’를 덧붙였다.
아·니·며 ·제 노·: 주014)
노:
높은 양(체). 잘난 양(체). ‘ㄴ’이 연철된 것으로 보아, ‘노 (樣)’이 구(句)가 아니라 합성어인 듯하다. 다음 예문의 ‘건양다’는 ‘잘난 체하다’란 뜻을 보여 준다. ¶진  고 가야온 갓옷 닙어 건양야  디나니니〈소학언해 5:24ㄱ〉.
아·니··야 비·르서 ·들 得:득·야  :닷 주015)
닷:
닦는. -[修]++ㄴ. ‘→닷’은 음절말 자음군 단순화 규칙에 따른 것이다.
사·미 외·리라 이 後:후에 주016)
후(後)에:
뒤의. 여기의 ‘에’는 관형격 조사가 쓰일 위치에 나타나 있다. ‘ᄭᅮ메 져ᇰ스ᇰ이’(67ㄴ)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漸:졈修슈· 圓원滿·만 漸:졈修슈 주017)
원만(圓滿) 점수(漸修):
원만한 점수. 부족함이 없는 완전한 점수.
ㅣ·니 모·로매 펴 아·롤 ·디어다 주018)
아롤 디어다:
알지어다. 알-[知]+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거(완료상 선어말어미)+다. ‘-거-’의 ‘ㄱ’이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이다.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화엄론(華嚴論)에서 또 이르기를, 마음이 큰
(=크게 발심한)
범부(凡夫)가 처음에 발심할 때에 모든 부처의 과덕(果德)에 계합(契合)하여 털끝만큼도 어긋나지 아니하여야 비로소 믿음이 이루어지리라 하시니, 만약 이 뜻을 알면 스스로 〈비굴하게〉 물러나지 않으며 스스로 높은 척도 아니하여야 비로소 뜻을 얻어서 마음 닦는 사람이 되리라. 이 이후의 점수(漸修)는 원만
(=완전)
한 점수(漸修)이니, 모름지기 살펴서 알지어다.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화엄론(華嚴論):중국 당 나라 때 화엄종의 재가 학자인 통현 장자(通玄長者)가 저술한 『대방광불신화엄경론(大方廣佛新華嚴經論)』이다.
주002)
화업론(華嚴論)내:화엄론에서. ‘화엄론애’의 중철이다. ‘업’은 ‘엄’의 오각이다.
주003)
첫:처음에. ‘처’의 오각이다.
주004)
과덕(果德):불과(佛果). 불도 수행의 결과로 얻는 최상의 경지, 즉 부처의 경지를 얻는 과보.
주005)
마자:계합하여. 부합하여. 맞-[合]+아.
주006)
터럭:털[毛].
주007)
마도:만큼도. 마(보조사)+도(보조사). ‘마’는 체언 뒤에 바로 붙을 때에는 보조사이다. 관형어 뒤에서 의존명사로 쓰이기도 한다.
주008)
외디:어긋나지. 외-[違]+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9)
아니야:아니하여야. 아니+ᄒᆞ-+야(연결어미)+ᅀᅡ. 여기의 ‘’는 ‘의무, 당연’을 뜻하는 보조사이다.
주010)
비르서:비로소. 비릇-[始]+어(연결어미). 동사의 활용형 ‘비르서’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주011)
일리라:이루어지리라. 일-[成]+리+라. ‘일다’는 자동사로도 쓰이고 타동사로도 쓰인다. [起]를 뜻하는 ‘닐다’와는 별개의 낱말이다.
주012)
제:제 스스로가. 저(재귀대명사)+ㅣ(주격조사). 일반적으로 ‘:제(상성)’는 주격형이고, ‘제(평성)’는 관형격 형태이다. 그런데 여기서는 ‘제’가 거성으로 나타난다. 이 책의 성조 표시는 극히 혼란스럽다.
주013)
믈러나디:물러나지. 므르-[退]+어(보조적 연결어미)+나-+디(보조적 연결어미). 여기서는 ‘屈’의 번역이며, ‘노냥’과 짝을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현대역에서 ‘비굴하게’를 덧붙였다.
주014)
노:높은 양(체). 잘난 양(체). ‘ㄴ’이 연철된 것으로 보아, ‘노 (樣)’이 구(句)가 아니라 합성어인 듯하다. 다음 예문의 ‘건양다’는 ‘잘난 체하다’란 뜻을 보여 준다. ¶진  고 가야온 갓옷 닙어 건양야  디나니니〈소학언해 5:24ㄱ〉.
주015)
닷:닦는. -[修]++ㄴ. ‘→닷’은 음절말 자음군 단순화 규칙에 따른 것이다.
주016)
후(後)에:뒤의. 여기의 ‘에’는 관형격 조사가 쓰일 위치에 나타나 있다. ‘ᄭᅮ메 져ᇰ스ᇰ이’(67ㄴ)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주017)
원만(圓滿) 점수(漸修):원만한 점수. 부족함이 없는 완전한 점수.
주018)
아롤 디어다:알지어다. 알-[知]+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거(완료상 선어말어미)+다. ‘-거-’의 ‘ㄱ’이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