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34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340


【私記】

별행록절요언해:30ㄴ

是故로 而今末法에 修心之人이 先以荷澤의 所示言敎로 決擇自心의 性相體用야 不墮空寂며 不滯隨緣야 開發眞正之解 然後에 歷覽洪州와 牛頭와 二宗之旨면 若合符節커니 豈可妄生取捨之心耶ㅣ리오 故로 云호 三點이 各別면 旣不成伊고 三宗이 若乖면 焉能作佛이리오 니 此之謂也

별행록절요언해:31ㄱ

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이런 젼··로 ·이제 末·말法·법 주001)
말법(末法):
말법시(末法時). 불법이 유포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정법(正法), 상법(像法), 말법(末法) 등 셋으로 나눈 것 중 한 시기. 교(敎), 행(行), 증(證), 세 가지 중에서 교(敎)만이 남아 있는 시대가 말법시이다.
·에  닷· 사··미 몬져 荷하澤··의 주002)
하택(荷澤)의:
하택 조사가. ‘의’는 주어적 관형격 조사이다. 서술어가 관형사형을 취할 때 주격 조사 대신 관형격 조사가 쓰인다.
:쳐 주003)
쳐:
가리켜. ‘치다’는 [敎]와 [指]의 뜻으로 두루 쓰였다.
·뵈·신 ·말··로 · 自·心심·의 性· 주004)
성(性):
본연의 성품. 현상 차별의 상대적 모양에 대하여 5온 또는 평등진여를 말함.
·과 相· 주005)
상(相):
①특징이나 특질. ②겉으로 드러나 있는 모습. 현상의 차별적인 모양. 양상. 양태. 상태. ③성질. ④상(想)과 같은 뜻. ⑤경지(境地).
·과 體:톄·와 用··과· 주006)
용(用)과:
여러 체언이 나열될 때 마지막 체언 뒤에도 ‘과’가 쓰이는 것은 중세국어의 특징이다.
·여 空寂·젹에 디·디 주007)
디디:
떨어지지. 디-[墮]+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隨슈緣연用·애 걸·이·디 아·니··야 眞진正· 아로· 여·러·낸 주008)
여러낸:
원문 ‘개발(開發)’의 번역이다. ‘개발’이라는 한자어의 연원을 보여 주는 예이다.
後:후에 주009)
후(後)에:
후에야. 에(부사격조사)+(보조사). ‘’는 ‘강조’, ‘단독’, ‘의무’ 또는 ‘당연’을 뜻하는 보조사인데, 체언이나 조사나 어미 뒤에 두루 결합한다. ‘-거’에서처럼 어말 어미로도 쓰인다.
너·비 주010)
너비:
널리. 넙-[廣]+이(부사파생접미사). ‘넙-’은 ‘넓-’의 고형(古形)이다. 『여사서언해』(1736)에 ‘널펴’(3:79ㄱ)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18세기에는 ‘넓-’이 형성돼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파생명사는 ‘넙-+의’로 구성된 ‘너븨’이다. 이른바 척도형용사들은 명사파생접미사로는 ‘-/의’를, 부사파생접미사로는 ‘-이’를 취한다. ‘기릐(명사) : 기리(부사)’, ‘기픠(명사) : 기피(부사)’, ‘노(명사) : 노피(부사)’와 같다. 그러나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도 있었다.
洪州·와 牛우頭두·왓 ·두 宗·의 旨·지趣:· 보·면 ·대: 주011)
대:
대쪽. 부절(符節).
맛··리어·니 주012)
맛리어니:
들어맞듯하리니. 맞-[合]+(어미)+-+리+거/어(완료상 선어말어미)+니.
:엣:뎨 주013)
엣뎨:
어찌. ‘엇뎨’의 오각이다.
간·대·로 주014)
간대로:
함부로. 되는 대로. ‘간대’는 ‘제멋대로, 함부로’ 등의 뜻을 지닌 어근으로서, 단독으로는 낱말로 쓰이지 않고 조사 ‘로, 옛’이나 접미사 ‘-롭-’과 결합하여 나타난다. 이 책에는 ‘간대옛’이 ‘간대엿’으로 나타난다(45ㄱ, 90ㄴ).
取:捨·샤ㅅ · ·내리·오 그·럴· 닐·오· :석 :뎜·미 주015)
석 뎜미:
세 점이. ‘뎜미’는 ‘뎌미’의 중철이다. ‘석 뎜’은 범어(梵語)의 ‘伊’ 자 ‘∴’를 가리킨 것이다. 가로줄도 아니고 세로줄도 아닌 세 점으로 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라도 결여되면 그 의미를 상실하게 되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제·곰 주016)
제곰:
제각기.
다·면 伊이字· 주017)
이자(伊字)ㅣ:
‘伊이字·’는 ‘伊이字ㅣ’로 쓰는 것이 당시의 규칙에 부합한다.
·이·디 주018)
이디:
이루어지지. 일-[成]+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니 ◯【伊이

