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93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930


【節要】
答호 前네 但喩頓悟義고 不喩漸修義니 良由法有無量義고 世事 唯一義니 故로 涅槃經의 雖唯談佛性나 而八

별행록절요언해:73ㄴ

百喩ㅣ 各有配合니 不可亂用이니라 今明漸修喩者 如水ㅣ 被風激야 成多波浪면 便有漂溺之殃고 惑陰寒之氣結成氷凌면 即阻漑滌之用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답·호· 알· 오·직 頓·돈悟·오 :·들 가·비·고 漸:졈修슈 :·들 가·비디 아·니니 진·실·로 法·법·은 그·지 주001)
그지:
한이. 그지[限](명사)+Ø(주격조사). ‘그지’는 대부분 형용사 ‘없-’과 함께 쓰여 합성어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단독으로 쓰인 예도 있고, 조사 ‘ᄂᆞᆫ’ 앞에 쓰인 예도 있고, ‘이시-’와도 결합하며 서술형 ‘그지라(긎+이라)’도 나타난다. ¶八方애 다시 變샤 識心에 그지 마고 리샤미오〈월인석보 15:79ㄱ〉. 하며 져근 그지 오직 人情의 거츠리 셜 미라〈법화경언해 5:85ㄴ〉. 그지 이셔 마고미 외야〈월인석보 11:35ㄴ〉. 목수믜 그지라〈월인석보 7:70ㄱ〉.
:업·슨 디 잇·고 世·셰間간·냇 주002)
세간(世間)냇:
세간의. ‘世間앳’의 중철이다.
:이·  ·디 잇·니 그·럴· 涅·녈槃반經의 비·록 佛·불性··을

