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33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330


【私記】
以是로 當知라 密師ㅣ 非不知馬祖의 說法이 直顯心性이언

별행록절요언해:30ㄱ

마 於二利行門에 深有善巧 而云호 雖近而未的者 盖恐學者ㅣ 認能語言야 滯在隨緣之用고 而未的悟寂知耳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이럴·반·기 주001)
반기:
반드시. 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알라 주002)
알라:
알아라. 알-[知]+라(명령 종결어미). 현대국어에서는 ‘-아라/어라’와 달리 ‘-(으)라’는 간접인용문에 쓰여 구별되나, 중세 국어에서는 차이가 없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아라라’의 예를 하나 든다. ¶네 이제 能히 受니 다 如來ㅅ 威力이론 고 아라라〈석보상절 9:28ㄱ〉.
密·밀師 주003)
밀사(密師):
종밀(宗密) 선사(禪師).
馬마祖조 주004)
마조(馬祖):
마조도일(馬祖道一). ‘마조(馬祖)’는 성이 마(馬)씨였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그가 홍주(洪州) 지방에 머물면서 선풍을 크게 선양하여, 이를 홍주종(洪州宗)이라 한다.
·의 說·셜法·법비 바 주005)
바:
바로. 형용사 어간 ‘바-[直]’가 접사와 결합하지 않고 바로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心심性· 나:토· 주006)
나토:
나타냄을. 드러냄을. 낱-[現]+옴(명사형어미)+.
모·:디 아·니컨마· 주007)
아니컨마:
아니하건만, 한문 구결에는 ‘-건마’을 쓰고 언해에서는 ‘-건마’을 쓴 곳도 있는데(7ㄴ), 여기서는 구결과 언해 모두 ‘건마’으로 나타난다.
學·者:쟈ㅣ ·히 ·말·· 것·만 아·라 隨슈緣연 주008)
수연(隨緣):
‘불변(不變)’의 상대어이다. ①인연에 따라 나타남. 인연에 따라 변화함. ②인연에 따라 드러나는 청정한 본래의 성품.
用··애 걸:여 주009)
걸여:
걸려. 막혀. 걸-+이(피동접미사)+어. ‘거려’로 연철되지 않는 것은 피동 접미사 ‘-이-’가 ‘-기-’에서 발달한 것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다(=불에 타다), 불이다(=바람에 불리다)’ 등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잇·고 空寂·젹 靈知디· ·아·디 주010)
아디:
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어미). ‘ㄷ’ 앞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현대 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는 이 ‘-디’에서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에서 발달한 것이다.
·몯·가 저:흘 주011)
저흘:
두려워할. 젛-[恐](동사어간)+을. 현대국어 ‘저어하다’는 ‘젛다’를 형용사로 착각하고 어간 ‘젛-’에 ‘-어하다’를 붙여 동사를 파생시킨 결과이다.
·미니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이러하므로 반드시 알라. 밀사(密師)가 마조(馬祖)의 설법이 바로 심성(心性)을 나타냄을 모르지 아니하건만 배우는 사람이 능히 말하는 것만 알아서 수연(隨緣)의 용(用)에 걸려 있어서 공적(空寂)한 영지(靈知)를 알지 못할까 두려워할 뿐이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반기:반드시. 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2)
알라:알아라. 알-[知]+라(명령 종결어미). 현대국어에서는 ‘-아라/어라’와 달리 ‘-(으)라’는 간접인용문에 쓰여 구별되나, 중세 국어에서는 차이가 없이 쓰인 것으로 보인다. ‘아라라’의 예를 하나 든다. ¶네 이제 能히 受니 다 如來ㅅ 威力이론 고 아라라〈석보상절 9:28ㄱ〉.
주003)
밀사(密師):종밀(宗密) 선사(禪師).
주004)
마조(馬祖):마조도일(馬祖道一). ‘마조(馬祖)’는 성이 마(馬)씨였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그가 홍주(洪州) 지방에 머물면서 선풍을 크게 선양하여, 이를 홍주종(洪州宗)이라 한다.
주005)
바:바로. 형용사 어간 ‘바-[直]’가 접사와 결합하지 않고 바로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주006)
나토:나타냄을. 드러냄을. 낱-[現]+옴(명사형어미)+.
주007)
아니컨마:아니하건만, 한문 구결에는 ‘-건마’을 쓰고 언해에서는 ‘-건마’을 쓴 곳도 있는데(7ㄴ), 여기서는 구결과 언해 모두 ‘건마’으로 나타난다.
주008)
수연(隨緣):‘불변(不變)’의 상대어이다. ①인연에 따라 나타남. 인연에 따라 변화함. ②인연에 따라 드러나는 청정한 본래의 성품.
주009)
걸여:걸려. 막혀. 걸-+이(피동접미사)+어. ‘거려’로 연철되지 않는 것은 피동 접미사 ‘-이-’가 ‘-기-’에서 발달한 것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다(=불에 타다), 불이다(=바람에 불리다)’ 등에서도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주010)
아디: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어미). ‘ㄷ’ 앞에서 ‘ㄹ’이 탈락한 것이다. 현대 국어의 보조적 연결어미 ‘-지’는 이 ‘-디’에서 발달한 것이고, 종결어미 ‘-지’는 ‘-디’에서 발달한 것이다.
주011)
저흘:두려워할. 젛-[恐](동사어간)+을. 현대국어 ‘저어하다’는 ‘젛다’를 형용사로 착각하고 어간 ‘젛-’에 ‘-어하다’를 붙여 동사를 파생시킨 결과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