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06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060


【私記】
馬鳴祖師ㅣ 云샤 所言法者

별행록절요언해:5ㄴ

 謂衆生心이라 시니 豈欺人哉리오 但信心이 堅固야 專精觀照야 積於淨業면 此生애 雖未得徹悟ㅣ라도 不失成佛之正因也ㅣ리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馬·마鳴祖·조師 주001)
마명조사(馬鳴祖師):
1~2세기경의 승려. 중인도 사위국(舍衛國) 출신. 본래 외도(外道)로서 불법을 비난하다가, 협존자(脇尊者)를 만나서 논파당한 뒤, 불교에 귀의하였다. 두루 편력하면서 불법을 널리 선양하였고,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불소행찬(佛所行讚)』 등의 탁월한 저작을 남겼다.
ㅣ 니·샤· :닐·온 주002)
닐온:
이른. 말한. 니[謂]-+오/우+ㄴ. 원래는 관형사인데, 여기서처럼 관형사로도 쓰이고, 때로는 ‘말하자면, 말하기를’이란 뜻의 부사로도 쓰인다.
法·법·은 衆·生의 ·미·라 니··시·니 ·엇:뎨 사· 소·기시·리·오 오·직 信·신心심·이 구·더 專젼一·일·히 ··펴 ·조· 주003)
조:
깨끗한. 좋[淨]-+(관형사형어미). ‘둏다’는 현대국어의 ‘좋다’ 또는 ‘(병이) 낫다’를 뜻하고, ‘좋다’는 현대국어의 ‘깨끗하다’를 뜻한다. ‘좋다’는 ‘조다’와 공존하였다. ‘좋-+아’는 ‘조하’로 나타나고, ‘조-+아’는 ‘조야’로 나타난다. ‘둏-’ 역시 ‘됴-’와 공존하였다. 현대국어의 ‘좋네(평서형), 좋니(의문형)’의 오용(誤用)인 ‘좋으네, 좋으니’는 ‘됴-’의 활용형이 발달한 것이다.
· 주004)
:
사랑함을. [愛]-+(명사파생접미사)+(목적격조사). ‘다’는 [愛]를 뜻하는데, 여기서는 특이하게도 ‘업(業)’의 번역으로 쓰였다. ‘중생을 사랑하는 것이 정업(淨業)’이라는 의미로 쓰인 듯한데, 상당히 파격적인 의역이다.
뫼·호:면 ·이 生·애 주005)
이 생(生)애:
이 생에. ‘이 생’이 발달하여 오늘날의 ‘이승’이 되었다.
비:록 · ·아디 ·몯··디라·도 부텨 ·욀 正·因인 주006)
정인(正因):
깨달음에 도달하는 올바른 인(因). ‘인(因)’은 결과를 일으키는 원인 또는 근거이다.
·을 :일·티 아·니·리

별행록절요언해:6ㄱ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마명조사가 이르시되, 이른바 법이란 것은 중생의 마음이라 이르시니, 어찌 사람을 속이셨으리오? 오직 신심이 굳어, 한결같이 살펴 청정한 사랑을 모으면
(=쌓으면)
, 이승에서 비록 꿰뚫어 알지 못할지라도, 부처 될 정인
(=바른 인연)
을 잃지 아니하리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마명조사(馬鳴祖師):1~2세기경의 승려. 중인도 사위국(舍衛國) 출신. 본래 외도(外道)로서 불법을 비난하다가, 협존자(脇尊者)를 만나서 논파당한 뒤, 불교에 귀의하였다. 두루 편력하면서 불법을 널리 선양하였고,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불소행찬(佛所行讚)』 등의 탁월한 저작을 남겼다.
주002)
닐온:이른. 말한. 니[謂]-+오/우+ㄴ. 원래는 관형사인데, 여기서처럼 관형사로도 쓰이고, 때로는 ‘말하자면, 말하기를’이란 뜻의 부사로도 쓰인다.
주003)
조:깨끗한. 좋[淨]-+(관형사형어미). ‘둏다’는 현대국어의 ‘좋다’ 또는 ‘(병이) 낫다’를 뜻하고, ‘좋다’는 현대국어의 ‘깨끗하다’를 뜻한다. ‘좋다’는 ‘조다’와 공존하였다. ‘좋-+아’는 ‘조하’로 나타나고, ‘조-+아’는 ‘조야’로 나타난다. ‘둏-’ 역시 ‘됴-’와 공존하였다. 현대국어의 ‘좋네(평서형), 좋니(의문형)’의 오용(誤用)인 ‘좋으네, 좋으니’는 ‘됴-’의 활용형이 발달한 것이다.
주004)
:사랑함을. [愛]-+(명사파생접미사)+(목적격조사). ‘다’는 [愛]를 뜻하는데, 여기서는 특이하게도 ‘업(業)’의 번역으로 쓰였다. ‘중생을 사랑하는 것이 정업(淨業)’이라는 의미로 쓰인 듯한데, 상당히 파격적인 의역이다.
주005)
이 생(生)애:이 생에. ‘이 생’이 발달하여 오늘날의 ‘이승’이 되었다.
주006)
정인(正因):깨달음에 도달하는 올바른 인(因). ‘인(因)’은 결과를 일으키는 원인 또는 근거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