별행록절요언해:74ㄱ

니·나 八·팔百· 가·지·로 가·비 주003)
가비:
비유하여. 글자 모양이 분명치 않은데, ‘가벼’를 ‘가비’로 오각한 것으로 보인다.
닐·오·미 제·곰 마·초와 주004)
마초와:
맞추어. ‘마초와’에는 ‘실상을 잘 알아보아’란 뜻도 있다(16ㄴ). 맞-[適, 配, 合]+호(사동접미사)+아(연결어미). ‘마초아’에 모음충돌회피를 위한 반자음 [w]가 개입한 것이다. 현대국어 ‘맞추-’의 공시적 구조는 ‘맞-+추(사동접미사)’이다. 이 낱말에 포함된 사동접미사가 ‘-호-’에서 ‘-추-’로 교체된 셈이다. ‘갖추-’도 이와 같다. 즉 ‘-[具]+호(사동접미사)’로 구성된 ‘초-’의 발달형인 ‘갖추-’의 공시적 구조는 ‘갖-+추’인 것이다. 이것은 사동접미사 ‘-호-’의 생산성 상실에 말미암은 현상이다. ‘마초다’와 비슷한 말인 ‘마초다’도 쓰였다(60ㄱ).
마· 주005)
마:
맞은. 부합하는. 맞-[合]+ᄋᆞᆫ(관형사형어미).
· 주006)
:
데가. +Ø(주격조사).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주격 조사 ‘이’가 외현되지 않은 것이다.
잇:논 ·디라 주007)
잇논 디라:
있는지라. 잇-++오/우+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평서문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어미 ‘-어’의 이형태이다. 여기의 ‘-라’는 연결어미 ‘-어’의 이형태로 보인다. 이때의 연결어미 ‘-어’는 종결어미와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다.
간·대·로 ··미 주008)
미:
사용함이. -[用]+음(명사형어미)+이. 미〉미. 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명사형 어미 ‘-옴/움’과 명사파생 접미사 ‘-음/’이 구별되었는데, 이 책에서는 ‘-음/’으로의 부분적 합류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올티 ·몯·니라 ·이제 漸:졈漸·졈 닷:고· 가·:벼 :교· 주009)
교:
밝힘은. -[明]+이(사동접미사)+옴(명사형어미)+.
·므·리 주010)
므리:
물이. 믈[水]+이. ‘믈’은 근대국어 시기에 원순모음화하였다. 양순자음 ‘ㅁ, ㅂ, ㅍ, ㅽ’의 영향으로 평순모음 ‘ㅡ’가 원순모음 ‘ㅜ’로 변화한 것이다. [群, 衆]을 뜻하는 중세국어 어휘는 ‘물’ 또는 ‘무리’이다.
· 주011)
:
바람의. [風]+(주어적관형격조사). 서술어인 ‘불다’가 명사형을 취함에 따라 주격 조사 위치에 주어적 관형격 조사 ‘’가 쓰였다. 이 책에는 ‘람’도 보인다(76ㄴ).
부:로· 주012)
부로:
붊을. 불-[吹]+옴(명사형어미)+.
니·버 주013)
니버:
입어. 닙-[被]+어.
여·러 ·믓·겨리 주014)
믓겨리:
물결이. 믈[水]+ㅅ(관형격조사)+결[波]+이. ‘ㅅ’이 개입하여 합성명사를 이룰 때 선행 명사의 어말 ‘ㄹ’은 탈락한다. ‘섣달, 이튿날, 숟가락, 순막(술+ㅅ+막)’의 ‘ㄷ, ㄴ’도 ‘ㅅ’이 변한 것이다.
·닐·면 주015)
닐면:
일어나면. 닐-[起]+면. ‘닐다’는 [起]를, ‘일다’는 [成]을 뜻하는 말로 구별되어 쓰였다.
·곧 · 주016)
:
떠. -[浮]+어(연결어미).
가·며 ···며 주017)
며:
잠기며. -[沈]+며. ‘다’는 오직 이 문헌에서만 보인다. 중세국어 시기에 ‘물에 빠지다’란 뜻을 지닌 동사에는 ‘다’ 또는 ‘다’가 있었다. 현대국어 방언의 ‘자물자물’(=물에 잠길락말락하는 모양)이 있으므로 ‘ᄌᆞᄆᆞᆯ며’는 오각이 아닐 것이다.
·홀 ·어·리 주018)
아ᇰ어리:
앙얼(殃孽)이. 앙화(殃禍)가. ¶이 命終 사미 殃孽에 버므러〈월인석보 21:105ㄴ〉. 쥬역에 닐우 됴 일 하  집븐 모로미 나 경 잇고 사오나온 일 하  집븐 모로미 나 앙얼리 잇니라 두다〈정속언해 30ㄱ〉. 『월인석보』(21:105ㄴ)에는 ‘殃ᅙᅣᇰ孽·ᅌᅥᆯ’로 적혀 있다.
:잇·고 시·혹 ·서· · 氣·긔우·니 얼·의·여 주019)
얼의여:
얼어. 엉기어. 얼의-[凝]+어.
어·르·미 외·면 ·곧 ·더·러·운 주020)
더러운:
더러운. 더럽-[汚]+은(관형사형어미)→더러〉더러운.
:것 시·서 주021)
시서:
씻어. 싯-[洗]+어.
·릴 用·이 :업·니라 주022)
업니라:
없느니라. 대체로 형용사에는 ‘--’가 쓰이지 않는데, 여기의 ‘없다’는 ‘없어지다’를 뜻하는 동사로 쓰인 것이다. 그러나 형용사 ‘하-’에도 ‘--’가 결합하는 일이 있다. ¶이 네 가짓 願은 녜록브터 일우니 업스니라 시고〈석보상절 3:21ㄴ〉.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니〈용비어천가 2장〉. 즐거 젹고 受苦ㅣ 하니  거스려 홰 자봄 야〈월인석보 7:18ㄱ〉.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대답하되, 앞에서 오직 돈오(頓悟)의 뜻만을 비유하고 점수(漸修)의 뜻은 비유하지 않았으니, 진실로 법은 한없는 뜻이 있고 세간(世間)의 일은 한 가지 뜻이 있나니, 그러므로 열반경(涅槃經)에서 비록 불성(佛性)을 설하였으나, 팔백 가지로 비유하여 설함이 제각기 맞추어서 맞은 데가 있는지라, 제멋대로 사용함이 옳지 못하니라. 