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11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110


【節要】
故로 雖備修萬行이나 唯以無念으로 爲宗호리니 但得無念면 則

별행록절요언해:10ㄴ

愛惡ㅣ 自然淡薄며 悲智自然增明며 罪業이 自然斷除며 功行이 自然增進리니 於解 則見諸相이 非相이오 於行은 則名이 無修之修ㅣ니 煩惱ㅣ 盡時예 生死ㅣ 即絶리니 生滅이 滅已면 寂照ㅣ 現前야 應用이 無窮리니 名之爲佛ㅣ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이런 젼·:로 비·록 萬·만行 주001)
만행(萬行):
수행자가 닦는 모든 수행.
:닷고·미 주002)
닷고미:
닦음이. -+옴+이.
··나 주003)
나:
갖추어졌으나. ᄀᆞᆽ[具, 備]-+ᄋᆞ나.
오·직 念:념 ·업스··로 주004)
업스로:
없음으로. 없-+음(명사형어미)+ᄋᆞ로(부사격조사). 15세기에는 명사형 어미 ‘-옴/움’이 쓰인 ‘업수므로’로 나타났던 것인데, 이 책에서는 명사형 어미 ‘-옴/움’이 혼란을 보이고 있다.
宗·을 사· 디니 주005)
사 디니:
삼을지니. 삼-+ᄋᆞᆯ+ᄃᆞ(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 15세기에는 ‘사몰 디니(사몰 띠니)’로 나타나던 것이다. ¶이브터 津要 사몰 띠니라〈법화경언해 4:101ㄴ〉.
오·직 無무念:념

별행록절요언해:11ㄱ

·을 ·어드:면 :며 믜·오:미 自·然연·히 열:우:며 주006)
열우며:
엷으며. 엷-+으며 →열며〉열우며.
慈悲비·와 智·디慧·혜:왜 自·然연·히 더 :·:며 罪:죄業·업이 自·然연히 그:처 주007)
그처:
끊어져. 없어져. 긏[斷]-(자동사 어간)+어. 이 어휘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였다.
·덜:며 주008)
덜며:
덜어지며. 없어지며. 덜[除]-+며. ‘덜-’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였다.
功行 주009)
공행(功行):
공덕과 좋은 행실.
이 自·然연·히 나·가·리니 아로· 諸졔相·이 相· 아:닌 · 보·고 行·은 일:후·미 주010)
일후미:
이름이. 이름붙이자면.
·닷금 주011)
닷금:
닦음. ‘닷곰’의 오각이다. [修]-+옴(명사형어미).
:업·슨 ·닷고·미니 煩번惱:노이 :업:슨 시·졀레 生死·ㅣ ·곧 그·츠리·니 生滅·멸이 :업스·면 주012)
업스면:
없어지면. ‘없다’는 형용사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여기서처럼 동사로 쓰이기도 한다.
寂·젹照·죠 주013)
적조(寂照):
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혀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여 바르게 관찰하는 것.
알· 주014)
알:
앞에서.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나:타·나 妙·묘用·이 다· 주015)
다:
다함이. 다[盡]-+ㄹ(명사형어미). 15세기 문헌에서는 대개 ‘다’로 나타나지만, ‘다ᄋᆞᆯ’도 보인다. ¶내 願호 일로 流布호 다 업시 호리라 니〈능엄경언해 1:4ㄴ〉.  愛命을 조차 여러 趣에 그우녀 다 업수믈 가비시니라〈법화경언해 2:131ㄴ〉.
·업스·리니 일:후·미 부:톄라 ··니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이런 까닭으로 비록 만행을 닦음이 갖추어졌으나, 오직 생각이 없음
(=무념)
으로 종요
(=으뜸)
를 삼을지니, 오직 무념을 얻으면, 사랑하며 미워함이 자연히 엷어지며, 자비와 지혜가 자연히 더 밝아지며, 죄업이 저절로 그치어 덜어지며, 공행이 자연히 증진되리니, 앎은 모든 모양이 모양 아닌 것을 보고 행은 이름이
(=이름붙이자면)
닦음 없는 닦음이니, 번뇌가 없어진 때에 생사가 곧 그치리니, 생멸이 없어지면 적조(寂照)가 앞에 나타나 묘용이 다함 없으리니, 이름이 부처라 하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만행(萬行):수행자가 닦는 모든 수행.
주002)
닷고미:닦음이. -+옴+이.
주003)
나:갖추어졌으나. ᄀᆞᆽ[具, 備]-+ᄋᆞ나.
주004)
업스로:없음으로. 없-+음(명사형어미)+ᄋᆞ로(부사격조사). 15세기에는 명사형 어미 ‘-옴/움’이 쓰인 ‘업수므로’로 나타났던 것인데, 이 책에서는 명사형 어미 ‘-옴/움’이 혼란을 보이고 있다.
주005)
사 디니:삼을지니. 삼-+ᄋᆞᆯ+ᄃᆞ(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 15세기에는 ‘사몰 디니(사몰 띠니)’로 나타나던 것이다. ¶이브터 津要 사몰 띠니라〈법화경언해 4:101ㄴ〉.
주006)
열우며:엷으며. 엷-+으며 →열며〉열우며.
주007)
그처:끊어져. 없어져. 긏[斷]-(자동사 어간)+어. 이 어휘는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였다.
주008)
덜며:덜어지며. 없어지며. 덜[除]-+며. ‘덜-’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였다.
주009)
공행(功行):공덕과 좋은 행실.
주010)
일후미:이름이. 이름붙이자면.
주011)
닷금:닦음. ‘닷곰’의 오각이다. [修]-+옴(명사형어미).
주012)
업스면:없어지면. ‘없다’는 형용사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여기서처럼 동사로 쓰이기도 한다.
주013)
적조(寂照):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혀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여 바르게 관찰하는 것.
주014)
알:앞에서. 앒+(특수처소부사격조사).
주015)
다:다함이. 다[盡]-+ㄹ(명사형어미). 15세기 문헌에서는 대개 ‘다’로 나타나지만, ‘다ᄋᆞᆯ’도 보인다. ¶내 願호 일로 流布호 다 업시 호리라 니〈능엄경언해 1:4ㄴ〉.  愛命을 조차 여러 趣에 그우녀 다 업수믈 가비시니라〈법화경언해 2:131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