별행록절요언해:31ㄴ

字梵범書셔에
주019)
범서(梵書)에:
범서에서. 범어(梵語)의 문자인 실담(悉曇)에서. 현대국어에서는 ‘에’와 ‘에서’가 구별되어 쓰이지만, 중세국어에서는 여기서처럼 ‘에셔’가 쓰일 자리에 ‘에’가 쓰이기도 한다.
석 뎜이라】 세 宗이 ·다·가 어:긔·면 ·엇:뎨 히 부톄 외·리·오 ·니  니·시·니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이런 까닭으로 지금 말법(末法) 시대에 마음을 닦을 사람은 먼저 하택(荷澤)이 가리켜 보이신 언교(言敎)로써 자기 마음의 성(性)과 상(相)과 체(體)와 용(用)을 분별하여 공적(空寂)에 떨어지지 아니하며 수연(隨緣)의 용(用)에 걸리지
(=막히지)
아니하여 진정한 앎을 열어낸 후에야 널리 홍주(洪州)와 우두(牛頭) 두 종(宗)의 지취(旨趣)를 보면 대쪽
(=부절)
이 들어맞듯 하리니, 어찌 제멋대로 취사(取捨)하는 마음을 내리오? 그러므로 이르되, 세 점이 제각기 다르면 ‘이(伊)’ 자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나니, ◯【‘이’ 자는 범서(梵書)에서 세 점이다.】 세 종(宗)이 만약 어긋나면 어찌 능히 부처가 되리오 하니, 이를 이르신 것이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말법(末法):말법시(末法時). 불법이 유포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정법(正法), 상법(像法), 말법(末法) 등 셋으로 나눈 것 중 한 시기. 교(敎), 행(行), 증(證), 세 가지 중에서 교(敎)만이 남아 있는 시대가 말법시이다.
주002)
하택(荷澤)의:하택 조사가. ‘의’는 주어적 관형격 조사이다. 서술어가 관형사형을 취할 때 주격 조사 대신 관형격 조사가 쓰인다.
주003)
쳐:가리켜. ‘치다’는 [敎]와 [指]의 뜻으로 두루 쓰였다.
주004)
성(性):본연의 성품. 현상 차별의 상대적 모양에 대하여 5온 또는 평등진여를 말함.
주005)
상(相):①특징이나 특질. ②겉으로 드러나 있는 모습. 현상의 차별적인 모양. 양상. 양태. 상태. ③성질. ④상(想)과 같은 뜻. ⑤경지(境地).
주006)
용(用)과:여러 체언이 나열될 때 마지막 체언 뒤에도 ‘과’가 쓰이는 것은 중세국어의 특징이다.
주007)
디디:떨어지지. 디-[墮]+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8)
여러낸:원문 ‘개발(開發)’의 번역이다. ‘개발’이라는 한자어의 연원을 보여 주는 예이다.
주009)
후(後)에:후에야. 에(부사격조사)+(보조사). ‘’는 ‘강조’, ‘단독’, ‘의무’ 또는 ‘당연’을 뜻하는 보조사인데, 체언이나 조사나 어미 뒤에 두루 결합한다. ‘-거’에서처럼 어말 어미로도 쓰인다.
주010)
너비:널리. 넙-[廣]+이(부사파생접미사). ‘넙-’은 ‘넓-’의 고형(古形)이다. 『여사서언해』(1736)에 ‘널펴’(3:79ㄱ)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18세기에는 ‘넓-’이 형성돼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파생명사는 ‘넙-+의’로 구성된 ‘너븨’이다. 이른바 척도형용사들은 명사파생접미사로는 ‘-/의’를, 부사파생접미사로는 ‘-이’를 취한다. ‘기릐(명사) : 기리(부사)’, ‘기픠(명사) : 기피(부사)’, ‘노(명사) : 노피(부사)’와 같다. 그러나 파생명사 ‘기릐’는 ‘기리’로 나타나는 일도 있었다.
주011)
대:대쪽. 부절(符節).
주012)
맛리어니:들어맞듯하리니. 맞-[合]+(어미)+-+리+거/어(완료상 선어말어미)+니.
주013)
엣뎨:어찌. ‘엇뎨’의 오각이다.
주014)
간대로:함부로. 되는 대로. ‘간대’는 ‘제멋대로, 함부로’ 등의 뜻을 지닌 어근으로서, 단독으로는 낱말로 쓰이지 않고 조사 ‘로, 옛’이나 접미사 ‘-롭-’과 결합하여 나타난다. 이 책에는 ‘간대옛’이 ‘간대엿’으로 나타난다(45ㄱ, 90ㄴ).
주015)
석 뎜미:세 점이. ‘뎜미’는 ‘뎌미’의 중철이다. ‘석 뎜’은 범어(梵語)의 ‘伊’ 자 ‘∴’를 가리킨 것이다. 가로줄도 아니고 세로줄도 아닌 세 점으로 되어 있어서 어느 하나라도 결여되면 그 의미를 상실하게 되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주016)
제곰:제각기.
주017)
이자(伊字)ㅣ:‘伊이字·’는 ‘伊이字ㅣ’로 쓰는 것이 당시의 규칙에 부합한다.
주018)
이디:이루어지지. 일-[成]+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9)
범서(梵書)에:범서에서. 범어(梵語)의 문자인 실담(悉曇)에서. 현대국어에서는 ‘에’와 ‘에서’가 구별되어 쓰이지만, 중세국어에서는 여기서처럼 ‘에셔’가 쓰일 자리에 ‘에’가 쓰이기도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