이제 점점 닦음을 비유하여 밝힘은 물이 바람이 붊을 입어 여러 물결이 일어나면 곧 떠가며 잠기며 할 앙화가 있고, 혹은 서늘한 찬 기운이 얼어서 얼음이 되면 곧바로 더러운 것을 씻어 버릴 작용이 없어지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지:한이. 그지[限](명사)+Ø(주격조사). ‘그지’는 대부분 형용사 ‘없-’과 함께 쓰여 합성어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단독으로 쓰인 예도 있고, 조사 ‘ᄂᆞᆫ’ 앞에 쓰인 예도 있고, ‘이시-’와도 결합하며 서술형 ‘그지라(긎+이라)’도 나타난다. ¶八方애 다시 變샤 識心에 그지 마고 리샤미오〈월인석보 15:79ㄱ〉. 하며 져근 그지 오직 人情의 거츠리 셜 미라〈법화경언해 5:85ㄴ〉. 그지 이셔 마고미 외야〈월인석보 11:35ㄴ〉. 목수믜 그지라〈월인석보 7:70ㄱ〉.
주002)
세간(世間)냇:세간의. ‘世間앳’의 중철이다.
주003)
가비:비유하여. 글자 모양이 분명치 않은데, ‘가벼’를 ‘가비’로 오각한 것으로 보인다.
주004)
마초와:맞추어. ‘마초와’에는 ‘실상을 잘 알아보아’란 뜻도 있다(16ㄴ). 맞-[適, 配, 合]+호(사동접미사)+아(연결어미). ‘마초아’에 모음충돌회피를 위한 반자음 [w]가 개입한 것이다. 현대국어 ‘맞추-’의 공시적 구조는 ‘맞-+추(사동접미사)’이다. 이 낱말에 포함된 사동접미사가 ‘-호-’에서 ‘-추-’로 교체된 셈이다. ‘갖추-’도 이와 같다. 즉 ‘-[具]+호(사동접미사)’로 구성된 ‘초-’의 발달형인 ‘갖추-’의 공시적 구조는 ‘갖-+추’인 것이다. 이것은 사동접미사 ‘-호-’의 생산성 상실에 말미암은 현상이다. ‘마초다’와 비슷한 말인 ‘마초다’도 쓰였다(60ㄱ).
주005)
마:맞은. 부합하는. 맞-[合]+ᄋᆞᆫ(관형사형어미).
주006)
:데가. +Ø(주격조사).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주격 조사 ‘이’가 외현되지 않은 것이다.
주007)
잇논 디라:있는지라. 잇-++오/우+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평서문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어미 ‘-어’의 이형태이다. 여기의 ‘-라’는 연결어미 ‘-어’의 이형태로 보인다. 이때의 연결어미 ‘-어’는 종결어미와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다.
주008)
미:사용함이. -[用]+음(명사형어미)+이. 미〉미. 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명사형 어미 ‘-옴/움’과 명사파생 접미사 ‘-음/’이 구별되었는데, 이 책에서는 ‘-음/’으로의 부분적 합류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주009)
교:밝힘은. -[明]+이(사동접미사)+옴(명사형어미)+.
주010)
므리:물이. 믈[水]+이. ‘믈’은 근대국어 시기에 원순모음화하였다. 양순자음 ‘ㅁ, ㅂ, ㅍ, ㅽ’의 영향으로 평순모음 ‘ㅡ’가 원순모음 ‘ㅜ’로 변화한 것이다. [群, 衆]을 뜻하는 중세국어 어휘는 ‘물’ 또는 ‘무리’이다.
주011)
:바람의. [風]+(주어적관형격조사). 서술어인 ‘불다’가 명사형을 취함에 따라 주격 조사 위치에 주어적 관형격 조사 ‘’가 쓰였다. 이 책에는 ‘람’도 보인다(76ㄴ).
주012)
부로:붊을. 불-[吹]+옴(명사형어미)+.
주013)
니버:입어. 닙-[被]+어.
주014)
믓겨리:물결이. 믈[水]+ㅅ(관형격조사)+결[波]+이. ‘ㅅ’이 개입하여 합성명사를 이룰 때 선행 명사의 어말 ‘ㄹ’은 탈락한다. ‘섣달, 이튿날, 숟가락, 순막(술+ㅅ+막)’의 ‘ㄷ, ㄴ’도 ‘ㅅ’이 변한 것이다.
주015)
닐면:일어나면. 닐-[起]+면. ‘닐다’는 [起]를, ‘일다’는 [成]을 뜻하는 말로 구별되어 쓰였다.
주016)
:떠. -[浮]+어(연결어미).
주017)
며:잠기며. -[沈]+며. ‘다’는 오직 이 문헌에서만 보인다. 중세국어 시기에 ‘물에 빠지다’란 뜻을 지닌 동사에는 ‘다’ 또는 ‘다’가 있었다. 현대국어 방언의 ‘자물자물’(=물에 잠길락말락하는 모양)이 있으므로 ‘ᄌᆞᄆᆞᆯ며’는 오각이 아닐 것이다.
주018)
아ᇰ어리:앙얼(殃孽)이. 앙화(殃禍)가. ¶이 命終 사미 殃孽에 버므러〈월인석보 21:105ㄴ〉. 쥬역에 닐우 됴 일 하  집븐 모로미 나 경 잇고 사오나온 일 하  집븐 모로미 나 앙얼리 잇니라 두다〈정속언해 30ㄱ〉. 『월인석보』(21:105ㄴ)에는 ‘殃ᅙᅣᇰ孽·ᅌᅥᆯ’로 적혀 있다.
주019)
얼의여:얼어. 엉기어. 얼의-[凝]+어.
주020)
더러운:더러운. 더럽-[汚]+은(관형사형어미)→더러〉더러운.
주021)
시서:씻어. 싯-[洗]+어.
주022)
업니라:없느니라. 대체로 형용사에는 ‘--’가 쓰이지 않는데, 여기의 ‘없다’는 ‘없어지다’를 뜻하는 동사로 쓰인 것이다. 그러나 형용사 ‘하-’에도 ‘--’가 결합하는 일이 있다. ¶이 네 가짓 願은 녜록브터 일우니 업스니라 시고〈석보상절 3:21ㄴ〉.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니〈용비어천가 2장〉. 즐거 젹고 受苦ㅣ 하니  거스려 홰 자봄 야〈월인석보 7:18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