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64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640


【節要】
但於珠에 不惑면 則黑이 則無

별행록절요언해:50ㄱ

黑이오 黑이 即是珠ㅣ라 면 諸色이 皆爾니 即是有無에 自在야 明黑이 融通커니 復何礙哉리오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오·직 구:스레 어·리·디 아·니면 거:무·매 주001)
거무매:
검음에. 검-[黑]+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애’보다는 ‘에’가 모음조화 현상에 부합한다. 한문의 구결은 주격 조사 ‘이’인데, 언해에서는 부사격 조사로 바뀌었다.
거·무·미 :업·고 거·무·미 ·곧 ·이 구:스·리라 ·면 여·러 ·가·짓 色·이 ·다 그:러·니 ·곧 ·이 이시·며 :업스:매 주002)
업스매:
없음에. ‘업수메’가 더 일반적이다.
:쥬·변··야 주003)
쥬변야:
자유자재(自由自在)하여. ‘쥬변’은 ‘스스로 지닌 능력’ 또는 ‘스스로 일을 처리함’을 뜻한다. 현대국어 ‘(말)주변, 주변(머리)’의 소급형이다. ¶펴며 거도 쥬변야 수므며 나토미 마곰 업스니[舒卷 自由야 隱現이 無碍니]〈금강경삼가해 3:3ㄱ〉.
··며 어·두우·미 주004)
어두우미:
어두움이. 어듭-[暗]+움(명사형어미)+이→어드미〉어드우미〉어두우미. 15세기 문헌에서 ‘어드우-’가 훨씬 더 일반적이지만, 드물게 ‘어두우-’도 나타난다.
노·가 주005)
노가:
녹아. 구분할 수 없게 뒤섞여.
通達·달커·니 · :엇뎨 ·리·오·미 주006)
리오미:
가림이. 막음이. ‘ᄀᆞ료미’가 옳은 표기로 보인다. ᄀᆞ리-[障, 掩, 蔽]+옴(명사형어미)+이. ‘ᄀᆞ료미’ 대신 ‘ᄀᆞ리오미’가 쓰인 것은 ‘ᄀᆞ리오다’의 존재 때문이었을 것이다. ‘리오다’는 ‘ᄀᆞ리다’에 강세 접미사 ‘-ᄫᆞ-’가 결합한 ‘리다’의 발달형이다. 그러나 이 낱말이 지닌 ‘강세’의 의미가 분명치 않았을 것이므로 ‘ᄀᆞ리다’와 ‘ᄀᆞ리오다’가 구별 없이 쓰이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시·리오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오직 구슬에 현혹되지 아니하면
(=않는 경우에)
검음에 검음이 없고, 검음이 바로 이것이 구슬이라 하면 여러 가지 색이 다 그러하니, 곧 있으며 없음에 두루 펼쳐져 밝으며 어두움이 녹아서 서로 통하니, 또 어찌 가림이 있으리오?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거무매:검음에. 검-[黑]+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애’보다는 ‘에’가 모음조화 현상에 부합한다. 한문의 구결은 주격 조사 ‘이’인데, 언해에서는 부사격 조사로 바뀌었다.
주002)
업스매:없음에. ‘업수메’가 더 일반적이다.
주003)
쥬변야:자유자재(自由自在)하여. ‘쥬변’은 ‘스스로 지닌 능력’ 또는 ‘스스로 일을 처리함’을 뜻한다. 현대국어 ‘(말)주변, 주변(머리)’의 소급형이다. ¶펴며 거도 쥬변야 수므며 나토미 마곰 업스니[舒卷 自由야 隱現이 無碍니]〈금강경삼가해 3:3ㄱ〉.
주004)
어두우미:어두움이. 어듭-[暗]+움(명사형어미)+이→어드미〉어드우미〉어두우미. 15세기 문헌에서 ‘어드우-’가 훨씬 더 일반적이지만, 드물게 ‘어두우-’도 나타난다.
주005)
노가:녹아. 구분할 수 없게 뒤섞여.
주006)
리오미:가림이. 막음이. ‘ᄀᆞ료미’가 옳은 표기로 보인다. ᄀᆞ리-[障, 掩, 蔽]+옴(명사형어미)+이. ‘ᄀᆞ료미’ 대신 ‘ᄀᆞ리오미’가 쓰인 것은 ‘ᄀᆞ리오다’의 존재 때문이었을 것이다. ‘리오다’는 ‘ᄀᆞ리다’에 강세 접미사 ‘-ᄫᆞ-’가 결합한 ‘리다’의 발달형이다. 그러나 이 낱말이 지닌 ‘강세’의 의미가 분명치 않았을 것이므로 ‘ᄀᆞ리다’와 ‘ᄀᆞ리오다’가 구별 없이 쓰이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